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평가제 통과 만2세 6~8월 관찰일지 10명
본 내용은
"
어린이집 평가제 통과 만2세 6~8월 관찰일지 10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8
문서 내 토픽
  • 1. 기본생활
    00이가 낮잠을 자려고 하다가 항상그렇듯 대변을 본다며 이부자리에서 일어난다. "선생님, 응가 마려워요"하면서 대변을 보는데 한참이 지나도 대변을 보지 못하고 변기에 앉아 있는다. 00이가 대변이 마렵지 않아도 습관적으로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는게 걱정이 되어 "기분이 마려운 것 같았던 거야. 자고 일어나서도 그런생각이 들면 그때 화장실에 가보자" 하며 이야기하자 이부자리에 가서 다시 눕고 잠을 잔다.
  • 2. 신체운동
    "선생님, 00이가 계속 먼저해요"하며 **이가 교사에게 전달한다. 00이가 규칙을 서서히 알아가지만 신체활동을 할때는 규칙을 지키지 않고 계속 혼자만 하려고 순서를 지키지 않고 먼저 하려고 앞에 선다. 00이가 다른 친구들처럼 규칙을 지키며 할 수 있도록 이야기하고 순서를 지키도록 하자 안좋은 표정으로 줄을 선다.
  • 3. 의사소통
    오후 언어영역에서 동화책을 읽어주었더니 00이가 좋아하는 동화책을 가져와 읽어달라고 하며 옆에 앉는다. "오늘 동화책은 어떤 이야기일까?" 하자 00이는 "호랑이랑 토끼가 나와요. 읽어주세요." 하며 동화책을 쳐다본다. 친구들이 함께 들으려고 가까이 오자 " 이거 내가 골라왔어. 재미있을 것 같애"하며 친구들에게 이야기하고 교사가 동화책읽어주기를 기다린다.
  • 4. 사회관계
    블록놀이를 하다가 "선생님, 00이가 때렸어요" 한다. 00이가 "내가 안 그랬어" 하며 속상한 얼굴과 울먹이는 목소리로 이야기한다. "말도 안하고 **이가 내가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가져갔어요"하며 00이가 교사에게 말한다. "그래도 때리는 건 나쁜거야" 하며**이가 00이에게 소리친다. "친구가 가지고 노는 장난감을 가져갈 때는 친구에게 말하고 기다려야지"하며 00이도 함께 소리치며 말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본생활
    기본생활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식사, 수면, 위생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기본생활을 잘 관리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사회 전체의 안녕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생활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며, 개인과 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2. 신체운동
    신체운동은 건강한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며,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운동을 통해 근력, 유연성, 심폐 기능 등이 향상되어 질병 예방과 관리에 도움이 되며,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적 안정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운동은 사회적 관계 형성과 유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신체운동을 장려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고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은 교육, 직장, 가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며, 개인과 사회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입니다.
  • 4. 사회관계
    사회관계는 개인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건강한 사회관계는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스트레스 해소와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사회관계를 통해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과 사회 차원에서 사회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 문화, 복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나아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