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본 내용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5
문서 내 토픽
  • 1. Pushbutton switch 연결
    Pushbutton switch을 브레드보드를 이용해서 연결할 때, Pushbutton switch의 핀이 브레드보드와 완전히 호환되지 않아 누를 때마다 계속 빠지는 현상이 있었다. 이때 회로를 제 때 끊지 않아 저항에 계속 전류가 흐르게 된 경우가 있었고 이로 인한 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 2. 저항 과전류 문제
    만약 Pushbutton switch가 없다면 저항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회로전체, 특히 저항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저항이 타버릴 수 있다. 실제로 저항의 허용 전력은 1/4W인데, 실험에서 사용한 전압 값은 대략적으로 6V이고 이에 건전지에 흐르는 전류값은 약 0.6A이기에 허용 전력을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Pushbutton switch 연결
    Pushbutton switch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유용한 입력 장치입니다. 이를 올바르게 연결하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 회로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ushbutton switch는 전원 공급 장치와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다른 전자 회로 사이에 연결됩니다. 버튼을 누르면 회로가 닫히고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이를 감지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디바운싱 회로를 사용하여 버튼 입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풀업 또는 풀다운 저항을 사용하여 버튼이 눌리지 않을 때 입력 신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pushbutton switch를 올바르게 연결하면 사용자 입력을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 2. 저항 과전류 문제
    저항 과전류 문제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저항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면 저항이 과열되어 회로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항의 정격 전력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회로의 전압과 저항 값을 고려하여 옴의 법칙을 이용해 적절한 전류를 계산하고, 이에 맞는 저항을 선택해야 합니다. 과전류 문제가 발생하면 저항을 교체하거나 병렬 저항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저항 과전류 문제에 대한 이해와 대응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