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교육 중급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어미 '-(으)ㄴ/는 반면에'의 문법 수업 지도안
본 내용은
"
한국어 교육 중급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어미 중 한 개를 선정하여 도입,제시,연습,활용,마무리단계의 문법 수업 지도안과 자룔를 구성해 보십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1
문서 내 토픽
-
1. 연결어미 '-(으)ㄴ/는 반면에'연결어미 '-(으)ㄴ/는 반면에'는 선행절과 후행절의 내용이 서로 반대되는 사실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또한 어떤 것에 대해서 좋은 점을 말하면서 나쁜 점도 같이 말하고 싶을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연결어미의 형태는 동사의 경우 과거 시제는 '-(으)ㄴ 반면에', 현재 시제는 '-는 반면에'를 사용하며, 형용사의 경우 '-(으)ㄴ 반면에'를 사용합니다.
-
1. 연결어미 '-(으)ㄴ/는 반면에'연결어미 '-(으)ㄴ/는 반면에'는 두 개의 절을 연결하여 대조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 연결어미는 문장의 구조를 보다 복잡하게 만들지만, 문장의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수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반면에 영희는 게임을 합니다.'라는 문장에서 '-(으)ㄴ/는 반면에'는 철수와 영희의 행동이 대조적임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이 연결어미는 문장의 논리성과 명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다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문장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