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해외진출 방식 중 '턴키계약'과 'BOT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 방식들을 쓰고 있는 실제 기업의 사례
본 내용은
"
기업의 해외진출 방식 중 '턴키계약'과 'BOT방식'에 대해 알아보고,(내용, 장단점 등) 이 방식들을 쓰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8
문서 내 토픽
  • 1. 턴키계약
    턴키는 Turn Key라는 용어이다. 수주업체가 발주업체로부터 공사를 일괄적으로 수주받아서 가동 준비까지 완료된 상태로 공장을 양도하기로 약속한 건설 계약의 종류라고 볼 수 있다. 수주업체는 공사 설계, 구매 조달, 시공, 시운전 등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발주업체는 총액만 입찰 과정으로 결정한다. 공사가 끝난 이후 발주업체가 받을 공장의 완성도가 키를 꽂아 돌리면 모든 설비들이 완벽하게 가동되는 상태로 인도한다는 의미에서 비롯해 턴키 계약이라고 하는 것이다. 턴키 계약 방식은 수주업체의 자율적인 역량이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생각해 볼 수 있고 건설 시공의 효율성을 위하여 도입된 제도라고 볼 수 있다.
  • 2. BOT 방식
    BOT 방식은 Build-Own Operate Transfer의 약자로 도로, 항만, 교량 등 인프라를 건조한 시공사가 일정한 기간 동안 이를 투자하여 투자비를 회수한 뒤에 발주처에 넘겨주는 수주 방식을 의미한다. 건설하여 소유권을 취득한 후 국가에 귀속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사회간접자본 건설 사업에 민간 자본을 유치하는 일방적인 방식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 3. LS전선 방글라데시 전력 케이블 사업
    턴키 계약의 성공 사례로는 LS전선이 방글라데시에 전력 케이블 사업을 실시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LS전선은 방글라데시 전력청으로부터 전력 사업의 단독 진행을 요청받았다. 수도인 다카를 중심적으로 도심에 전력 케이블을 지중화하고 새 케이블을 매설하여 전력망을 확충하는 사업으로 아시아 인프라 투자은행이 설립된 이후 최초로 승인한 차관 프로젝트이다. 수주 금액이 한화로 약 670억 원의 규모로 제품의 생산은 물론이고 철탑 시공까지 포함하는 수주로 가공 테이블을 철탑 및 전주에 가설하는 것으로 지중 케이블이 도심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서 주로 원거리 송전에 사용할 수 있다.
  • 4. SK건설 알마티 순환도로 프로젝트
    BOT 사례로는 SK건설에서 진행한 알마티 순환도로 프로젝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알마티 순환도로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의 수도인 알마티 인구 증가에 따라서 교통이 혼잡해지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66km의 순환도로와 교량 21개 인터체인지 8개를 건설 및 운영하여 정부에 이관하는 BOT 방식의 민관협력 사업이다. 총 사업 기간은 약 20년으로 운영 기간은 15년이며 SK건설은 EPC뿐만 아니라 출자자로 참여하여 공사수익 외 투자에 대한 배당 수익도 받게 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턴키계약
    턴키계약은 프로젝트 전체를 단일 계약으로 발주하는 방식으로, 발주처와 시공사 간의 책임과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공사가 설계부터 시공, 운영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므로 공기 단축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발주처 입장에서는 단일 창구로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다만 시공사의 과도한 리스크 부담과 발주처의 설계 변경 제한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2. BOT 방식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은 민간 기업이 공공 인프라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 기간 운영한 뒤 정부에 이전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민간의 기술과 자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민간 기업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 높은 사용료가 책정되는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부의 적절한 규제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기간의 운영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관리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 3. LS전선 방글라데시 전력 케이블 사업
    LS전선의 방글라데시 전력 케이블 사업은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한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전력 인프라 구축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LS전선의 기술력과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판단됩니다. 다만 현지 정치·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인프라 구축의 어려움, 현지 업체와의 경쟁 등 다양한 리스크 요인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 구축을 위해 현지 사회 공헌 활동 등 ESG 경영 전략도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 4. SK건설 알마티 순환도로 프로젝트
    SK건설의 알마티 순환도로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 인프라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사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알마티는 카자흐스탄의 경제 중심지로, 교통 인프라 개선을 통한 도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SK건설의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현지 정치·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환율 변동, 현지 인력 확보 등의 리스크 요인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 구축을 위해 현지 사회 공헌 활동 등 ESG 경영 전략도 병행해야 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