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미생물과 간호 과제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의 문헌고찰>
본 내용은
"
감염미생물과 간호 과제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의 문헌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스트렙토마이신은 항생제이며,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로 불리는 약물군 중 첫 번째로 발견되었다. 결핵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며, 방사균(actinobacterium)인 Streptomyces griseus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스트렙토마이신은 살균성 항생제이며, 경구로 투여할 수 없고 정기적인 근육 주사로 투여해야 한다. 부작용으로 이독성(ototoxicity)이 있어 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
2. 테트라사이클린테트라사이클린은 항생제의 일종으로 광범위 항생제(broad-spectrum agents)의 특성을 나타내며, 그람음성균과 그람양성균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감염균에 대한 활성과 낮은 부작용으로 인해 동물이나 인체의 감염 치료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제는 1945년 Streptomyces aureofaciens으로부터 chlortetracycline (Aureomycin)이 처음 발견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종류의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제가 개발되었다.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기작으로 작용한다.
-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스트렙토마이신은 1943년 미국의 세균학자 알버트 슈츨러가 발견한 항생제로, 결핵 치료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 항생제는 그람 음성균과 결핵균에 효과적이며, 특히 결핵 치료에 있어 중요한 약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내성균 발생, 신장독성, 청각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새로운 항결핵제 개발로 스트렙토마이신의 사용이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결핵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인 사용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테트라사이클린테트라사이클린은 1945년 미국의 벤저민 마그너가 발견한 광범위 항생제입니다. 이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리케치아, 클라미디아 등 다양한 병원체에 효과적이며, 여러 감염성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여러 가지 피부 감염, 요로 감염, 성병 등의 치료에 유용합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 시 내성균 발생, 소화기 부작용, 치아 변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새로운 유도체 개발로 부작용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내성균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향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