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실 실습)천두술 CASE, EVD CASE 수술과정 기록
본 내용은
"
수술실 실습)천두술 CASE, EVD CASE 수술과정 기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5
문서 내 토픽
-
1. 경막하 출혈(SDH)경막하 출혈(SDH)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경막(dura) 안쪽에서 뇌 표면의 혈관이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혈관이 외상에 의해 파괴되어 다량의 출혈이 발생하여 뇌와 경막 사이의 경막하 공간(subdural space)에 피가 고여 뇌를 압박하는 상태를 말한다. 급성, 아급성, 만성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 저하, 두통, 마비 등이 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뉘며, 수술로는 천두술, 뇌실외 배액술(EVD) 등이 시행된다.
-
2. 천두술(Trephination)천두술은 두개골을 천공(구멍을 내어)하여 하는 모든 수술을 말하며, 이를 통해 뇌에 발생한 출혈 및 경색을 치료한다. 경막 밑에 고인 피를 제거하거나, 뇌실질에 출혈을 제거하고 뇌실 내에 출혈을 제거하기도 하며, 상승되는 뇌압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천두술의 적응증에는 경막 밑 출혈, 뇌실질 출혈, 뇌실 내 출혈 등이 있다.
-
3. 뇌실외 배액술(EVD)뇌실외 배액술(EVD)은 뇌실내출혈이나 혈압으로 인한 뇌출혈 시, 혈액이 뇌실까지 확산되어 뇌실에서 뇌척수액 흐름이 막힌 경우 뇌의 압력이 갑자기 상승하게 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고인 혈액을 뇌 밖으로 빼내어 주는 수술이다. 감염 위험이 있어 대개 단기간에 걸쳐 일시적으로 뇌압을 조절하고 뇌실 내 고인 혈액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1. 경막하 출혈(SDH)경막하 출혈(SDH)은 뇌 손상의 가장 심각한 형태 중 하나입니다. 두부 외상 후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경막하 출혈은 뇌압 상승, 뇌 조직 손상, 신경학적 증상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최근 영상 진단 기술의 발달로 조기 진단이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높은 사망률과 장애 발생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막하 출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천두술(Trephination)천두술은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외과 수술 기법 중 하나로, 두개골에 구멍을 내어 뇌압을 낮추거나 뇌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고대 문명에서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두술은 감염, 출혈, 뇌 손상 등의 위험이 높아 현대 의학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CT, MRI 등 첨단 영상 진단 기술과 미세 수술 기법이 발달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천두술은 의학 역사적 의의는 있지만, 현대 의학에서는 점차 사라지는 수술 기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뇌실외 배액술(EVD)뇌실외 배액술(EVD)은 뇌실 내 압력을 낮추기 위해 뇌실에 관을 삽입하여 뇌척수액을 배출하는 수술 기법입니다. 주로 뇌출혈, 수두증, 외상성 뇌손상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신속한 뇌압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감염, 출혈, 뇌실 손상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최근에는 뇌압 모니터링 기술과 수술 기법의 발전으로 합병증 발생률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뇌실외 배액술은 뇌압 조절이 시급한 경우 유용한 치료법이지만, 합병증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