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내용정리
본 내용은
"
약리학과제 약물내용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4
문서 내 토픽
  • 1. Nexium (넥시움)
    넥시움은 경구 요법이 적절치 않을 때 경구 요법에 대한 대체요법으로서 식도염이 있고/혹은 위 식도역류에 따른 증상이 심한 위 식도역류질환(GERD)과 급성 출혈성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의 내시경치료 후 재출혈의 예방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두통, 어지럼, 지각이상, 변비, 설사, 구역/구토, 소화불량 등이 있습니다. 경구 요법을 할 수 없는 환자에게 1일 1회 20~40mg을 정맥 투여하며, 역류 식도염 환자는 1일 1회 40mg, 식도 역류에 대한 증상 치료에는 1일 1회 20mg을 투여합니다.
  • 2. Multiblue (멀티블루)
    멀티블루는 경정맥 영양보급시 미량원소(아연, 구리, 망간, 셀레늄, 크롬)의 보급에 사용됩니다. 이 약에 함유된 미량원소의 양은 매우 적어 처방된 용량에서 독성증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하되, 혈장 미량 원소량을 확인하여 용량 조절의 지침으로 삼습니다. 정맥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희석하지 않은 채로 직접 주입하지 않으며, 저삼투 용액이므로 혼합주사에만 사용합니다.
  • 3. Tanamin (타나민)
    타나민은 뇌 혈액순환장애 및 뇌 영양장애(뇌혈관부전), 동맥경화성 혈관증, 괴저 상태의 당뇨병성 혈관손상, 말초동맥폐색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저혈압, 현기증, 두통, 열감, 통증, 위장장애, 오한 등이 있습니다. 1일 5~10mL를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하거나 2일마다 15mL를 정맥 주사합니다.
  • 4. Onseran (온세란)
    온세란은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에 의한 구역과 구토, 수술 후 구역과 구토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때때로 열감, 전신 권태감, 딸꾹질, 발한, 혈관통, 발적, 두드러기 등이 있습니다. 경구, 정맥주사, 근육주사로 온단세트론으로서 1일 8-32mg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투여할 수 있습니다.
  • 5. Macperan (맥페란)
    맥페란은 수술 후 구역구토 예방, 방사선요법 유발 구역·구토 예방, 구역·구토의 증상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복통, 설사, 변비, 호흡곤란, 후두부종, 두드러기, 기관지 경련 등이 있습니다. 정맥투여 시 천천히 주입해야 하며, 일일 최대권장용량은 30mg 또는 체중 kg당 0.5mg입니다.
  • 6. Trodon (트로돈)
    트로돈은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각종 암 등), 진단 및 수술후 동통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때때로 발열, 열감, 오한, 냉감, 두드러기, 발진, 시각장애, 미각장애, 체중감소, 주사부위의 자극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염산트라마돌로서 1회 50-100mg을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 한 후 필요에 따라 4-5시간마다 반복주사하며, 1일 최고 400mg까지 투여할 수 있습니다.
  • 7. Tiropa (티로파)
    티로파는 간 담도 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산통, 신장·요관의 산통과 위장관 이상 운동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 유착에 효과가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구갈, 구역, 구토, 변비, 가려움, 홍반 등의 알러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염산티로프라미드로서 1회 50mg(3mL)을 근육 또는 정맥주사하며, 필요에 따라 1시간 후에 반복 투여할 수 있습니다.
  • 8. Algiron (알기론)
    알기론은 위장관계·담도계·비뇨기계의 경련 및 기능적 운동장애, 간산통, 신산통, 월경곤란, 소화관 내시경 검사시의 전 투약, 분만 통증 시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일시적으로 구강건조, 눈의 조절장애, 빈맥, 감각 장애, 배뇨 곤란, 안압상승, 두통, 어지러움, 안면 홍조, 다행증, 졸음, 무력증, 변비, 구역, 알레르기성 피부반응 등이 있습니다.
  • 9. Paceta (파세타)
    파세타는 외과 수술 후 통증과 발열의 단기간 치료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정맥주사 후 일시적인 구토, 어지러움, 권태, 완화한 혈압강하, 국소통증과 근육주사 후 국소통증이 있습니다. 1회 1~2g을 4시간 간격으로 2~4회 투여하며, 1일 8g을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 10. Keromin (케로민)
    케로민은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수술후 통증 포함)에 대한 단기요법과 마약성 진통제가 금기인 중증의 수술후 통증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때때로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기관지경련, 후두부종, 혀부종, 저혈압, 조홍, 발진과 같은 과민반응, 체중증가, 발열, 감염, 무력증 등이 있습니다. 케토롤락트로메타민염으로서 근육주사 및 정맥주사 시 초회 용량으로 10mg을 투여하고 유지용량으로 10-30mg을 4-6시간마다 투여합니다.
  • 11. Newfenac (뉴페낙)
    뉴페낙은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외상후·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산통에 사용됩니다. 부작용으로는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설사 등이 있습니다. 디클로페낙 베타-디메틸아미노에탄올로서 1일 90mg을 둔부의 상부 한쪽편에 깊숙이 주사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Nexium (넥시움)
    Nexium은 위산 분비 억제제로 위식도 역류질환, 소화성 궤양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위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증상 완화와 치유에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장기 복용 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과 병행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Multiblue (멀티블루)
    Multiblue는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이 제품은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돕고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섭취가 필요하며,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처방약과의 상호작용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 3. Tanamin (타나민)
    Tanamin은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며 불안, 수면 장애 등의 증상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임신 및 수유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4. Onseran (온세란)
    Onseran은 항암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구토 및 메스꺼움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항암 치료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임신 및 수유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항암 치료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5. Macperan (맥페란)
    Macperan은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혈관 확장과 혈압 강하 작용을 통해 고혈압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임신 및 수유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고혈압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6. Trodon (트로돈)
    Trodon은 통증 완화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신경 전달 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통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중독 위험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7. Tiropa (티로파)
    Tiropa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갑상선 호르몬 보충을 통해 갑상선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임신 및 수유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8. Algiron (알기론)
    Algiron은 알레르기 증상 완화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히스타민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임신 및 수유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알레르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9. Paceta (파세타)
    Paceta는 통증 및 발열 완화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를 통해 통증과 발열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위장관 부작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통증 및 발열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10. Keromin (케로민)
    Keromin은 항진균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진균 세포막 합성 억제를 통해 진균 감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간 독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진균 감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11. Newfenac (뉴페낙)
    Newfenac은 소염진통제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억제를 통해 통증과 염증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고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위장관 부작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 하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통증 및 염증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