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보건교육학 - 보건교육사제도 도입배경, 보건교사 변천과정
본 내용은
"
A+ 보건교육학 - 보건교육사제도 도입배경, 보건교사 변천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2
문서 내 토픽
-
1. 보건교육사제도 도입배경우리나라는 건강증진을 통한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지지적 보건정책을 수립하고자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을 통해 건강 증진사업을 위한 인력 및 조직마련의 기틀을 제시하였고, 보건교육을 위한 전문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보건교육사가 제도적으로 양성되기에 이르렀다.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에는 보건교육의 정의 및 보건교육 실시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보건교육에는 금연, 절주 등 건강생활 실천, 만성퇴행성 등 질병예방, 영양 및 식생활, 구강건강, 공중위생, 건강증진을 위한 체육활동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본격 도입을 위해 건강증진의 3요소라 할 수 있는 보건교육은 중요하게 거론되면서 우리나라에서 전문적으로 보건교육을 기획, 수행, 평가할 수 있는 보건교육전문가를 양성해야한다는 주장과 함께 수년간의 검토 끝에 보건교육사제도를 탄생시키게 된 것이다. 이에 2008년에 보건교육사의 자격과 보건교육사 채용에 관한 조항 및 국가시험에 대한 법 개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2. 보건교사 변천과정1895년 :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 학교법규인 한성사범학교관제를 칙령으로 공포 1907년 : 학생 신체검사 및 교의설정에 관한 칙령 공포 1930년 : 이화학당에 간호사가 배치되어 학생의 건강관리를 했다는 기록 1949년 : 교육법 제 89조에 신체검사와 양호시설의 설비에 대한 규정을 두어 학교보건사업이 필요하고 실시되어야 함을 강조 1951년 : 학교신체검사 규칙제정. 신체검사와 예방접종 위주의 학교보건사업 실시 1953년 : 교사의 자격기준에 양호교사가 제도화됨 1956년 : 문교부 장관에 의한 양호교사자격증 발행 1961년 : 학교 간호사가 고용직에서 교사직인 양호교사로 발령받음 1967년 : 학교보건법 제정 1969년 : 학교보건법시행령 공포 1979년 : 문교부 직제에 처음으로 학교보건과가 생김. 보건과 체육의 구분 1981년 : 학교 급식법시행령 제정 공포 1986년 : 전국양호교사회 창설, 전국양호교사회 발기총회에서 정관채택 및 휘문고 재직 중인 박양자 회원이 초대회장으로 선출됨 1993년 : 양호교사 직무 삽입(학교보건법 시행령 제정) 1998년 : 양호실이 보건실로 명칭변경(학교보건법 제7차 개정) 양호교사가 초, 중등교육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해 보직교사로 임용될 수 있게 됨 2000년 : 제21조 교원의 자격조항에서 양호교사(2급)의 자격기준 개정(간호학과 졸업자로서 재학 중 교직학점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를 가진 자로 함) 2002년 : 양호교사 명칭이 보건교사로 변경됨. 보건교사의 전문상담교사 자격취득 가능 2003년 : 보건과 교육실습, 교과교육론, 교재연구 및 지도법 등 교직과정 이수를 위한 교재 개방
-
1. 보건교육사제도 도입배경보건교육사제도는 학교 보건교육의 전문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보건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기존의 보건교사 제도에서는 보건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고 교육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학생들의 건강관리와 보건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보건교육 전문가인 보건교육사를 양성하고 배치하여 학교 보건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보건교육사제도 도입의 주요 배경입니다. 보건교육사는 보건교육 관련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어 학생들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보건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보건교사 변천과정보건교사 제도는 1950년대 초반부터 도입되어 발전해왔습니다. 초기에는 학교 내 보건관리와 응급처치 등의 역할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점차 보건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보건교사의 역할과 책임이 확대되었습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보건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해 보건교사 자격증 제도가 도입되었고, 2000년대 들어서는 보건교사의 배치 기준이 강화되는 등 보건교사 제도가 더욱 체계화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보건교육사 제도 도입으로 보건교사와 보건교육사의 역할 분담 및 협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보건교사 제도는 학교 보건 관리와 보건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