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도 실행에 있어, 지역의 좋은 사례를 예로 들어 좋아진 점과 나빠진 점을 비교분석
본 내용은
"
지방자치제도 실행에 있어, 지역의 좋은 사례를 예로 들어 좋아진 점과 나빠진 점을 비교분석 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20
문서 내 토픽
  • 1. 주민참여 예산제
    주민참여 예산제는 지방분권에 따른 국정 과제로서 이를 활성화하여 지방재정의 민주성과 책임성, 투명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제도입니다. 이에 따라 지역의 주민들은 공청회, 간담회, 설문조사 또는 사업공모 등을 통해 지방자치제도의 행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주민 참여 예산제는 2005년 법령이 만들어져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현재 243개의 지자체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민참여 예산제를 통해 지역 복지 증진의 효과를 누린 사례로는 부산광역시의 송정 민박촌 개선 사례와 강원도 춘천시의 청년 일자리 창출 사례, 충남 논산시의 소외계층 주거개선 사업 등이 있습니다.
  • 2. 주민참여예산제의 문제점
    주민참여예산제 도입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참여 예산에 관여하는 주민의 비율이 극히 소수이며 다수의 주민들은 제도의 존재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지역 내에서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점입니다. 둘째, 주민참여예산 위원회의 대표성 문제와 지역에 따라 위원회가 구성되지 않거나 형식적 기구로 역할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에 대한 홍보 부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지역 안에서도 불균형이 발생하고 갈등과 대립이 심화될 수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민참여 예산제
    주민참여 예산제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예산 편성 과정에 반영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편성 과정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 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 의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민참여 예산제가 실질적인 주민 의견 반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방자치단체의 의지, 그리고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주민참여예산제의 문제점
    주민참여예산제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주민 참여가 저조한 경우가 많아 실제 주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둘째, 주민 의견 수렴 과정에서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가 과도하게 반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셋째, 주민 의견 수렴 결과와 실제 예산 편성 간의 연계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넷째,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에 필요한 행정 인력과 예산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민 참여 활성화, 의견 수렴 과정의 공정성 확보, 예산 편성과의 연계성 강화, 제도 운영을 위한 행정 지원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