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본 내용은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9
문서 내 토픽
-
1. 저항 측정실험을 통해 단일 고정 저항과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나타났고, 병렬 연결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더 작아졌다. 이를 통해 저항 측정 시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2. 가변 저항 측정가변 저항의 경우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더하면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이 나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가변 저항의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다.
-
3.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 비교저항 값이 작은 전선을 측정할 때 2-wire 측정법의 결과가 4-wire 측정법보다 7.07배 크게 나왔다. 이를 통해 값이 작은 저항을 측정할 때는 4-wire 측정법이 더 정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항 값이 커질수록 두 측정법 간의 오차가 작아진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
4.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실험에 사용한 탄소 저항의 경우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탄소의 온도계수가 음수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물질마다 온도계수가 다르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는 온도계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5. 전압 측정 방식DMM의 전압 측정 방식은 'LO'에 연결된 도입선의 전압을 기준으로 'HI'에 연결된 도입선의 전압을 측정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두 금속이 결합하면 생기는 Thermal EMF에 의해 측정 전압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
6. KCL과 KVL 적용5 [kΩ] 저항과 10 [kΩ] 저항을 이용한 회로의 측정값을 이용해 KCL과 KVL을 적용한 결과, 오차율이 매우 작게 나왔다. 이를 통해 값이 큰 저항을 사용할 경우 측정값의 오차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7. DMM 접지단자 연결DMM 전면부의 접지단자와 후면부의 접지단자 간의 저항을 측정하면 측정불가 표시가 뜨는데, 이는 두 단자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
8. 저항 과전력 공급저항에 허용오차보다 큰 전력을 공급하면 과열이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1. 주제2: 가변 저항 측정가변 저항은 전기 회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중요한 소자입니다. 가변 저항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 방법, 측정 환경, 측정 장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가변 저항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측정 대상의 동작 특성, 측정 리드선의 접촉 상태, 측정 장비의 정확도 등이 있습니다. 또한 가변 저항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4-wire 측정법 등의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변 저항 측정의 정확성은 전기 회로 설계 및 분석에 매우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2. 주제4: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저항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이 증가하고, 온도가 하락하면 저항이 감소합니다. 이러한 온도 의존성은 전기 회로 분석 및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소재의 특성, 구조, 측정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온도 보상 회로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온도 의존성 분석은 전기 회로 설계 및 분석에 필수적입니다.
-
3. 주제6: KCL과 KVL 적용KCL(Kirchhoff's Current Law)과 KVL(Kirchhoff's Voltage Law)은 전기 회로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본 법칙입니다. KCL은 노드에서의 전류 균형을 나타내며, KVL은 폐회로에서의 전압 균형을 나타냅니다. 이 두 법칙을 적용하여 전기 회로의 전압, 전류, 저항 등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회로 분석 시 KCL과 KVL을 정확히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회로의 동작 특성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KCL과 KVL은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에도 활용되므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4. 주제8: 저항 과전력 공급저항에 과도한 전력이 공급되면 저항이 과열되어 파손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항의 정격 전력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저항 과전력 공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저항 과열, 화재 위험, 회로 오작동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 선택 시 정격 전력 용량을 고려해야 하며, 회로 설계 시 저항에 공급되는 전력을 적절히 제한해야 합니다. 또한 저항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 장치 등의 기술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저항 과전력 공급에 대한 이해와 주의는 전기 회로 설계 및 분석에 필수적입니다.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 보고서1. 저항 값 분포 실험 결과, 대부분의 저항값이 9.8kΩ에 있으며 정확히 10kΩ이거나 10kΩ를 초과하는 저항은 없었다. 최대 오차율은 2.3%로 허용 오차범위인 5%내에 모두 측정되었다. 저항 값의 분포는 9.7kΩ에 26.6%인 8개, 9.8kΩ에 70%인 21개, 9.9kΩ에 3.33%인 1개로 나타났다. 2. 전압 및 전류 측정 이 부분에 대한...2025.05.03 · 공학/기술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1. 저항 측정 30개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 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2kΩ, 표준편차는 0.0308kΩ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32.4%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2. 전압 측정 6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2.83V로 내부 저항이 매우 컸으며, DMM으로 측정한 전압에 대한 DC power supply에 표시...2025.05.15 · 공학/기술
-
[A+보고서]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13페이지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분 반 :실험 일자 :2019. 09. 19.제출 일자 :2019. 09. 26.조 :이름 (학번):◎요약: 10kΩ저항 10개를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의 오차율이 1%대로 측정되었고, 평균값은 약 9.88Ω이고, 표준편차는 약 0.020125kΩ이었다. 저항을 2개씩 병렬 연결하였을 때의 평균값은 약 4.93Ω이고, 표준편차는 약 0.01166kΩ으로 약 57.95% 정도가 작아졌다.가변저항은 3개의 단자 중 양 끝 단자 사이의 저항값은 일정한 값을 가지고,(...2020.09.11· 13페이지 -
[A+보고서]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12페이지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분 반 :실험 일자 :2019. 09. 26.제출 일자 :2019. 10. 10.조 :이름 (학번):◎요약: : 6V의 건전지와 10Ω의 저항을 사용하여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측정한 결과 1.11Ω으로 실험에 앞서 예상한 1Ω과 비슷한 값으로 측정되었다. Output1의 출력을 1V로 조정하고 최대전류를 3A로 설정한 후 출력단자에 10Ω을 연결하고 전압과 전류를 측정한 결과, 전압 1.00V, 전류 0.10A가 측정되었고 최대전류를 50mA로 조정...2020.09.11· 12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 보고서 11페이지
저항 값의 분포도를 예상했을 때는 저항의 원래 값인 10kΩ에 대부분 몰려있고, 오차가 있다면 오차범위 ±5% 내에 동일하게 퍼져서 분포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측정했을 때는 대부분의 저항값이 9.8kΩ에 있으며 정확히 10kΩ이거나 10kΩ를 초과하는 저항은 없었다. 또한 최대 오차율은 2.3%로 허용 오차범위인 5%내에 모두 측정이 되었다. 저항에 따른 분포 개수는 9.7kΩ에 26.6%인 8개가 있고, 9.8kΩ에 70%인 21개, 9.9kΩ에 3.33%인 1개가 존재한다.2023.03.13· 11페이지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 7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1번 실습- 결과보고서)소 속담당 교수수업 시간편 성학 번성 명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요약 : 저항 30개를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 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2kΩ,표준편차는 0.0308kΩ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32.4%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10 cm 전선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2w 측정법은 저항값이 작을 때 4w 측정법에 비해 오차가 더욱 큰 것을 확인하였다. 6 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2.83V로 내부 저항이 매우 컸으며, DMM으로 측정 한 ...2023.09.04· 7페이지 -
[A+]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6페이지
전기회로 설계 실습결과 보고서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조2조학 과전자전기공학부학 번이 름담당 교수실험일2019.09.09제출일2019.09.16요약 : 저항 30개를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691kΩ, 표준편차는 0.021355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0.009638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10cm 전선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2w측정법을 4w측정법과 비교하고 싶었지만 DMM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아서 판단하지 못하였다. 6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6.65...2020.09.11·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