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DMS 탱탱공 만들기 결과 보고서, 결과 레포트 A+
본 내용은
"
PDMS 탱탱공 만들기 결과 보고서, 결과 레포트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3
문서 내 토픽
-
1. PDMS 탱탱공 만들기레진과 가교제의 비가 5:1인 탱탱볼이 9:1인 탱탱볼보다 더 높게 뛰어 올랐다. 이는 가교제(siloxane cross-linkers)가 레진(siloxane oligomers) 간의 사이에 다리처럼 연결되어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 물리적 변형이 생겨도 이를 다시 복원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가교제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복원력이 증가하여 탄성력이 증가한다. 레진과 가교제의 비가 19:1인 탱탱볼은 가교제의 비가 낮아 복원력이 떨어져 다른 공들보다 탄성력이 작을 것이다.
-
2. PDMS 고무의 열적, 화학적 안정성PDMS 고무의 siloxane backbone의 결합에너지가 445 kJ/mol로 뷰타다이엔(butadiene) backbone의 C-C 결합 에너지 350kJ/mol보다 크기 때문에 PDMS 고무가 열적, 화학적으로 더 안정적이다. 실리콘이 산소와의 결합에서 고도로 극성화 되어 고도로 이온성을 띄는 Si-O 결합을 생성하여 큰 결합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이다.
-
3. 뷰타다이엔 고무의 가교반응뷰타다이엔 고무는 주로 가황(Vulcanisation) 과정을 통해 가교반응이 일어난다. 가황은 폴리머 사슬 부분 사이에 가교 반응을 일으켜 강도와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황은 뷰타다이엔의 알릴기(allyl group)의 수소원자와 반응하여 중합체 사슬 간의 다리 역할을 하는 황 원자 사슬을 형성한다.
-
1. PDMS 탱탱공 만들기PDMS(Polydimethylsiloxane)는 실리콘 고무의 일종으로, 유연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PDMS 탱탱공 만들기는 이러한 PDMS의 특성을 활용한 흥미로운 프로젝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PDMS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직접 탱탱공을 제작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PDMS의 성형 및 가공 기술을 익힐 수 있어, 향후 다양한 PDMS 기반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PDMS 탱탱공 제작 시 안전성 및 환경적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PDMS 고무의 열적, 화학적 안정성PDMS 고무는 실리콘 고무의 일종으로, 다른 고분자 재료에 비해 우수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PDMS 고무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열적 안정성의 경우, PDMS 고무는 약 300°C까지 안정적인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고온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화학적 안정성 또한 뛰어나, 산, 염기, 유기 용매 등 다양한 화학 물질에 대한 내성이 우수합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PDMS 고무를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만 장기적인 사용 환경에 따른 열화 및 노화 특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뷰타다이엔 고무의 가교반응뷰타다이엔 고무는 합성고무의 일종으로, 가교반응을 통해 다양한 물성을 가진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습니다. 가교반응은 고무 분자 사슬 간 화학적 결합을 형성시켜 고무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공정입니다. 뷰타다이엔 고무의 경우, 황 가교, 과산화물 가교, 방사선 가교 등 다양한 가교 방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종 제품의 물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용도에 맞는 적절한 가교 방식 선택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교 반응 조건 최적화를 통해 고무의 물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뷰타다이엔 고무의 가교 기술은 타이어, 벨트, 호스 등 다양한 고무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