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회전근개파열 케이스 A+받은 자료 (구체적인 간호진단, 환자상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회전근개파열 케이스 A+받은 자료 (구체적인 간호진단, 환자상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5
문서 내 토픽
-
1. 회전근개증후군회전근개란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근육복합체입니다(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겹갑하근). 회전근개는 견갑골의 일부인 견봉에 덮여있고, 회전근개와 견봉 사이에는 점액낭이 있어서, 관절운동을 부드럽게하면서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회전근개와 점액낭이 각자의 역할을 잘하게 되면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그로인해 운동이 가능합니다.이 회전근개의 변형과 파열이 생긴 것을 '회전근개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어깨근육의 통증을 막연히 오십견으로 알고 방치하고 있다가 병원에 가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
2. 회전근개증후군의 원인4개의 근육이나 힘줄의 자극, 손상을 입은 것을 회전근개손상이라 합니다.이렇게 회전근개가 손상을 입는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1) 운동에 의해 근육이나 힘줄의 과도한 사용이나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염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어깨관절과 회전근개 힘줄 사이의 활막의 자극이나 염증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3)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염증을 악화시키고 만성적으로 근육이 퇴행하거나 파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4) 40세 이상 나이가 증가하면 회전근개의 근육이나 힘줄의 퇴행성 변화로 파열될 수 있습니다.5) 좋지 않은 자세를 취하거나 팔을 딛고 넘어졌을때,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때, 머리 위쪽으로 팔을 많이 올리면 회전근개 근육이나 힘줄에 스트레스를 주어 염증과 파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야구투수나 수영선수, 테니스선수나 목수 등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회전근개증후군의 증상회전근개가 견봉 아래에서 부드럽게 마찰 없이 잘 움직일 수 있지만, 회전근개가 상완골에 붙어 견봉 아래를 바짝 붙어서 지나가기 때문에 공간이 매우 좁습니다. 좁아진 공간을 문제없이 지나가야 통증이나 부상 없이 움직임이 가능한데 공간 사이에 문제가 발생하면, 점차적으로 국소적인 압력이 증가하며 팔을 올릴 때마다 상완골과 견봉 사이 좁아진 공간으로 마찰이 일어나, 부딪치고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회전근개 통증이 시작되는데, 이것을 충돌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계속되는 마찰로 인해서 부분 파열이 일어나고 결국 완전 파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통증의 위치는 어깨관절의 앞/옆쪽에서 나타나고 방사되어 팔꿈치, 손가락까지 내려오는 경우가 드물지만 나타나게 되고 목을 지나서 머리까지 통증이 방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통증으로 인해 관절 운동 범위를 줄이면서 근력이 약화되어 파열이 더욱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열이 심하지 않아도 통증이 심할 수 있고 반대로 파열이 심한데도 통증이 적게 나타나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드물게 있습니다.
-
4. 회전근개증후군의 진단 및 검사1) 자가진단법?오십견 - 손을 앞으로 뻗어 만세 자세를 하기 힘들고 뒷짐을 지는 자세가 힘들다.?회전근개손상 -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이 바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양팔을 쭉 뻗고 약간 벌려준 상태로 팔을 들 때 통증이 나타난다면 회전근개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어깨힘줄파열 - 팔을 올릴 수 있지만 내리는 자세에서 통증이 나타난다.2) 진단검사단순 방사선, 견관절 조영술, 초음파검사, MRIX-ray, Arthrogram test, MRI scan
-
5. 회전근개증후군의 치료1) 급성 회전근개 파열부분 파열의 경우는 극상근 건염에서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6주이상 장기간의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를 시행한다.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한다.2) 회전근개 파열 수술보존적 자료로 증상이 회복되지 않은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의 목적은 끊어진 힘줄을 원래의 뼈 부착부에 다시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시행되며 먼저 진단관절경술을 시행한다. 진단 관절경 소견 상 회전근개 두께의 50% 이상 부분파열이 있거나 작은 크기의 완전 파열이 있는 경우 관절경적 견봉 성형술(견봉의 전외측 뼈를 깎아냄)을 시행한 후 피부의 소절개를 통한 회전근개 봉합술을 시행한다.3) 관절 내시경 적 수술관절 내시경 수술은 흉터를 덜 남기고 손상된 구조만을 정확히 초소형 비디오 카메라로 보면서 수술하므로 회복이 빠르다. 관절내시경 봉합나사를 삽입하고 힘줄을 봉합한다.4) 관혈적 수술관절경으로 회전근개가 파열된 상태를 확인한 후 회전근개가 넓게 파열된 경우는 관혈적 수술을 시행한다. 관절경을 사용하여 어깨와 연골의 손상을 치료하고 관혈적으로 회전근개를 복원하면 어깨의 손상부위 전체를 완전히 회복시킬 수 있다.
-
6. 회전근개증후군의 간호중재회전근개힘줄이 견고하게 연결되면 수술 후 즉시 수동적운동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로서 수술 후의 관절유착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최상의 상태로 잘 연결된 힘줄도 마음대로 팔을 들기에는 대단히 약하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완전파열의 경우 환자 자신의 힘으로 팔을 들거나 움직이려면 연결된 힘줄이 완전히 뼈에 붙을때까지 기다려야 한다.(수술후 4-6주) 수술 후 6주간은 운동을 제외한 시간에는 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며, 수술 후 6주부터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일상생활을 혼자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 전의 통증은 수술 후 바로 감소되나 수술 후 두세달 간은 수술에 의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수술 후 대부분 6개월에 환자의 통증은 거의 소실되어 정상적인 일을 할 수 있고, 관절 운동 범위는 반대쪽과 비교할 때 정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 근력강화운동은 회전근개파열의 크기와 힘줄의 상태에 따라 수술 수 약 3개월에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힘줄이 완전히 회복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며 어깨힘줄에 가해지는 힘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주는 것은 통상 3-6개월간(때로는 장기적으로 12개월까지) 피하는 것이 좋다. 크기가 작은 파열 또는 부분파열만 있었던 경우는 수술 후 수일 내에 정상적인 팔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
1. 회전근개증후군회전근개증후군은 어깨 관절 주변의 근육과 힘줄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중년 이상의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어깨 통증, 움직임 제한,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회전근개증후군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반복적인 어깨 사용, 외상, 퇴행성 변화 등이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찰과 함께 영상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주사 치료, 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증상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통증 관리, 관절 가동 범위 증진, 근력 강화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회전근개증후군의 원인회전근개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반복적인 어깨 사용으로 인한 과사용 손상입니다. 특히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이나 운동 선수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둘째, 외상으로 인한 급성 손상입니다. 낙상이나 충돌 등의 사고로 어깨 관절이 손상되면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퇴행성 변화로 인한 만성 손상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어깨 관절의 구조적 변화와 함께 회전근개 힘줄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어깨 관절의 불안정성, 근육 불균형, 비만 등도 회전근개증후군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회전근개증후군의 증상회전근개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깨 통증입니다. 통증은 어깨 앞쪽, 측면, 뒤쪽 등 다양한 부위에서 나타나며, 특히 팔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시 악화됩니다. 둘째, 어깨 관절의 움직임 제한입니다. 통증으로 인해 팔을 들어올리거나 뒤로 젖히기 어려워집니다. 셋째, 근력 약화입니다. 회전근개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 팔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이 힘들어집니다. 넷째, 야간 통증입니다. 밤에 통증이 악화되어 수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어깨 관절 주변의 압통, 부종, 열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4. 회전근개증후군의 진단 및 검사회전근개증후군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철저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진이 필요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 통증 양상, 관절 가동 범위, 근력 등을 면밀히 평가합니다. 또한 영상 검사를 통해 회전근개 손상 여부와 정도를 확인합니다. 대표적인 영상 검사로는 X-ray, MRI, 초음파 검사 등이 있습니다. X-ray는 골격계 이상을 확인하고, MRI는 연부 조직 손상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실시간으로 회전근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빠른 진단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관절 주사 검사, 전기 진단 검사 등을 통해 회전근개증후군을 감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을 활용하고,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5. 회전근개증후군의 치료회전근개증후군의 치료 방법은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보존적 치료로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주사 치료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진통제, 소염제 등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물리 치료는 온열 치료, 전기 치료, 운동 치료 등을 통해 관절 가동 범위와 근력을 향상시킵니다. 주사 치료는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염증을 억제하고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관절경 수술, 개방 수술 등이 있으며, 회전근개 파열 정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관절 기능을 회복하고 통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6. 회전근개증후군의 간호중재회전근개증후군 환자의 간호중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증 관리입니다. 진통제 투여, 온열 치료, 마사지 등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관리합니다. 둘째, 관절 가동 범위 증진입니다. 관절 운동 및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어깨 관절의 가동 범위를 점진적으로 늘려나갑니다. 셋째, 근력 강화입니다. 저항 운동, 근력 강화 운동 등을 통해 회전근개 근육의 힘을 키워 관절 안정성을 높입니다. 넷째, 일상생활 활동 지원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어깨 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하고, 필요 시 보조기 사용 등을 권장합니다. 다섯째, 수술 후 재활 관리입니다. 수술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처 관리, 통증 조절 등을 수행합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간호중재를 통해 회전근개증후군 환자의 증상 관리와 기능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