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보건사업기획보고서 분석 및 요약
본 내용은
"
지역사회간호학_보건사업기획보고서 분석 및 요약(전라북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4
문서 내 토픽
-
1. 경로당 노인건강관리사업전라북도는 경로당 노인건강관리사업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형평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목표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경로당 개소수 500개소 유지, 경로당 노인건강기구 지원 500개소 유지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의사회, 생활체육회, 노인회 등과 협력하여 경로당 방문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 건강기구 지원 등의 세부계획을 수립하였다.
-
2.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전라북도는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주요 목표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담당인력 교육 이수율 100% 유지, 예산집행율 100% 유지, 시군 모니터링 연 2회 이상 실시, 성인남자 고위험음주율 2013년 26.1%에서 2015년부터 20.4%까지 감소 등이 있다. 이를 위해 13개 단위사업을 통합 운영하고, 전라북도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을 운영하여 기술지원, 예산집행 및 인력관리 지도감독, 성과관리 등을 수행하고 있다.
-
3.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전라북도는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운영, 교육·홍보,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목표로는 고혈압 평생 의사진단경험률 2013년 24.6%에서 2015년부터 23.0%까지 감소, 고혈압 평생 의사진단 경험자의 비만율 2013년 38.8%에서 2015년부터 34.0%까지 감소,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수칙 인지율 2013년 11.1%에서 2015년부터 50.0%까지 증가 등이 있다. 그러나 실제 평가 결과 일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
1. 경로당 노인건강관리사업경로당 노인건강관리사업은 노인들의 건강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노인들은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질병 예방과 조기 발견이 가능합니다. 또한 경로당 내에서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이러한 서비스는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만 사업 대상 및 내용, 예산 등에 있어 지역 간 편차가 크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지역 주민들은 건강검진, 만성질환 관리, 건강생활실천 등 다양한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건강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여 주민 참여형 건강증진 사업을 운영함으로써 주민들의 건강 관심도와 실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지역 간 편차가 크고 예산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3.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주요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와 예방이 가능합니다. 특히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 관리로 건강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운영으로 주민들의 건강 인식과 실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만성질환 관리의 어려움, 예산 부족, 지역 간 편차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지역사회 보고서 20페이지
개인과제지역사회 간호과정? 대상지역(구체적) : 전라북도 고창군? 조사기간(월/일) : ( 5 / 7 ) ~ ( 5 / 15 )? 방법 :기존자료(지역보건의료계획 제7기, 지역사회건강조사 보고서, 통계청 자료 등)를 재분석한다.1단계. 자료수집※ 지역사회 진단을 위해 관련 내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도표나 그림으로 정리한 후 자료를 요약한다. 자료를 요약?정리할 때는 우리나라 전국 통계나 타지역의 자료를 가지고 비교하고 자료 자체의 요약뿐 아니라 자료의 의미 등을 숙고하여 기술한다.A지역사회 특성1) 지리적 특성지정학적 특성, 자...2022.06.17· 20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사업기획서 87페이지
지역사회 보건사업 기획 - 지역사회간호학실습 - 과목 지도교수 학번 및 이름 제 출일 Ⅰ. 자료를 이용한 현황 분석01 1. 지역의 개황도01 2. 건강행태16 3. 건강상태27 4. 보건의료자원39 Ⅱ. 보건문제요약42 Ⅲ. 지역의 건강문제 해결 역량46 Ⅳ. SWOT 분석 61 Ⅴ. 우선순위 사업 결정 65 1. Basic Priority Rating Scale(BPRS) 평정기준65 2. 보건문제에 대한 우선순위 평정 결정66 3. 우선순위 결정요소(ABC) 적용 근거66 Ⅵ. 느낀점 83 Ⅶ. 참고문헌84 목차 Ⅰ. 자료를 ...2024.12.20· 87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케이스 보건소 업무 18페이지
2016학년도 3학년 1학기군산시 보건소 실습 보고서과 목 명담 당 교 수현장지도자선생님이 름)실 습 장 소실 습 기 간? 순 서 ?1. 실습 보고서----------------------32. 지역사회 간호과정 보고서--------243. 가족 간호과정-------------------354. 보건교육 보고서-----------------405. 협력분석 보고서-----------------426. 교육실습 총괄평가---------------457. 출 처---------------------468. 자 료 첨 부---------...2018.12.07· 1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