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공학실험A_동역학실험_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인하대학교 / 기계공학실험A_동역학실험_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7
문서 내 토픽
-
1. 비선형진동이번 실험은 단진자의 주기 측정 실험으로 단진자의 초기각도를 달리하며 주파수의 실험값과 이론값을 구하여 비교해보았다. 초기조건으로 봉이 고정된 지점으로부터 떨어진 길이(l`)와 중력가속도(g)는 각각 l` = 38cm, g = 9.81m/s{}^{2}이였고 식 f`=` {1} over {2 pi } sqrt {{g} over {l}}을 통해 구한 이론값은 약 0.809Hz였다. 초기각도는 10°, 45°, 80° 순으로 달리하여 실험했고 왕복횟수 20회를 측정한 시각은 각각 22.62s, 24.54s, 26.24s였다. 식 T`=` {t} over {N}와 f`=` {1} over {T}를 통해 구한 실험값은 각각 0.884Hz, 0.815Hz, 0.762Hz로 약 9.27%, 0.74%, 5.81%의 오차율을 보이며 모두 이론값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오차의 요인으로는 실험 진행 과정에서의 한계, 봉의 질량과 공기 저항 및 마찰 등의 고려 부족, 테일러 근사의 부적절한 적용, 2차원이 아닌 3차원 거동 등이 있었다.
-
2. 질량 관성모멘트이번 실험은 질량 관성모멘트 측정 실험으로 시편의 왕복 횟수를 달리하며 질량 관성모멘트의 실험값과 적분을 통한 이론값을 구하여 비교해보았다. 초기조건으로 시편의 질량(m)은 4.40kg, 줄의 길이(l)는 0.43m, 줄 사이의 거리(r)는 0.125m였다. 적분적 방법으로 식 I`=` {m} over {12} (a ^{2} +b ^{2} )을 통해 구한 이론값은 약 0.0455kg·m{}^{2}였다. 실험값은 평균 0.0461kg·m{}^{2}으로 이론값과 약 1.32%의 오차율을 보였다. 오차의 요인으로는 실험 진행 과정에서의 한계, 공기 저항 및 마찰 등의 고려 부족, 테일러 근사의 부적절한 적용, 병진운동의 고려 부족 등이 있었다.
-
3. 스프링상수이번 실험은 스프링상수 측정 실험으로 비틀림 봉을 이용해 실험값과 재료 역학적인 방법을 통한 이론값을 구해 비교해보았다. 재료역학적 방법에서의 이론값은 5.026N·m, 실험에 의한 방법에서의 실험값은 평균 4.621N·m로 약 8.06%의 오차율을 보였다. 오차의 요인으로는 공기 저항 및 마찰 등의 고려 부족, 실험 기구 자체의 안정성과 센서 문제, 다자유도 진동의 배제 등이 있었다.
-
1. 비선형진동비선형진동은 선형진동과는 달리 진폭에 따라 진동 특성이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실제 기계 시스템에서 자주 관찰되는데, 예를 들어 큰 진폭의 진동에서는 기계 부품의 비선형적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비선형진동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은 기계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비선형진동 해석을 통해 시스템의 동적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설계 및 제어 기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선형진동 현상은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구조물 제어, 생체 모방 로봇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선형진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연구는 기계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질량 관성모멘트질량 관성모멘트는 물체의 회전 운동에 대한 관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이는 물체의 질량과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회전 운동의 관성력, 토크, 각가속도 등을 계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기계 시스템에서 질량 관성모멘트는 동적 거동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로봇 팔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관절의 질량 관성모멘트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회전체 기계 시스템의 진동 및 안정성 분석에서도 질량 관성모멘트가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질량 관성모멘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정확한 측정 기술은 기계 시스템의 설계, 제어,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향후 질량 관성모멘트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보다 정밀하고 효율적인 기계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스프링상수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의 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이는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과 변형량의 비례 관계를 결정하며, 기계 시스템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현가 장치, 기계 구조물의 진동 절연, 로봇 관절의 토크 제어 등에서 스프링 상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스프링 상수는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감쇠비, 응답 특성 등을 결정하므로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에 중요한 설계 변수가 됩니다. 따라서 스프링 상수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모델링 기술은 기계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최근에는 스프링 상수 측정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프링의 비선형성, 온도 의존성, 피로 특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기계 시스템 설계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인하대학교 기계공학실험 A -동역학실험 결과 보고서입니다. 16페이지
1) 실험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정리 (1) 비선형진동의 이해를 위한 실험 : 단진자(Simple Pendulum)① 실험 목적: 단진자의 변위가 작을 경우와 클 경우의 값의 실험값과 이론값을 찾을 수 있고, 이를 비교하여 선형계와 비선형계의 차이점을 이해한다.② 실험 방법➊ 가 미소 변위라면 = 로 가정할 수 있다.➋ 이 경우, 는 주기를 측정함으로서 실험값 을 얻는다.(으로 구하고 주파수 로 구한다.)➌ 으로부터 이론값 을 측정하여 위에서 구한 실험값과 비교함.➍ 를 증가시키면서 실험값 를 측정하여 이론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구...2020.12.25· 16페이지 -
기계공학실험A 동역학 결과보고서 (2024년도 2학기) 14페이지
기계공학실험B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제출자 : XXXRevision. 12024년도 2학기기계공학실험 AReport( XX 조 )이 름 : XXX학 번 : XXX담당교수 : XXX 교수님담당조교 : XXX제출일자 :기계공학실험 A 2024년 X월 X일1) 실험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정리(1) 비선형진동의 이해를 위한 실험 : 단진자(Simple Pendulum)① 실험 목적단진자 각도가 변함에 따라 변위가 큰 경우 및 작은 경우의 주기와 시간을 측정하여 단진자 고유진동수를 찾을 수 있다.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2025.01.05· 14페이지 -
로봇 실험 (매트랩 코드를 이용한 로봇 팔 동작 실험) 14페이지
기계공학실험1 보고서실험명 : 로봇 실험제출일자 : 2022. 05. 26.1. 실험 이론1.1 로봇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로봇공학로봇에 관한 과학이며 기계, 전기, 전자,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합쳐진 융복합 분야라고도 한다. 그래서 여러 학문들이 접점이 발생하면서 이루어지는 학제간의 연구 영역이라고도 한다. 주로 대학교를 통해서 로봇공학을 배울때는 초반에 기계, 전기, 전자, 컴퓨터공학, 생명 등의 부냥에서 기본이 되는 이론들을 배우고 또 정역학, 동역학을 포함한 기구적인 해석에 대해서 배우면서 구동기, 센서, 시각...2023.10.03· 14페이지 -
[기계공학실험A+보고서]속도실험B 14페이지
기계공학실험2 실험 보고서속도실험 B(원형 실린더 주위 유동장 관찰)Ⅰ. Introduction속도실험 A에서는 PIV를 이용하여 자유 흐름(free stream)을 가시화하고, 펌프의 출력을 변화시키며 유동의 속력(stream velocity)을 관찰해보았다. 이를 통해 펌프의 출력에 따른 수조 내 유체의 평균 속력의 관계식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y=0.00575f+0.0043(y : 유체의 평균 속력, f : 펌프의 출력 주파수)하지만 이 관계식은 장애물이 없는 자유 흐름에 대해 도출한 관계식이기 때문에 ...2021.01.27· 14페이지 -
아주대 기계공학응용실험 실험1 진동학 응용실험 결과보고서 22년 1학기 11페이지
-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진동학 응용 실험과목명 : 기계 공학 응용 실험제출일: 2022년 3월 28일실험일자: 2022년 3월 25일실 험 조 명 :책임 수행자 :공동 수행자 :형 식/ 15이론 설명 및 실험 방법/ 15결 과 및 토 의/ 20결 론/ 10합 계52 / 60비 고아주대학교 기계공학부- 목 차 -1. 실험 목적2. 실험 이론3. 실험 장치4. 실험 방법5. 실험 결과 및 고찰6. 결 론7. 참고 문헌1. 실험 목적이번 실험의 목적은 외팔보를 진동시켜 측정한 자유 진동 응답과 고체역학 이론을 이용하여 외팔보의 등...2022.05.21·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