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교육실습 서울대 한국어1 1과 4차시 교안 수업지도안
본 내용은
"
한국어교육실습 서울대 한국어1 1과 4차시 교안 수업지도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3
문서 내 토픽
-
1. 국적과 직업 어휘국적과 직업에 대한 어휘를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자기소개와 인사를 할 수 있습니다. 국기와 직업 카드를 활용하여 어휘를 익히고 반복 연습을 통해 익숙해지도록 합니다.
-
2. 비격식적 자기소개목표 문법 'N은/는 N이에요/예요'를 사용하여 비격식적인 자기소개를 할 수 있습니다. 이름과 국적, 직업 등을 소개하는 연습을 하며 문법 형태와 사용법을 익힙니다.
-
3. 격식적 자기소개목표 문법 'N입니까?, N입니다', 'N이/가 아닙니다'를 사용하여 격식적인 자기소개를 할 수 있습니다. 국적과 직업을 묻고 답하는 연습을 하며 격식적인 표현을 익힙니다.
-
4. 자기소개 말하기와 쓰기1과에서 학습한 문법과 표현을 활용하여 자기소개를 말하고 쓸 수 있습니다. 명함 작성과 SNS 프로필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릅니다.
-
5. 공공장소에서 사람 찾기교재 207페이지의 카드를 활용하여 공공장소에서 사람을 찾아 질문하고 대화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릅니다.
-
1. 국적과 직업 어휘국적과 직업 어휘는 언어 학습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습니다. 국적과 직업 어휘를 익히면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태도를 기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주제에 대한 학습은 언어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문화 간 이해와 소통 증진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비격식적 자기소개비격식적 자기소개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신을 소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친밀감을 높이고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비격식적 자기소개에서는 자신의 개성과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며, 상대방과의 공통점을 찾아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또한 비격식적 자기소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 사용과 태도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
3. 격식적 자기소개격식적 자기소개는 공식적인 상황에서 자신을 소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격식적 자기소개에서는 자신의 경력, 자격, 업적 등을 중심으로 간단하고 명확하게 소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상대방의 지위와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언어와 태도를 사용해야 합니다. 격식적 자기소개를 통해 전문성과 신뢰감을 전달할 수 있으며, 상대방과의 긍정적인 첫인상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
4. 자기소개 말하기와 쓰기자기소개는 말하기와 쓰기 모두에서 중요한 의사소통 기술입니다. 말하기 자기소개에서는 상대방과의 직접적인 대화를 통해 자신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적절한 언어 사용, 목소리 톤, 눈 맞춤 등이 중요합니다. 반면 쓰기 자기소개에서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구조를 통해 자신을 소개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구사, 적절한 어휘 선택 등이 필요합니다. 말하기와 쓰기 자기소개 모두 상황과 목적에 맞게 자신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공공장소에서 사람 찾기공공장소에서 사람을 찾는 것은 때때로 어려운 과제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 사용과 태도가 필요합니다. 먼저 상대방의 주의를 끌기 위해 공손하고 명확한 말투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반응을 주시하며 필요한 정보를 정중하게 요청해야 합니다. 이때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비언어적 표현(눈 맞춤, 몸짓 등)을 활용하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공공장소에서 사람을 찾는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