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출혈 환자의 의사소통 사례 보고서
본 내용은
"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의사소통사례 보고서_ 산후출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7
문서 내 토픽
  • 1. 산후출혈
    30세 여성 김마산님은 제태기간 35주로 중증자간전증 진단 하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기저질환으로 고혈압을 가지고 있어서 평소 매일 아침 고혈압약(norvasc 1T)을 복용중이었다. 오후 두시경 수술을 마친 후 회복실에서 병실로 돌아와 수액 5%DW 1L 회복중이나 3시경 질출혈이 심하고 의식상태가 명료하지 못하다. 현재 체온은 37.5도 혈압은 90/60mmHg, 맥박은 120회/분로 약하고 호흡은 28회로 얇게 숨쉬고 있다. 소변량은 25cc/hr, 출혈양상은 선홍색으로 패드(1장)를 완전히 적시고 있고, SpO2는 92%, 자궁저부 촉진을 실시해보니 하복부에서 자궁이 부드럽고 물렁하게 촉지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산후출혈
    산후출혈은 산모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므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산후출혈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 위축 부전, 자궁 파열, 태반 조기 박리 등이 있습니다. 산모는 출산 후 지속적인 출혈, 어지러움, 빠른 맥박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고 수액 공급, 자궁 마사지, 약물 투여 등의 응급 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산전 관리를 철저히 하고, 출산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산후출혈은 신속한 대응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 해결할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 수혈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산후출혈에 대한 의료진과 산모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