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실(OR) 사전학습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수술실(OR) 사전학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6
문서 내 토픽
-
1. 수술 전 투약수술 전 환자의 불안이나 흥분을 경감시키는 진정작용, 기도 분비물의 억제, 미주신경 반사 억제, 진통작용, 기초대사 저하 작용, 마취제의 용량 감소, 실제 수술 과정 동안 일어나는 일에 대해 잊게 하는 것이 수술 전 투약의 목적입니다. 진정제, 부교감 신경 억제제, 진통제, 정온제 등의 약물이 사용됩니다.
-
2. 소독간호사의 역할소독간호사는 수술 과정을 인식하고, 멸균 물품을 무균적으로 준비하며, 기구의 개수를 확인하고, 외과적 손위생을 실시하고, 집도의와 보조의의 gowning과 gloving을 보조하며, 수술부위 소독을 돕고, 수술 진행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
3. 순환간호사의 역할순환간호사는 수술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마취 시작과 종료 시간, 수술 관련 정보를 기록하며, 집도의와 보조의의 gowning을 보조하고, 대상자의 낙상 예방을 위해 옆에서 지키며, 소독간호사가 요청하는 물품을 제공하고, 수술 종료 후 정리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
4. 수술 중 체위수술 중 체위에는 앙와위, Trendelenburg 체위, 복와위, 측위, 쇄석위, Jackknife 체위 등이 있으며, 각 체위에 따른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앙와위는 뼈의 돌출부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Trendelenburg 체위는 호흡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
5. 외과적 손 씻기외과적 손 씻기는 손과 아래팔을 따뜻한 물로 적신 후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톱 밑부터 팔꿈치까지 체계적으로 문지르는 과정입니다. 이후 흐르는 물에 헹구고 수건으로 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
6. 멸균 가운 착용멸균 가운 착용 시 가운 내부의 목둘레 아래 부위를 잡고 들어 올려 가운을 길게 늘어뜨린 후 양쪽 손으로 소매 구멍을 찾아 팔을 넣습니다. 보조자가 등 뒤에서 가운 뒷부분을 잡아당기고 허리띠를 묶어줍니다.
-
7. 마취제전신마취제에는 흡입마취제(Cyclopropane, Halothane, Enflurane, Isoflurane, Sevoflurane 등)와 정맥마취제(Thiopental, Ketamine, Fentanyl 등)가 있으며, 국소마취제에는 Cocaine hydrochloride, Lidocaine 등이 있습니다. 각 마취제의 작용 및 부작용이 다릅니다.
-
8. 회복실 간호회복실에서는 안전한 마취회복, 가스교환 증진, 적절한 순환기능, 수분과 전해질 균형, 통증관리, 수술 상처 간호, 체온변화 관리, 오심/구토 완화, 불안 감소, 심리사회적 지지 등의 간호가 이루어집니다.
-
9. 수술 후 합병증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호흡기계 합병증, 혈전증, 장폐색, 상처 열개, 내장 돌출, 요정체 등이 있습니다. 각 합병증의 증상과 예방 및 중재 방법이 다릅니다.
-
1. 수술 전 투약수술 전 투약은 수술 전 환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술 전 투약은 환자의 상태와 수술의 종류에 따라 달리 이루어져야 하며, 간호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약물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에게 수술 전 투약의 목적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의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전 투약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2. 소독간호사의 역할소독간호사는 수술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소독간호사는 수술 전 수술 물품과 기구의 멸균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 중 무균 술식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소독간호사는 수술 중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제공하고, 수술 후 사용된 물품을 적절히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독간호사는 수술 과정에서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독간호사의 전문성과 책임감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순환간호사의 역할순환간호사는 수술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전 수술실 환경을 준비하고, 수술 중 필요한 물품을 신속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순환간호사는 수술 중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순환간호사는 수술 과정에서 의사와 소독간호사를 지원하고, 환자의 안전과 수술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순환간호사의 전문성과 협력 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입니다.
-
4. 수술 중 체위수술 중 체위는 수술의 성공과 환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체위 유지는 수술 부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상태와 수술 계획을 고려하여 최적의 체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수술 중 체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체위를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수술의 성공과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5. 외과적 손 씻기외과적 손 씻기는 수술실에서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입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철저한 손 씻기를 통해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손 씻기는 일반적인 손 씻기와 달리 더 엄격한 절차와 시간이 요구되며, 간호사는 이를 정확히 숙지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수술 중 손 씻기 절차를 지속적으로 준수하고, 필요 시 재 씻기를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수술실 내 감염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6. 멸균 가운 착용멸균 가운 착용은 수술실에서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인 절차입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멸균 가운을 올바르게 착용하여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해야 합니다. 멸균 가운 착용 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가운의 크기와 길이가 적절한지, 가운이 오염되지 않았는지, 가운을 벗을 때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절차를 숙지하고 실천함으로써 수술실 내 감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7. 마취제마취제는 수술 중 환자의 통증을 억제하고 의식을 소실시키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간호사는 마취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 마취제를 투여하고,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마취제의 부작용을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수술 중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간호사의 마취제에 대한 전문지식과 응급 대응 능력은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
-
8. 회복실 간호수술 후 회복실에서의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회복실에서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증과 출혈 등의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안전한 이송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9. 수술 후 합병증수술 후 합병증은 환자의 회복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의 관심과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합병증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는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함으로써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수술실사전학습,OR,수술실,무균법,가운,수술기구정리 16페이지
실습 전 학습과 목 :성인간호학 실습II지도교수 :실습장소 :학 번/반 :성 명 :제 출 일 :목차1. 외과적/내과적 무균법 차이2. 가운착용법(폐쇄식)3. 수술실 온도, 습도4. scrubbing Gloving and Gowning의 목적, 방법, 주의점5. 무균법의 원칙 및 소독 방법 및 종류6. 마취의 목적 및 방법, 마취의 종류, 항불안제, 마취제, 근육이완제, 항콜린성 제제7. 수술방/수술상 준비8. 기구종류, Package opening 및 싸는법 Suction 및 Bovie의 기능 점검9. Mass, needle, su...2021.09.17· 16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수술실 OR 사전 학습 18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전 학습1. Scrubbing의 목적, 방법, 주의점에 대해 학습하시오.1) scrubbing의 목적:손, 손톱, 전박에 있는 일시균을 제거하고, 상주하는 미생물을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인 방법으로 제거한다.2) scrubbing의 방법①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신발, 모자, 마스크를 착용한다.② 시계와 반지 등을 빼고 발이나 무릎으로 물을 틀어 물의 온도 및 물줄기를 조절한다.③ 손 끝을 팔꿈치보다 높게 하여 물이 손에서 팔 쪽으로 흐르게 한다.④ 손과 팔을 적신 후(팔꿈치 위 2-3 inches까지) 소독비누액을 ...2021.05.13· 18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수술실 OR 30페이지
실습 전 학습내용 보고서반/학번이름담당교수님제출일1.용어 및 약어2.주요학습내용1)마취(전신마취, 척추마취)2)수술 전 환자준비 : 수술 전 환자방문, 수술환자 확인 및 정서적지지, 피부소독, 수술별 체위3)회복실 간호4)봉합사와 바늘류5)멸균과 소독6)수술 환자 간호3.주요 질환4.주요 수술5.추가학습내용-공통-OR학습내용1.용어 및 약어약 어용 어의 미AppeAppendectomy충수절제술B/GBone graft뼈이식BxBiopsy생검C/RClosed Reduction폐쇄정복D&CDilatation&Curettage자궁목확장Ex...2022.05.13· 30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전학습 보고서(OR) 18페이지
사전학습보고서- OR -실습기관 :실습부서 :실습기간 :제출자 :담당교수 :1. 수술실 환경? 비제한 구역- 수술복, 마스크, 수술실 전용 실내화, 모자를 착용하여 들어가는 곳으로 각 방의 수술실과 수술실 방 복도, 손을 씻는 스크럽 지역 등이 있다.? 준제한 구역- 실내화를 마찬가지로 착용하지만 회복실, 장비창고, 수간호사실, 간호사 휴게실, 통제실 등이 있다.? 제한 구역- 비제한 구역은 일반복장으로 출입이 가능하며 환자의 대기공간, 수술실 내부의 회의실, 식당, 사무실 등이 있다.? 이행 구역- 탈의실1) 물리적 설비(온도, ...2023.10.01· 18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OR 사전학습 13페이지
사전학습[OR; 수술실]1) 수술실 환경... 3page2) 수술실 안전관리... 3page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 4page4) 수술을 위한 환자의 피부준비... 4page5) 수술체위의 종류... 5page6) 수술을 위한 기본준비... 5-6page7) 수술기본장비... 7page8) 수술기구... 8-9page9) 전신마취의 단계... 10page10) 전신마취의 방법... 10page11) 흡입마취제의 종류... 11page12) 척수마취 간호... 11page13) 국소마취의 종류... 12page14) ...2022.09.26·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