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중앙대 아동간호학 실습 선행시험 기출문제 및 답안
본 내용은
"
2023 중앙대 아동간호학 실습 선행시험 기출문제 및 답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6
문서 내 토픽
-
1. 아동의 맥박 측정영아와 2세 미만 아동은 심첨맥박(Apical pulse)을 측정하고, 2세 이상 아동은 요골맥박(Radial pulse)을 측정한다. 심장 리듬이 불규칙할 수 있으므로 1분간 측정하며, 자주 측정할 경우 15~30초간 측정하기도 한다. 아동이 자는 동안 심첨맥박을 측정하고, 맥박과 아동의 행동을 기록한다.
-
2. 병원 감염 예방유기체의 확산을 방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균법(손씻기)이다. 간호사는 아동을 간호할 때 신체분비물, 소변, 대변, 토사물에 접촉할 기회가 많으므로 환자 접촉 전후, 오염물질 접촉 후, 같은 환자라도 다른 신체부위를 만지기 전 손씻기를 해야 한다. 환자의 체액이나 혈액 등 오염물이 묻은 경우, 화장실을 다녀온 후 흐르는 물에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고, 눈에 보이는 오염물이 없는 경우 물 없이 손소독을 적용한다.
-
3. 발열 환자 사정 및 간호발열 환자 사정 항목에는 체온, 불감성 수분손실, 피부색/피부온도, 경련발작, 의식 수준, 혈압, 맥박, 호흡, 백혈구/혈색소/혈소판의 수치, I/O, 산염기 불균형, 비정상적 전해질이 포함된다. 발열 환자 간호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기준점을 내리는 간호 중재는 해열제 투여이며, 환경적 중재와 전통적 냉요법도 시행할 수 있다. 열성경련이 발생할 경우 열성질환 동안 제공되는 간호와 편안함에 초점을 맞춘다.
-
4. 활력징후 정상 수치연령별 아동의 활력징후 정상 수치는 다음과 같다: 신생아(온도 35.5~37.5℃, 맥박 100~160회/분, 호흡 30~50회/분, 혈압 40mmHg), 영아(온도 37.4~37.6℃, 맥박 80~150회/분, 호흡 20~40회/분, 혈압 75~100/50~70mmHg), 유아(온도 37.2~37.6℃, 맥박 80~130회/분, 호흡 20~30회/분, 혈압 80~110/50~80mmHg), 학령전기(온도 37.0~37.2℃, 맥박 70~110회/분, 호흡 20~30회/분, 혈압 80~110/50~80mmHg), 학령기(온도 36.7~37.0℃, 맥박 75~100회/분, 호흡 20~30회/분, 혈압 65~120/55~80mmHg), 청소년기(온도 36.1~37.2℃, 맥박 60~90회/분, 호흡 12~20회/분, 혈압 120/80mmHg).
-
5. Chest physiotherapyChest physiotherapy의 종류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타진법 - 컵 모양으로 손 모양을 오므리고 흉벽을 두드리는 방법, 2) 진동법 - 흉벽을 분당 200회의 속도로 진동시키는 방법, 3) 체위 배액법 - 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시행하기 전 분무요법을 사용하여 기관지 확장제와 점액용해제를 투여한다.
-
6. I/O checkI/O check의 목적은 적정요구량의 수분을 적절히 섭취하는지 확인하고, 제한되거나 증가된 수분섭취량을 확인하며, 체액 균형과 배뇨습관 및 배뇨기계 기능을 사정하는 것이다. 방법은 환자나 보호자에게 I/O Check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는 것이다.
-
7. Diaper rash careDiaper rash care는 피부의 습도, 산도, 대소변의 자극을 제거하는 것이다.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고 피부를 공기 중에 자주 노출시켜 건조함을 유지하며, 따뜻한 물에 수건을 적셔 대소변 성분을 닦아준다. 심한 감염이 없을 때는 보호 연고나 크림(zinc oxide or petrolatum)을 두껍게 발라주고, 심한 감염이 있을 때는 저강도 1% hydrocortisone을 7~10일간 도포한다.
-
8. Dehydration 환아 간호Dehydration 환아 간호에는 V/S check, 건조한 피부 점막과 피부 탄력성 관찰, 고칼륨혈증 등 비정상적 전해질 사정, 요비중 검사, I/O check, 체중 측정 등이 포함된다. 경증 탈수 시 경구재수화용액(ORS) 투여나 경구수분섭취를, 중증 탈수 시 IV로 NS or LR 주입을 통해 재수화를 도모한다.
-
9. L-P 검사L-P 검사는 L3~4, L4~5 부위에서 시행하며, 진단적 목적으로 뇌척수액 분석, 역동 및 압력 측정, 척수관 촬영을 위한 조영제 투여를 하거나 치료적 목적으로 두개내압 하강을 위한 뇌척수액 배액, 척추 마취, 지주막하강의 혈액이나 농 제거를 한다. 검사 방법은 신생아나 영아는 머리를 앞으로 구부리고 똑바로 앉아 있도록 하고, 아동은 측면으로 눕고 머리를 앞으로 무릎을 복부로 구부리게 한다.
-
10. ICP 상승 환아의 증상ICP 상승 환아의 초기 증상은 두통, 오심과 구토, 시력 장애, 복시, 높고 날카로운 고양이 울음소리, 일몰징후, 팽창된 천문, 두피 정맥의 확장, 뇌 신경마비이며, 후기 증상은 심각한 의식 수준의 감퇴, 호흡곤란(체인스톡), 한쪽 동공의 고정 및 확장과 함께 반대편 사지의 강직 또는 이완, Cushing's triad(수축기압 증가, 서맥, 불규칙한 호흡)이다.
-
1. 아동의 맥박 측정아동의 맥박 측정은 매우 중요한 활력징후 중 하나입니다. 정확한 맥박 측정을 위해서는 아동의 연령, 체위, 측정 부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맥박은 심장 기능, 혈액 순환, 수액 균형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므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라 맥박 측정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아동의 맥박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과 정상 범위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병원 감염 예방병원 감염 예방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병원 내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위생, 개인보호장비 착용, 소독 및 멸균 관리, 환경 관리 등 다양한 감염 관리 활동이 필요합니다. 특히 의료진의 손 위생 준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감염 예방 방법입니다. 또한 의료기관 내 감염 관리 지침 준수와 주기적인 교육 및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병원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진과 환자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발열 환자 사정 및 간호발열 환자의 사정 및 간호는 매우 중요합니다. 발열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발열 환자의 사정 시 체온, 발열 양상, 동반 증상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발열의 원인이 되는 감염 부위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간호 중재로는 해열제 투여, 수분 공급, 체온 조절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활력징후 정상 수치활력징후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활력징후의 정상 수치는 연령, 성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상 수치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활력징후 측정 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측정 방법과 장비 사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활력징후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활력징후 정상 수치에 대한 이해와 함께 환자 상태 변화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
5. Chest physiotherapyChest physiotherapy는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객담 배출을 촉진하고 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와 질환 특성에 따라 적절한 chest physiotherapy 기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침 유발, 체위 배액, 진동 흉부 타진 등의 다양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순응도와 협조도를 높이기 위해 교육과 동기 부여가 필요합니다. chest physiotherapy는 호흡기 질환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간호 중재이므로 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I/O checkI/O (Input/Output) check는 환자의 수액 균형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간호 활동입니다. 정확한 I/O 측정과 기록은 환자의 수분 상태와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I/O check 시 섭취량, 배출량, 배액량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I/O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그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I/O check는 환자 안전과 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간호사는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
7. Diaper rash careDiaper rash는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피부 문제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저귀 착용으로 인한 습기와 마찰, 소변 및 대변 자극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간호사는 diaper rash 예방을 위해 기저귀 교환 주기 준수, 피부 청결 유지, 보습제 사용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diaper rash 발생 시 병변 상태 사정, 연고 도포, 기저귀 교환 빈도 증가 등의 치료적 간호를 실시해야 합니다. 영유아의 피부 건강 관리를 위해 diaper rash 예방과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
8. Dehydration 환아 간호Dehydration은 소아 환자에게 매우 위험한 상태로, 적절한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dehydration 환아의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탈수 정도를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량과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수분 균형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탈수 예방을 위해 경구 수분 섭취를 권장하고, 심한 탈수 시에는 정맥 수액 요법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전해질 불균형 관리, 영양 공급, 피부 관리 등 다각도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dehydration 환아 간호를 위해서는 소아 특성에 대한 이해와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됩니다.
-
9. L-P 검사L-P (Lumbar Puncture) 검사는 뇌척수액 채취를 통해 신경계 질환을 진단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간호사는 L-P 검사 전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검사 전 환자와 보호자에게 검사 목적과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구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시 무균 술기를 준수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후에는 합병증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L-P 검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것이 간호사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0. ICP 상승 환아의 증상ICP (Intracranial Pressure) 상승은 뇌 손상 환아에게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ICP 상승 시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의식 저하, 동공 반사 저하, 호흡 패턴 변화 등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ICP 상승 환아의 활력징후, 신경학적 징후, 의식 수준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ICP 감소를 위한 체위 변경, 수액 관리, 약물 투여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ICP 상승 환아 간호를 위해서는 신경계 해부와 생리, 중증 환아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