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콘크리트 소개
본 내용은
"
친환경 콘크리트 소개 ppt 발표자료-생명과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8
문서 내 토픽
-
1. Eco ConcreteEco Concrete는 시멘트 제조 시 발생하는 CO₂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소각재, 슬러지, 사업장 폐기물 등을 재활용하여 만든 콘크리트입니다. 이를 통해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고 건설폐기물을 재이용할 수 있습니다.
-
2. Low Carbon ConcreteLow Carbon Concrete는 크게 3가지 방법으로 구현됩니다. 첫째, 시멘트를 대체하여 혼화재료를 섞어 콘크리트를 만듭니다. 둘째, 시멘트 사용량 자체를 줄여 콘크리트를 만듭니다. 셋째,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여 건축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 시멘트량을 감소시킵니다.
-
3.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대신 플라이애시와 같은 무기물을 결합재로 사용합니다. 플라이애시의 규소, 알루미늄, 칼슘이 알칼리 용액과 반응하여 결합재 역할을 합니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콘크리트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지만 낮은 크리프와 건조수축, 우수한 내황산염성 및 염해저항성을 가집니다.
-
4. HVFAC(High Volume Fly Ash Concrete)HVFAC는 포틀랜드 콘크리트에 플라이애시를 25% 이상 대체하여 사용량을 줄인 친환경 콘크리트입니다. 에너지 집약적이지 않고 지구온난화 가스 배출이 적으며, 재활용 재료를 사용합니다.
-
5. 초고강도 콘크리트초고강도 콘크리트는 고강도 골재, 고성능 감수제, 실리카흄 등을 사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조직 구조를 치밀화시켜 초고강도를 발현시킵니다. 이를 통해 시멘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1. Eco ConcreteEco concrete is an innovativ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that aims to reduce the carbon footprint of traditional concrete. By utilizing recycled materials, such as industrial byproducts or agricultural waste, eco concrete minimizes th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energy-intensive cement production process. This approach not only contributes to sustainability but also offers potential cost savings and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conventional concrete.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faces growing pressure to adopt more sustainable practices, eco concrete presents a promising solution that aligns with the global efforts to mitigate climate change and promote a circular economy. However, the widespread adoption of eco concrete may face challenges related to standardization,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and public perception. Continued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ll as policy support, will be crucial in overcoming these barriers and establishing eco concrete as a mainstream construction material.
-
2. Low Carbon ConcreteLow carbon concrete is a crucial innov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iming to reduce the significant carbon emission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concrete production. By optimizing the mix design, utilizing alternative binders, and incorporating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low carbon concrete can significantly lower the embodied carbon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desir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is approach not only contributes to climate change mitigation but also aligns with the growing global demand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practices. The development of low carbon concrete presents both technical and economic challenges, as it may require adjustments to existing manufacturing processes, supply chain logistics, and construction methods. However, the potential benefits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act, cost savings, and long-term resilience make low carbon concrete a compelling solution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tinued research, policy support, and industry collaboration will be essential in driving the widespread adoption of low carbon concrete and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wards a more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
-
3.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기존 포틀랜드 시멘트 기반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건설 재료입니다. 이 재료는 산업 부산물이나 광물질 원료를 활용하여 제조되며, 낮은 탄소 배출량, 우수한 내구성, 내화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기존 콘크리트 대비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지속가능한 건설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표준화, 대량 생산, 경제성 등의 과제가 남아있어 실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의 보편화를 위해서는 기술적 진보와 더불어 건설 산업 전반의 인식 변화와 사회적 합의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4. HVFAC(High Volume Fly Ash Concrete)HVFAC (High Volume Fly Ash Concrete)는 기존 콘크리트에 비해 높은 비율의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는 혁신적인 건설 재료입니다. 이 기술은 포틀랜드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고 산업 부산물인 플라이애시를 활용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HVFAC는 우수한 내구성, 내화성, 내구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지속가능한 건설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강도 발현, 배합 설계, 시공성 등의 기술적 과제가 남아있어 실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HVFAC의 보편화를 위해서는 건설 산업 전반의 인식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를 통해 HVFAC가 기존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설 재료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
5. 초고강도 콘크리트초고강도 콘크리트는 기존 콘크리트 대비 월등히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는 혁신적인 건설 재료입니다. 이 기술은 특수 혼화재, 고성능 감수제, 초미립자 충전재 등을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이고, 건축물의 슬림화와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자원 및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배합 설계, 시공성, 경제성 등의 과제가 남아있어 실용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보편화를 위해서는 건설 산업 전반의 인식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를 통해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미래 건설 산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
녹색(친환경) 건설을 위한 건설 공법 및 자재 8페이지
녹색(친환경) 건설을 위한건설 공법·자재-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며 건설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친환경 신기술의 개발 -과목명기초소프트웨어응용학번담당 교수이름소속학과목차Ⅰ서론; 친환경 건설의 필요성1Ⅱ 본론; 친환경 건설 공법·자재21. 지반안정제를 이용한 토사 비탈면의 녹화용 표층개량 공법22. 산업부산물 및 PVA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3Ⅲ 결론5Ⅳ 참고문헌6Ⅰ서론; 친환경 건설의 필요성환경부는 앞으로 대기관리 권역 내 100억 원 이상 공공 건설공사 현장에서 저공해 조치를 하지 않은 노후 건설기계는 사용할 수 없다는 ‘대기관...2021.05.10· 8페이지 -
공학과윤리,친환경건축디자인,친환경건축가,친환경디자인,후지제록스R D스퀘어,친환경건축기술,빗물 재활용 시스템 17페이지
공학과 윤리1. 친환경 건축디자인 1) 친환경건축가란 ? 에너지 부하를 줄이기 위해 여름철에는 뜨거운 햇빛을 차단하고 겨울철에는 부족한 햇빛을 모으며 , 단열 및 환기가 용이하도록 건물배치나 공간구조 , 창호 , 벽체 등을 설계한다 . 옥상정원이나 생나무 울타리 등을 건축물에 반영하여 건물의 온도를 낮춘다 .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열 , 태양광 , 지열 , 풍력 등을 이용한 설비를 건축물 설계에 적용하고 , 고효율 공조설비나 배출 및 폐열 회수장치 , 하수 및 빗물 재활용시스템 등을 설치한다 . 온 · 습도나 대기질...2020.09.07· 17페이지 -
건축설비(친환경건축,코오롱 이플러스 그린 홈) 과제 ppt 45페이지
친환경 요소 소개 단열 태양 자연과 바람 이플러스 그린홈 생체 모방 건축 전체적인 평가E Plus Green Home 코오롱 이플러스 그린 홈‘ 녹색 성장 개발의 필요성 [ 저탄소 , 녹색성장 ] 의 국가비전 유지 , 운영관리비의 절감 국가 기술 로드맵에 대응 새로운 사업기회의 선점 Vision Reduction Take Action Opportunity 코오롱 이플러스 그린홈코오롱 이플러스 그린홈코오롱 이플러스 그린홈 B rand I dea 자연의 에너지를 통해 삶의 풍요로움을 더하다PASSIVE HOUSE 95 가지 친환경 기술...2020.12.08· 45페이지 -
인천대학교 건축공학과 친환경건축설비 29페이지
청라 국제 도서관 친환경건축설비 201000000 ㅇㅇㅇ 201000000 ㅇㅇㅇ개요 소개 배치 계획 건축물 개념 층별 용도 친환경 인증 수상 경력 신재생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 BIPV 패널 P V 패널 친환경 시스템 자연채광 단열 기술 복사 난방 나이트 퍼지 산소 이온 클러스터 절수형 수도꼭지 건축물 녹화 주변 녹지 조성 옥상 녹화 결론 Ⅰ Ⅱ Ⅲ Ⅳ Ⅴ CONTENTS개요 소개 배치 계획 건축물 개념 층별 용도 친환경 인증 수상 경력 Ⅰ1. 소개 청라 국제 도서관 친환경건축설비 개요 청라 국제 도서관 위치 : 인천광역시 서구 답...2021.06.09· 29페이지 -
친환경건축물 사례 - 호텔 10페이지
Vivanta Hotel / WOW Architects | Warner Wong Design친환경 호텔 건축물 사례조사? 건축물용도: 호텔? 등급: 5성급 호텔? 건축가: 와우 건축가 |?워너 왕 디자인? 위치: Whitefield, Bangalore, Karnataka,?인도? 층수: 5층? 건축면적: 19638.0m²? 준공년도: 2009 년? 호텔사: 인디아 호텔 컴퍼니 리미티드 (IHCL)? 매스 및 건축적 특징 : 중앙의 녹지 경사(LANDSCAPE), 수공간 , 사람들이 이동하고 즐길 수 있는 길들, 비워진 공간, 밖과 ...2020.09.15·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