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CU PE case study post op(간호 진단 및 과정 3개)
본 내용은
"
SICU PE case study post op(간호 진단 및 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7
문서 내 토픽
-
1.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심낭(pericardial)은 심장(heart) 주변의 2개의 층이 있는 주머니로 심장을 가슴의 중앙에 고정시키며 감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주머니에는 층 사이에 약간의 맑은 체액을 함유하는데, 이것은 가슴에서 심장 박동 시 다른 장기들에 대해 심장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한다. 일반적인 심막액(pericardial fluid)의 정상수치는 15~20ml인데 심낭에 정상수치 이상으로 많은 체액이 있는 상태를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이라고 한다. 심낭 삼출이 있는 경우 주머니의 체액(body fluid)이 증가하고 이 체액은 뿌옇게 흐려지고 피와 섞이거나 두꺼워진다. 이러한 변화는 심장이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빠르게 생명을 위협하거나 만성적으로 나타나 수 있다.
-
2. 심낭 천자술(Pericardiocentesis)심낭 삼출액은 우선 심장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혈류역학적 이상을 교정, 원인을 확인하여 치료 한다. 심낭천자는 정상심낭액에서는 병원균,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으며 맑은 볏짚 색깔이다. 심낭내에 바늘을 삽입해 심낭액을 흡인해내는 심낭천자는 치료적, 진단적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치료적으로 심장 압전시에 용액을 제거하고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응급으로 시행한다.
-
3. 흉곽 배액관 관리심낭천자 시행 후 흉곽배액관을 유지하게 된다. 흉곽배액관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액병은 항상 환자의 흉곽보다 90cm 아래(침상아래)에 두어 역류를 예방하도록 한다. 반좌위를 취하며, 튜브가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개방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흉곽배액을 하고 있는 쪽 어깨에 관절가동 범위 운동과 활동을 격려한다.
-
1. 심낭 삼출(Pericardial effusion)심낭 삼출은 심낭 내에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심근염, 암, 신부전, 외상 등이 있습니다. 심낭 삼출이 발생하면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호흡 곤란, 흉통,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심낭 천자술, 수술적 치료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원인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심낭 삼출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이므로, 의료진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심낭 천자술(Pericardiocentesis)심낭 천자술은 심낭 내 액체를 제거하는 침습적 시술입니다. 이 시술은 심낭 삼출 환자에게 시행되며, 심낭 내 압력을 낮추고 심장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시술 과정에서는 초음파 또는 CT 영상 가이드를 통해 안전하게 천자 부위를 확인하며, 국소 마취 후 주사기로 액체를 흡인합니다. 이 시술은 신중하게 시행되어야 하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어 전문의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심낭 천자술은 심낭 삼출 환자의 증상 완화와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의료진과 환자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
3. 흉곽 배액관 관리흉곽 배액관은 흉강 내 액체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삽입되는 관으로, 다양한 흉부 질환 치료에 사용됩니다. 흉곽 배액관 관리는 감염 예방, 배액 기능 유지, 합병증 예방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관리 시 무균 기법을 준수하고, 배액량과 배액액 성상을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배액관 고정 상태, 누출 여부, 막힘 등을 점검하여 문제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해야 합니다. 흉곽 배액관 관리에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므로, 의료진의 체계적인 교육과 환자 및 보호자의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흉곽 배액관 관리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