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ine 동맥관 목적, 적응증, 삽입준비, 간호
본 내용은
"
a-line 동맥관 목적, 적응증, 삽입준비,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30
문서 내 토픽
-
1. A-line 동맥관A-line은 arterial line으로 동맥 내에 삽입하는 관이다. 주로 radial 동맥에 20G 또는 22G vinca를 삽입하고 ABP(arterial blood pressure) cable을 연결하여 환자의 모니터에서 ABP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A-line을 통해 채혈을 하면 환자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
2. A-line 삽입 부위A-line은 주로 radial 동맥에 삽입하지만, brachial 동맥, femoral 동맥, dorsalis pedis 동맥 등 다양한 부위에 삽입할 수 있다.
-
3. A-line의 목적1) 혈관 내 정확한 압력 측정 2) 지속적인 혈압 감시를 통해 상태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 대처 및 간호중재를 하기 위함.
-
4. A-line 적응증1) 지속적인 혈압 측정이 필요한 critical patient(Hypotension, Hypertension, BP Fluctuation) 2) Shock patient(Hypovolemic, Cardiogenic, Septic) 3) 잦은 puncture와 blood sampling이 필요한 환자(ABGA lab 반복 시)
-
5. A-line 삽입 준비1) Trans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 2) Pressure monitoring kit 3) 0.9% N/S 1L, 2% Lidocaine(필요시) 4) Arm board(필요시), Plasta, 면 pad, Gauze roll 5) Vinca needle(성인: 22G, 20G, 18G / 소아: 24G, 22G) 6) Dressing set, Surgical glove, Tegaderm
-
6. A-line 삽입 과정1) 동의서 확인 2) 삽입 부위 노출 및 고정 3) 의사의 멸균 후 vinca needle로 천자 및 내관 삽입 4) Pressure monitoring kit와 vinca 연결 후 tegaderm으로 고정
-
7. A-line 관리 및 간호1) 매 duty마다 제로잉(Zeroing) 실시 2) 삽입 부위와 말초 순환 상태 확인 3) 자세에 따른 ABP 변화 고려 4) Pressure bag 압력 200-300mmHg 유지 5) 채혈 시 regurge 후 실시 6) 4일마다 Pressure monitoring kit 교환
-
1. A-line 동맥관A-line 동맥관은 환자의 동맥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혈액 가스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의료 장비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혈압, 심박출량, 산소 공급 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A-line 동맥관은 특히 중환자실이나 수술실 등 중증 환자 관리가 필요한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line 동맥관의 정확한 삽입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의료진의 전문성과 숙련도가 요구됩니다.
-
2. A-line 삽입 부위A-line 동맥관은 주로 요골 동맥, 대퇴 동맥, 상완 동맥 등에 삽입됩니다. 이 중 요골 동맥은 가장 일반적인 삽입 부위로, 접근이 용이하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대퇴 동맥은 요골 동맥보다 직경이 크고 혈류량이 많아 혈압 측정이 더 정확하지만, 감염 및 출혈 위험이 높아 주로 중증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상완 동맥은 요골 동맥보다 직경이 크고 혈류량이 많아 혈압 측정이 더 정확하지만, 삽입이 어렵고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A-line 삽입 부위 선택 시 환자의 상태와 의료진의 숙련도, 합병증 발생 위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3. A-line의 목적A-line 동맥관의 주요 목적은 환자의 동맥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혈액 가스 분석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혈압, 심박출량, 산소 공급 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실이나 수술실 등 중증 환자 관리가 필요한 환경에서 A-line은 필수적인 의료 장비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A-line은 혈액 가스 분석을 통해 환자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산-염기 균형 등을 확인할 수 있어 호흡기 관리와 인공호흡기 조절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A-line은 중증 환자 관리에 필수적인 의료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A-line 적응증A-line 동맥관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1) 중환자실 및 수술실 환자: 중증 환자의 경우 혈압, 심박출량, 산소 공급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어 A-line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2) 혈압 관리가 중요한 환자: 고혈압, 저혈압, 쇼크 등 혈압 관리가 중요한 환자에게 A-line은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의 경우 A-line을 통한 혈액 가스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인공호흡기 조절이 가능합니다. 4) 심혈관 질환 환자: 심장 수술,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 환자의 경우 A-line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5) 중증 외상 환자: 중증 외상 환자의 경우 실시간 혈압 모니터링과 혈액 가스 분석이 필요하므로 A-line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A-line은 중증 환자 관리에 필수적인 의료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A-line 삽입 준비A-line 동맥관 삽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1) 환자 확인: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단명 등을 확인하고 동의를 구합니다. 2) 장비 준비: A-line 삽입에 필요한 멸균 키트, 주사기, 주사액, 소독제 등을 준비합니다. 3) 삽입 부위 준비: 삽입 부위를 소독하고 멸균 드레싱 재료를 준비합니다. 4) 환자 체위 조정: 삽입 부위에 따라 환자의 체위를 적절히 조정합니다. 5) 동맥 확인: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동맥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합니다. 6) 의사 협조: A-line 삽입은 의사의 지시 하에 이루어지므로 의사와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준비 과정을 통해 A-line 삽입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6. A-line 삽입 과정A-line 동맥관 삽입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삽입 부위 소독: 삽입 부위를 소독하고 멸균 드레싱 재료를 준비합니다. 2) 동맥 천자: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동맥을 확인하고, 천자 바늘을 삽입하여 동맥에 접근합니다. 3) 가이드 와이어 삽입: 천자 바늘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합니다. 4) 삽입 카테터 삽입: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삽입 카테터를 동맥 내로 삽입합니다. 5) 카테터 고정: 삽입 카테터를 고정하고 멸균 드레싱을 합니다. 6) 연결 및 확인: 카테터를 모니터링 장비에 연결하고 혈압 파형을 확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간호사가 보조하며, 각 단계마다 무균 술식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삽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
7. A-line 관리 및 간호A-line 동맥관 삽입 후에는 다음과 같은 관리 및 간호가 필요합니다: 1) 드레싱 관리: 삽입 부위의 멸균 드레싱을 주기적으로 교환하고 감염 징후를 관찰합니다. 2) 혈압 모니터링: 실시간 혈압 파형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확인합니다. 3) 혈액 가스 분석: 정기적으로 혈액 가스 분석을 수행하여 환자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 산-염기 균형 등을 확인합니다. 4) 카테터 관리: 카테터가 막히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필요 시 교체합니다. 5) 출혈 및 혈전 예방: 삽입 부위의 출혈이나 혈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찰합니다. 6) 환자 교육: 환자와 보호자에게 A-line 관리의 중요성과 주의사항을 교육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관리와 간호를 통해 A-line 관련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실습 처치, 검사 모음집 (관상동맥 조영술, 흉관관리, 요추천자, intubation 간호) 15페이지
처치 및 검사1. 관상동맥 조영술2. 흉관관리3. 요추천자4. INTUBATION 간호1. 관상동맥 조영술1. 목적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내에 조영제를 주입해, 연속적으로 방사선 영상을 기록한 후 협심증,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질환과 관상동맥질환의 진단 및 치료가 목적임2. 적응증- 일반적으로 심근경색, 협심증과 같이 심장혈관이 좁아졌는지 막혔는지 등 혈관의 폐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함- 다른 검사로 설명할 수 없는 가슴, 턱, 목 또는 팔의 통증시- 타고난 심장 결함 (선천성 심장병)3. 절차- 30분~1시간 정도 소...2025.02.17· 15페이지 -
중환자실 실습일지_2018_6일치 6페이지
실습일지실습부서중환자실(ICU)실습일시-실습주제수혈실습내용1. 정의: 수혈은 외상이나 수술로 인한 다량의 실혈, 용혈성 질환과 같이 혈액의 성분을 파괴하는 질환과 백혈병이나 혈우병과 같이 혈액 내 필요한 성분을 만들지 못하는 질환 등 여러 이유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받는 치료이다.2. 종류1) 전혈 : 헌혈자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그대로 항응고제가 들어가 있는 혈액백에 채워 냉장 보존한 것이다. 보존 기간은 35일 정도이다.2) 농축 적혈구 : 전혈에서 혈장과 혈소판을 제거하여 제조한 것이다.3) 혈소판 제제 : 전혈에서 제조하는 농...2024.01.19· 6페이지 -
성인간호학) 수술실(OR) 실습 케이스 _ 폐기종 A+ 10페이지
폐기종(Emphysema)목 차Ⅰ. 문헌고찰Ⅱ. 수술 전 준비 상황 확인Ⅲ. 수술 절차 및 간호Ⅳ. 마취 과정Ⅴ. 수술에 사용된 물품 및 기구 확인환자 성명: 김**연 령: 61성 별: M과 명: CS병 동: **수술 날짜: 202*. 11. 23의학적 진단명: Emphysema, unspecified 상세불명의 폐기종수 술 명: Wedge resection of lung 쐐기 폐 절제Ⅰ. 문헌고찰진단명 : Emphysema, unspecified 상세불명의 폐기종정의: 여러 원인에 의해서 기관지나 폐에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하여...2025.03.16· 10페이지 -
외과계중환자실(NCU) 사전학습 및 의학용어/성인실습 13페이지
Ⅰ. 용어 및 약어약어용어의미AAAAbdominal aortic aneurysm복부 대동맥류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동맥혈가스분석검사ABPArterial blood pressure동맥압ABRAbsolute bed rest절대침상안전ACAbdominal circumference, Assist control복부 둘레 비율AFAtrial fibrillation, atrial flutter심방세동A-lineArterial line동맥관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급성호...2021.06.26· 13페이지 -
[A+보장, 성적표 인증o) 수술실 실습 케이스_bentall op, 대동맥류 수술 케이스, bentall op 수술세트 및 수술과정(현직 간호사 선생님께 얻은 정보도 많습니다!) 12페이지
성적표 인증합니다~~ 실습 중 간호사 선생님께 물어봐서 많이 수정했던 자료입니다.교수님께서도 극찬하셨어요!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면 좋겠습니다ㅎㅎ2023년도 1학기 성인간호학실습Ⅳ사례 보고서진단명: Aortic(Valve) stenosis Aneurysm of aorta수술명: Bentall’s operation교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Ⅳ실습 병원과 병동**대학교병원 수술실학번이름제출일목차1. 수술사례연구 보고서1) 수술 전 간호과정2-OR) 수술 과정(1) 수술명, 정의 및 적응증(2) 기구 및 장비(3) 절차 및 간호3-OR) ...2024.06.05·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