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자학 정리
본 내용은
"
주자학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2
문서 내 토픽
-
1. 주자학 창시자 소개주자(朱子)주희(朱熹, 1130년 10월 18일 ~ 1200년 4월 23일)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다. 자(字)는 원회(元晦), 중회(仲晦)이다.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노인(雲谷老人), 창주병수(滄洲病?), 둔옹(遯翁)등 여러가지가 있다. 시호(諡號)는 문(文), 휘국공(徽國公)이다. 송나라 복건성 우계(尤溪)에서 출생했으며 19세에 진사가 된 후 여러 관직을 지내면서 공자, 맹자 등의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주돈이, 정호, 정이 등의 유학 사상을 이어받았다. 유학을 집대성하였으며 오경의 참뜻을 밝히고 성리학(주자학)을 창시하여 완성시켰다.
-
2. 성리학 등장 배경유학은 중국 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그것이 성립되던 상대에는 종교나 철학 등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순한 도덕사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에 공자와 맹자가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천하를 주유하면서 인과 예를 실천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에 돌아와 육경을 제자에게 가르치며 도리를 후세에 전하였다. 선진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 실천의 학으로서 크게 일어났으나, 시황제의 분서갱유로 큰 시련을 겪은 다음 한, 당대에는 경전을 수집, 정리하고, 그 자구에 대한 주와 해석을 주로 하는 소위 훈고학을 이루었다. 그러나 송, 명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되면서 천리(천리), 성즉이(성즉이)등의 여러학설이 나왔다. 이것을 주희가 집성, 정리하여 철학의 세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이라고 한다.
-
3. 주자학의 이기론주자학의 이기론(理氣論)은 정이천(程伊川)의 2원론(二元論)을 계승하여 더욱 상세·엄밀하게 체계화하였다. 형이상적(形而上的), 형이하적(形而下的) 논리 구별을 분명하게 하였다. 또 만물의 존재가 이, 기 두 요소로 이루어졌다고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연구한다. 이(理)는 모든 사물들에서 사물의 존재원인과 존재형식, 그리고 존재목적이라는 연속으로 나타나며, 선할 뿐만 아니라 완전하기도 하므로 완전한 선의 필요 충분한 조건인 인의예지(仁義禮智)로 표현되었다. 기(氣)는 형체가 없고 연속하는 것이며 취산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주자는 음양과 오행을 이기론에 결합시켜 설명하였다.
-
4. 주자학의 도덕론주자의 도덕론에서 '성즉리(性卽理)'만을 취하고 심(心)은 형이하적(形而下的)인 것, 즉 음양2기(陰陽二氣)의 작용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람의 성(性)은 이(理)이고 지선(至善)한 것이며 사람의 본연의 것이라고 하였다. 심(心)은 이(理)가 있는 곳, 이가 작용하는 장소이다. 또한 심(心)의 발동은 이(理)에 의하여 있게 되는데, 그 이야말로 사람에게 본래의 성(性)이라고 규정하였다.
-
5. 주자학의 수양론주자의 수양론은 격물치지(格物致知)이며 궁리진성(窮理盡性)인 것이다. 사사물물의 이를 궁구한다고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는 나를 궁구하는 것이며 나를 다하는 것이지만, 그러나 '물(物)의 이(理)'와 '심(心)의 이(理)'와의 통일적인 파악에는 아직 불충분한 점이 있었다.
-
1. 주자학 창시자 소개주자학은 중국 송대의 대표적인 철학 사상으로, 주돈이, 정이, 장재, 주희 등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희(朱熹, 1130-1200)는 주자학의 체계화와 완성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됩니다. 주희는 이전 유학자들의 사상을 종합하여 새로운 유학 체계를 구축했으며, 특히 이기론과 심성론, 수양론 등 주자학의 핵심 개념들을 정립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조선 시대 유학의 기반이 되었으며,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2. 성리학 등장 배경성리학은 송대 유학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당시의 사회적, 역사적 배경 속에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송대는 북송과 남송으로 나뉘어 정치적 혼란을 겪었으며, 이에 따라 유학자들은 새로운 사회 질서와 도덕 체계를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주희는 당시의 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이전 유학자들의 사상을 종합하여 체계화된 성리학을 제시했습니다. 성리학은 인간과 우주, 도덕과 정치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사상 체계로, 송대 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주자학의 이기론주자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이기론은 우주의 근원적 원리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주희는 우주를 구성하는 두 가지 근본 요소로 '리(理)'와 '기(氣)'를 제시했습니다. 리는 우주의 본질적 원리이자 도덕적 규범을 의미하며, 기는 물질적 실체로서 리가 발현되는 매개체입니다. 주희는 리와 기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라고 보았으며, 이를 통해 우주와 인간 세계의 질서와 조화를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이기론은 주자학의 핵심 사상으로,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4. 주자학의 도덕론주자학의 도덕론은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실천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주희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성(性)'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성은 리가 인간에게 부여된 것으로, 인간은 이를 실현함으로써 도덕적 완성에 이를 수 있습니다. 주희는 또한 인간의 도덕적 실천을 위해 '격물치지(格物致知)', '존양성찰(存養省察)' 등의 수양론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본성을 깨닫고 실천함으로써 도덕적 완성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주자학의 도덕론은 유교 문화권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해 왔습니다.
-
5. 주자학의 수양론주자학의 수양론은 인간이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주희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이 본성이 가려지고 왜곡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인간은 끊임없는 수양을 통해 자신의 본성을 회복하고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주희가 제시한 대표적인 수양 방법으로는 '격물치지', '존양성찰', '거경궁리'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가다듬고, 도덕적 지식을 쌓아 나가며, 궁극적으로 도덕적 완성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주자학의 수양론은 유교 문화권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해 왔습니다.
-
철저한 주자 신봉자 야마자키 안사이1. 통신사 기록에 나타난 안사이 통신사의 기록에 따르면 야마자키 안사이는 일본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알려져 있었다. 조선의 지식인들 중에서도 주자학파는 안사이와 같이 조선 문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경우가 많았다. 2. 야마자키 안사이의 생애 안사이는 교토의 의사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7살 때 출가하였다. 성격이 거칠고 편벽되었지만 재능이 뛰어났다. 33세 ...2025.01.14 · 인문/어학
-
퇴계(退溪)의 성학십도(聖學十圖) 독후감1. 퇴계(退溪) 이황 퇴계 이황(1501-1570)은 주자학을 계승하여 자기의 입장에서 집대성한 우리나라 거유(巨儒)의 한 사람으로서 이기(理氣)의 본질을 명백히 밝힌 동시에 유교 윤리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이다. 그는 학문 자체에 뜻을 두었으며, 성리학의 가르침과 가치를 집필하여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왕에게 상소문의 형태로 올렸다. 2. 성학십도(聖學十圖)...2025.01.24 · 인문/어학
-
동양철학/ 사칠논변의 전개 그리고 퇴계와 율곡의 해석1. 사단칠정 논변 사단칠정 논변이란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견해 차이가 발단이 되어 시작된 논변으로, 성리학의 기본 전제인 성즉리와 성발위정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다. 사단과 칠정의 관계, 선악 여부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한국 성리학이 독자적인 경지에 이룩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2. 1차 사칠논변 1차 사칠논변은 추만 ...2025.04.28 · 인문/어학
-
넷플릭스의 마케팅 전략 분석1. 기업 개요 넷플릭스는 1997년에 미국에서 설립된 글로벌 스트리밍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초기에 DVD 대여 서비스로 시작하여 2007년부터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하였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넷플릭스의 비전은 '모든 사람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즐기는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며,...2025.01.19 · 경영/경제
-
주자학과 양명학 비교 8페이지
주자 [朱子] (1130~1200)이름; 주희중국 남송의 유학자.-주자학을 집대성함-우주론적. 인간론적 형이상학 수립이름은 희(熹), 자는 원회(元晦), 호는 회암(晦庵). 주자는 존칭이다.신안(안휘성) 사람. 주자학을 집대성하였다.19세에 진사에 합격하여 관계(官界)에 들어갔으며 그 전후에 도학 외에 불교, 도교도 공부하였다. 24세에 이연평(李延平)과 만나 그의 영향 하에서 정씨학(程氏學)에 몰두하고 다음에 주염계, 장횡거(張橫渠), 이정자(二程子)의 설을 종합 정리하여 주자학으로 집대성하였다.주자학의 등장과 그 사상주자학: 1...2021.11.19· 8페이지 -
양명학과 동양철학사상사 - 육구연의 사상적 논의와 주자학의 대립적 해석을 중심으로 - 4페이지
양명학과 동양철학사상사- 육구연의 사상적 논의와 주자학의 대립적 해석을 중심으로 -목 차Ⅰ. 서 론Ⅱ. 육구연의 사상 논의Ⅲ. 양명학의 발흥Ⅳ. 주자학과 양명학의 대립Ⅴ. 결 론참고 문헌Ⅰ. 서 론성리학에 반대한 심학의 등장 (주육논쟁) 과 함께, 성리학 이후의 사상의 흐름은 ‘내’와 ‘외’의 대립 및 투쟁사로 여길 수 있다. ‘내’의 입장에서 ‘외’를 비판한 학술 및 사상 활동의 출발점으로 육구연의 심학을 들 수 있다. 육구연의 심학은 ‘내’의 우위를 확고하게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이후 주자학에 대항하여 독자적인 심학의 사상체계를 ...2022.05.13· 4페이지 -
현자들의 평생 공부법 독후감 5페이지
제목:현자들의 평생 공부법저 자 : 김영수출판사 : 역사의아침행정자료실에서 설 연휴에 읽을 책을 고르는데 하얀 책이 눈에 확 들어온다. 제목을 보니『현자들의 평생 공부법』이다. 내용이 참 좋을 것 같은 생각에 서슴지 않고 손에 들었다. 하얀색 표지에 검은 색 제목이니 아마도 백지같은 머리 속에 글로 꽉 채울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는 책이라는 이미지로 디자인 한 듯하다.이 책은 중국 역사에서 유명한 사람들 중에서 19명을 선별하여 그 분들의 공부법을 소개한 책이다. 공자에서 모택동까지 중국역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유명하거나 우리가 ...2022.05.17· 5페이지 -
경영학개론 ) 경영학 콘서트(장영재, 비즈니스북스) 정리 5페이지
경영학개론「경영학 콘서트(장영재, 비즈니스북스)」경영학개론「경영학 콘서트(장영재, 비즈니스북스)」목차내용1: 3장 빨간 풍선을 찾아라 - “이기적인 선택이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다.” 개조식 정리내용2: 발표 대본내용1: 3장 빨간 풍선을 찾아라 - “이기적인 선택이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다.” 개조식 정리1997년 '넷플릭스(Netflix Inc.)'의 탄생. 창업자 리드 해드팅스 주니어(Reed Hastings Jr.). 비디오 연체료에 대한 불만이 시발점.기존의 영화 대여 시장의 선두자인 '블록버스터(Blockbuster)'를...2021.07.12· 5페이지 -
중국과 일본의 유교사상 6페이지
과목명: 동양문화사주제: 중국과 일본의 유교사상-목차-Ⅰ. 서론Ⅱ. 중국의 유교사상1. 공자2. 맹자3. 중용과 대학4. 주자학Ⅲ. 일본의 유교사상Ⅳ. 결론Ⅴ. 참고문헌Ⅰ. 서론한국은 오랫동안 유교 국가였다. 조선이 세워지면서 그 정치체제를 유교로 선택한 것이다. 이 유교사상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고대 중국에서 다양한 이론이 쏟아져 나올 시기 공자로부터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유교는 그 본질을 잃고 변형되어 한국 전통의 미신과 결합하였고 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무례를 합리화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렇듯 유교는 한국에서 지금은 허울만...2021.01.21·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