
한국 전통 옷감 레포트 - 주(紬), 능(綾), 사(紗), 라(羅)
본 내용은
"
한국 전통 옷감 레포트 - 주(紬), 능(綾), 사(紗), 라(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29
문서 내 토픽
-
1. 주(紬)주는 견과 같은 평직의 견직물로, 견에 비해 광택이 없고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주의 종류는 대단히 많이 신라시대에는 공물품으로 조하주(朝霞紬), 어아주(魚牙紬)가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면주(綿紬)가 공물품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황주, 자주, 조주 등이 의복과 생활 용품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명주는 봄 가을, 겨울의 한복감으로 많이 쓰인다.
-
2. 능(綾)능은 날줄 또는 씨줄의 교차가 두 올이상 건너뛰어 교차점이 능선을 나타내는 직물이다. 능조직으로 짜인 견직물은 은은한 광택과 얇고 부드러운 촉감을 지닌다.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기록이 존재하며, 신라의 천마총과 백제의 무령왕릉에도 사용된 직물로 중요도가 높다. 능은 동향능(同向綾)과 이향능(異向綾)으로 구분되는데, 동향능은 사향이 같고 조직순환단위가 다른 경위사문조직으로 바탕과 무늬를 구분하여 표현하는 것이며, 이향능은 사향이 상반되고 순환단위가 같은 경위사문조직으로 무늬와 바탕을 제직하는 것이다.
-
3. 사(紗)사는 가볍고 얇으며 성글게 짜인 익조직의 견직물이다. 인접한 경사 2올을 교차해 투공효과를 만드는 원리로, 소사는 무늬가 없는 것, 화문사는 무늬가 있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전통 직물 가운데 가장 종류가 많은 것이 사이다. 사는 비단 중에서도 가벼운 것으로 통하며 얇은 직물류이므로 일반적으로 봄가을과 여름의 의복감으로 사용된다.
-
4. 라(羅)라는 제직법에 따라 경사 2올이 교차된 2경교라, 경사 3올이 교차된 3경고라, 경사 4올이 교차된 4경교라로 구분할 수 있다. 4경교라는 그물모양과 같이 직조되었기 때문에 2경교라나 3경교라 보다는 덜 투명하고 마치 니트 직물처럼 탄력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라가 문헌에 기록된 때는 삼국시대부터이며, 통일신라 시대 복식 금제에는 라, 혜라, 포방라, 야초라, 월라가 각종 복식에 금지 품목으로 올라 있다. 오늘날에는 여조직(?組織)으로 제직된 항라가 봄철의 남녀 한복감으로 사용되고 있다.
-
1. 주(紬)주(紬)는 전통적인 한국의 직물 중 하나로, 견직물의 일종입니다. 주(紬)는 부드러운 촉감과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유명하며,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紬)는 주로 한복이나 전통 의복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紬)는 한국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직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능(綾)능(綾)은 한국의 전통 직물 중 하나로, 견직물의 일종입니다. 능(綾)은 부드러운 촉감과 광택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한복이나 전통 의복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능(綾)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직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3. 사(紗)사(紗)는 한국의 전통 직물 중 하나로, 견직물의 일종입니다. 사(紗)는 가벼운 촉감과 투명한 외관이 특징이며, 주로 여름철 의복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사(紗)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직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4. 라(羅)라(羅)는 한국의 전통 직물 중 하나로, 견직물의 일종입니다. 라(羅)는 부드러운 촉감과 고급스러운 외관이 특징이며, 주로 한복이나 전통 의복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라(羅)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직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