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화학 보고서 Barhemsys (amisulpride) - 2020 FDA Approved
본 내용은
"
[A+] 의약화학 보고서 Barhemsys (amisulpride) - 2020 FDA Approved (개발 배경, 약물표적, 구조와 특징, 물리화학적 성질, 대사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4
문서 내 토픽
-
1. Barhemsys (amisulpride) 개발 배경수술 후 지속적인 구역 구토 반응이 나타나는 PONV(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는 수술을 겪은 환자들에게 수술 후 통증과 함께 고통을 주는 대표적인 증상이었다. 특히 수술 후 마취에서 충분히 깨어나지 않은 환자들의 경우에서 구역 구토로 인한 토사물이 환자의 기도로 유입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이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약물을 탐색 개발하는 과정의 필요성이 느껴졌을 것으로 보인다.
-
2. Barhemsys의 약물 표적Barhemsys는 PONV의 증상을 여러 원인 경로 중 도파민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유도하여 PONV의 발생을 억제한다. 이때, Barhemsys는 선택적 Dopamine 수용체인 D2, D3수용제 Antagonist로 작용하여 두 수용체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구역 구토 반응을 억제한다.
-
3. Barhemsys의 구조와 특징Barhemsys의 활성 성분은 dopamine 2 수용체를 타겟으로 하는 amisulpride이며 화학명은 4-Amino-N-[(1-ethyl-2-pyrrolidinyl)methyl]-5(ethylsulfonyl)-o-anisamide이다. 해당 물질은 거의 대부분 흰색의 결정성 분말 형태를 띄고 있으며, 물에 녹지 않고 ethanol에는 약간 용해되며 methylene chloride에는 잘 용해되는 특성을 갖는다.
-
4. Barhemsys의 물리화학적 성질Barhemsys의 분자량은 369.48g/mol이며, 라세믹 화학물의 특성을 가지며 선광도는 나타내지 않고 흡습성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빛에 불안정하여 갈색 바이알에 상온 20°C to 25°C (68°F to 77°F)에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5. Barhemsys의 대사과정Barhemsys는 정맥 주입 후 약 15분 이내에 최고 혈장 농도에 도달하고, 평균 반감기는 약 4~5시간이다. 주로 적혈구에 분포하며, 혈장 단백질과의 결합은 25%~30% 수준이다. 또한 CY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되지 않으며, 소변으로 약 74%, 대변으로 약 23% 배설된다.
-
1. Barhemsys (amisulpride) 개발 배경Barhemsys(amisulpride)는 수술 후 구토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입니다. 수술 후 구토는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합병증 위험을 높이는 주요 문제이므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약물의 개발이 필요했습니다. Barhemsys는 기존 약물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으며, 특히 수술 후 지연성 구토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고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Barhemsys의 약물 표적Barhemsys(amisulpride)는 도파민 D2/D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입니다. 도파민 수용체는 구토 반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Barhemsys는 이 수용체에 결합하여 구토 반사를 억제함으로써 수술 후 구토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작용 기전은 기존 항구토제와 차별화되는 특징으로, 수술 후 지연성 구토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도파민 수용체에 대한 선택성이 높아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3. Barhemsys의 구조와 특징Barhemsys(amisulpride)는 benzamide 계열의 약물로, 화학 구조상 sulpiride와 유사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도파민 D2/D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구토 반사를 억제합니다. 둘째, 수용체 결합 특성으로 인해 수술 후 지연성 구토에 효과적입니다. 셋째, 경구 투여 시 빠른 흡수와 높은 생체이용률을 보입니다. 넷째, 간에서 대사되어 주로 신장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러한 구조적, 약동학적 특징들이 Barhemsys의 우수한 약효와 안전성을 뒷받침합니다.
-
4. Barhemsys의 물리화학적 성질Barhemsys(amisulpride)의 주요 물리화학적 성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분자량은 369.49 g/mol로 비교적 작은 편입니다. 둘째, 용해도는 pH에 따라 달라지는데, 산성 환경에서 잘 용해되지만 중성 및 염기성 환경에서는 용해도가 낮습니다. 셋째, 지용성이 높아 세포막 투과성이 좋습니다. 넷째, 약한 염기성 특성을 가지며 pKa는 약 9.68입니다. 이러한 물리화학적 특성은 Barhemsys의 약동학적 프로파일과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5. Barhemsys의 대사과정Barhemsys(amisulpride)는 간에서 주로 대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대사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산화 대사를 통해 hydroxylated 및 dealkylated 대사체가 생성됩니다. 둘째, 이들 대사체는 주로 황산 및 글루쿠론산 포합체로 전환됩니다. 셋째, 이렇게 생성된 대사체들은 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됩니다. 한편 Barhemsys 자체는 약 50%가 미변화체로 배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사 과정은 Barhemsys의 약동학적 특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