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간호학실습: 산소포화도, 심전도 모니터링, 수술 후 간호
본 내용은
"
[기본간호학실습] [산소포화도 & 심전도 모니터 & 수술 후 간호 (배액관-jp, hemovac 관리, iv pca 관리)] [ 실습, 실습 시험, 대본, 교내 실습시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4
문서 내 토픽
-
1. 산소포화도 측정Pulse Oximeter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말초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측정 목적과 절차, 주의사항을 대상자에게 안내하고 측정 결과를 확인하여 기록합니다.
-
2. 심전도 모니터링EKG monitor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심전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모니터링 목적과 절차, 전극 부착 위치 및 방법, 결과 확인 및 기록 등을 수행합니다.
-
3. 배액관 관리수술 후 삼출액 배출을 위해 적용된 배액관의 관리 방법을 설명합니다. 배액관 상태 확인, 배액량 및 색깔 확인, 배액관 관리 등의 절차를 수행합니다.
-
4. Hemovac 관리수술 후 출혈 예방을 위해 적용된 Hemovac 배액관의 관리 방법을 설명합니다. 배액관 상태 확인, 배액량 및 색깔 확인, 배액관 관리 등의 절차를 수행합니다.
-
5. IV PCA 관리통증 조절을 위해 적용된 IV PCA의 사용 방법과 부작용 관리에 대해 설명합니다. 대상자에게 IV PCA 사용법과 부작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교육합니다.
-
1. 산소포화도 측정산소포화도 측정은 환자의 산소 공급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중요한 생체징후 측정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 기능과 심혈관 기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적절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나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필수적인 모니터링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 부위의 혈류 상태, 체온, 피부 색깔 등을 고려해야 하며, 측정 결과를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기기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심전도 모니터링심전도 모니터링은 환자의 심장 활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부정맥, 허혈성 심질환, 전해질 불균형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나 심장 질환자에게 필수적인 모니터링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전극 부착 부위의 피부 상태, 전극 간 거리, 호흡 등을 고려해야 하며, 측정 결과를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기기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배액관 관리배액관 관리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 감염, 체액 저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배액관의 위치, 배액량, 배액액의 성상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며, 배액관 주변의 피부 상태와 감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배액관 고정 상태, 배액관 연결부의 누출 여부 등을 점검하고, 배액관 관리에 필요한 무균 술기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4. Hemovac 관리Hemovac은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emovac 관리에는 Hemovac의 위치, 배액량, 배액액의 성상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Hemovac 주변의 피부 상태와 감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Hemovac 고정 상태와 연결부의 누출 여부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출혈 및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특히 Hemovac 관리 시 무균 술기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IV PCA 관리IV PCA(Patient Controlled Analgesia)는 환자가 스스로 통증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술 후 통증 관리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IV PCA 관리에는 약물 주입량, 주입 속도, 잠금 시간 등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환자의 통증 정도와 부작용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IV PCA 펌프와 주입 경로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무균 술기를 준수하여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A+ 교내수행평가사전지식정리 보고서 -시간절약가능] 기본간호학실습 - 산소포화도, 비강캐뉼라, 기관절개관관리, 기관내 흡인, 실습사용물품, 실습사전지식, 산소요법 의학용어 정리, 간호수행시 주의사항, 외울내용, 각종표, 사진정리, 프로토콜 실습영상 필기내용, 예습용, 복습용, 과제용, 보고서참고자료 많습니다) 12페이지
REPORT기본간호학과목명담당교수교수님소속학과학번이름반/조제출일기본간호학 실습? 산소화 용어respiration호흡dyspnea호흡곤란gas exchange가스교환hyperventilation과다환기hypoventilation과소환기perfusion관류tracheostomy기관절개술endotrachealtube기관내관airway기도orthopnea기좌호흡O2 saturation산소포화도pneumonia폐렴pneumothorax기흉atelactasis무기폐nasal cannula비강 캐뉼라oxygen therapy산소요법pulse o...2021.06.22· 12페이지 -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LC 복강경담낭절제술 수술실 사례보고서 CASE STUDY 6페이지
REPORT 성인수술ㆍ응급간호학실습 사례보고서 : 복강경담낭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LC) 과목명 성인수술ㆍ응급간호학실습 담당 OOO 교수님 학번 OOOOOOOOOO 이름 OOO 제출일 202O.OO.OO 1. 사례보고 이름 : 박OO (83/M) 입원날짜, 시간 : 2023. 11. 14. AM 8:00 (외래) 현병력 : # Apical HCMP # CVA hx # HTN # BPH 입원동기 : 1.5 cm sized polyp and stone 확인하여 수술적 치료 위해 입원 진단명 : C...2024.12.02· 6페이지 -
A+ 투약오류 응급재난보고서 10페이지
응급·재난 간호 보고서- 투약오류 -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교수명학년/분반학 번이 름제출일목차Ⅰ. 서론 11. 응급간호사의 자격 12. 응급간호의 원칙 13. 응급대상자와 가족의 심리적 간호 14. 투약 1Ⅱ. 본론 41.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42.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재난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4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부족한 부분과 잘 수행된 간호술에 대해 분석하시오. 5Ⅲ. 결론 71. 결론 72. 자아성찰 8Ⅳ. 참고문헌 8...2024.12.14· 10페이지 -
결장암, 심부전, 흡인성 폐렴 문헌고찰 8페이지
REPORT 2022-2성인간호학실습2성인간호학 실습2사전학습보고서이름/학번실습병원실습기간제출일자담당 교수님목차1. 결장암(colon cancer)1) 정의2) 원인3) 증상4) 진단5) 치료6) 간호2. 심부전(cardiac failure)1) 정의2) 원인3) 증상4) 진단5) 치료6) 간호3.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1) 정의2) 원인3) 증상4) 진단5) 치료6) 간호7) 경과4. 질환 다빈도 의학용어1. 결장암(colon cancer)1) 정의결장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결장암이라고 한다. 결장암은 ...2024.01.05· 8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담낭염 case study (사례연구보고서)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 24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3)CASE STUDY실습기관실습기간교 수 님학년 / 반 / 이름? 목차 ?Ⅰ. 담낭염 문헌고찰 ---------------------------------------------------------- 1Ⅱ. 사례연구 ------------------------------------------------------------------ 9Ⅲ. 회복실 간호 -------------------------------------------------------------- 14Ⅰ. 담낭염 문헌고찰1. 정의담석, 수술 후 협착...2023.12.13·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