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안경 검사방법
본 내용은
"
검안경 검사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3
문서 내 토픽
  • 1. 직상(direct) 검안경 검사
    직상 검안경 검사는 고배율로 시신경유두와 황반부, 혈관의 이상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검사 방법은 암실에서 대상자와 검진자가 마주 앉아 오른쪽 눈을 검진할 때는 검안경을 오른쪽에 쥐고, 다이얼을 '0'에 맞춘 후 30cm 떨어져서 대상자의 동공에 빛을 비춥니다. 두 번째 손가락으로 diopter dial을 조절하고, 대상자는 검진자의 어깨 넘어 위쪽으로 시선을 고정합니다. 동공에 적반사가 나타나면 눈 가까이 접근하여 안저를 검사합니다.
  • 2. 도상(indirect) 검안경 검사
    도상 검안경 검사는 밝은 조명 아래에서 한눈에 입체적으로 망막 주변부까지 전반적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반드시 산동해야 하며, 양안 도상 검안경을 머리에 쓰고 우측 손에 +14디옵터에서 +30디옵터 정도의 볼록렌즈를 들고 밝은 조명을 통해 망막을 관찰합니다. 직상 검안경과는 달리 물체의 상이 거꾸로 보이기 때문에 수기 습득에 훈련이 필요합니다.
  • 3. 세극등 검안경 검사
    세극등 검안경 검사는 고배율로 망막의 세밀한 이상을 관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 검사 방법은 +78디옵터에서 +90디옵터 정도의 볼록 렌즈를 좌측 손에 들고 우측 손으로 세극등을 조절하며 검사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직상(direct) 검안경 검사
    직상 검안경 검사는 안과 의사가 환자의 눈을 직접 관찰하여 안구 내부 구조와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안구 전체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안구 내부의 병변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안과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만 검사 시 환자의 동공을 확대해야 하므로 일시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상태와 검사 목적을 고려하여 직상 검안경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 2. 도상(indirect) 검안경 검사
    도상 검안경 검사는 안과 의사가 환자의 눈을 직접 관찰하지 않고 렌즈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안구 전체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안구 내부의 병변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동공을 확대할 필요가 없어 일시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검사 시 환자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없어 안과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상태와 검사 목적을 고려하여 도상 검안경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 3. 세극등 검안경 검사
    세극등 검안경 검사는 안과 의사가 환자의 눈을 직접 관찰하여 안구 전면부의 구조와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각막, 홍채, 수정체 등 안구 전면부의 세부 구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어 안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반응을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안과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만 검사 시 환자의 동공을 확대해야 하므로 일시적인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시 환자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의 상태와 검사 목적을 고려하여 세극등 검안경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