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사 손위생교육 ppt
본 내용은
"
간병사 손위생교육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7
문서 내 토픽
  • 1. 손위생의 목적
    의료기관 내에서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 손을 통한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위생의 수행을 철저히 수행함으로써 의료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 2. 손위생을 해야하는 시점
    환자 접촉 전·후, 환자 주변 환경이나 오염물질 처리 후 등 매 상황마다 손위생을 철저히 한다. 환자 접촉 전·후(식사를 주거나 투약 등 포함), 병실에서 나오기 전과 들어가기 전, 병실 내 공용 공간(물품) 및 다른 환자 주변 환경을 만지기 전·후, 식음료 섭취 전, 손이 오염될 수 있는 행위를 한 후(배설물을 처리하거나 화장실 사용 후, 마스크를 만진 후) 등이다.
  • 3. 손위생 절차
    손바닥, 손가락, 손등, 엄지 손가락, 손깍지, 손톱 등 잘 씻기지 않는 손부위를 물과 비누로 씻는다. 장갑 착용 시에도 손위생이 필요한 시점에서는 손위생을 수행해야 하며, 장갑 착용 직후에 바로 벗고 매 환자마다 장갑을 교체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손위생의 목적
    손위생의 목적은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손은 병원체를 전파하는 주요 경로이므로, 적절한 손위생을 통해 의료 관련 감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손위생은 의료진, 환자, 방문객 모두에게 중요하며, 이를 통해 병원 내 교차 감염을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손위생은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의료 비용을 절감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손위생은 의료 현장에서 필수적인 감염 관리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손위생을 해야하는 시점
    손위생을 해야 하는 주요 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환자와 접촉하기 전에 손위생을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 병원체를 전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둘째, 청결한 행위 전후에 손위생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환자 간호 전후, 체액 노출 후, 장갑 착용 전후 등에 손위생을 실시해야 합니다. 셋째, 오염된 부위 접촉 후에는 반드시 손위생을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병원체가 다른 환자나 의료진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넷째, 근무 시작 전과 근무 종료 후에도 손위생을 해야 합니다. 이는 의료진 자신을 보호하고 병원 내 감염 전파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손위생은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감염 관리 활동이며, 적절한 시기에 실시되어야 합니다.
  • 3. 손위생 절차
    손위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흐르는 물에 손을 적십니다. 둘째, 비누를 사용하여 손바닥, 손등, 손가락 사이, 손톱 밑 등 모든 손 표면을 골고루 문지릅니다. 셋째, 최소 20초 이상 충분한 시간 동안 손을 씻습니다. 넷째, 깨끗한 종이 타월이나 전자 수건으로 손을 완전히 건조시킵니다. 이때 사용한 타월은 버리거나 재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다섯째, 마지막으로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을 추가로 소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5단계 절차를 철저히 지켜 손위생을 실시하면 병원 내 감염 예방에 효과적일 것입니다. 또한 손위생 시 올바른 기법을 사용하고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