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 case study, 이비인후과 ENT, 갑상선암, Thyroid Cancer, 진단2개, 간호과정2개
본 내용은
"
성인간호 case study, 이비인후과 ENT, 갑상선암, Thyroid Cancer, 진단2개, 간호과정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1
문서 내 토픽
-
1.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갑상선은 여포를 이루는 여포세포와 C-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여포는 여포세포가 생성한 갑상선 호르몬을 저장하고 있다. C-세포는 여포의 바깥쪽에 있으며 혈중 칼슘농도를 조절하는 칼시토닌이라는 호르몬을 생성한다. 여포세포에서 유두암이 생긴다. 유두암은 갑상선암 중에서 가장 흔하며,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갑상선암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매우 천천히 자라고 갑상선암 중 가장 예후가 좋아 5년 생존율이 99% 이상이다.
-
2. 갑상선암의 증상갑상선암의 경우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화되어 갑상선 내에서 무제한 증식을 통해 크기가 커지면 겉에서 만져지는 결절을 형성하게 되고, 주위 조직인 기도나 식도, 주위 신경으로 파고들어 자라게 되면 호흡곤란이나 연하곤란, 목소리 변화 등의 증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주위 목 림프절로 전이되어 시간이 지나면 커진 림프절이 만져지기도 한다.
-
3. 갑상선암의 치료갑상선암 치료의 원칙은 수술이다. 갑상선암의 종류에 따라 수술원칙이 달라지는데 유두암의 경우에는 갑상선 양 엽을 모두 떼어내는 것이 원칙이며 암세포가 전이된 림프절 절제를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갑상선을 완전히 제거하려다 보면 수술 후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100% 제거가 어렵다. 그래서 합병증을 예방하기위해 일 엽만 절제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 후 남은 갑상선 조직 또는 전이된 갑상선 암 조직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파괴한다.
-
4. 갑상선암 수술 후 간호갑상선을 모두 제거할 경우 저갑상선호르몬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는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 수술 후 추적 검사 시 갑상선 기능검사를 통하여 약의 용량을 조절하며 약 자체가 암의 재발을 막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부만 절제하였다고 해도 투약이 필요하다. 수술 후에 부갑상선의 기능저하로 칼슘의 수치가 떨어질 수 있다. 수술 후 회복하는 동안에는 혈중 칼슘농도를 매일 검사하며 손발이 저리는 증상이 오지는 않는지 관찰해야한다.
-
5. 갑상선암 환자의 간호과정대상자의 경우 유두암 진단을 받아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할 예정이다. 수술 후 저칼슘혈증이 발생할 수 있어 칼슘과 비타민 D를 투여하고 매일 혈중 칼슘 농도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수술 부위 통증 관리와 상처 간호가 필요하다.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제 복용을 통해 갑상선 호르몬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수치를 적절히 유지하여 암의 재발을 방지해야 한다.
-
1.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is the most common type of thyroid cancer,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80-85% of all thyroid cancer cases. PTC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papillary structures in the thyroid gland, which are abnormal growths of thyroid cells. PTC is generally considered a slow-growing and less aggressive form of thyroid cancer, with a relatively good prognosis compared to other thyroid cancer subtypes. Early detec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crucial for managing PTC effectively. Treatment typically involves surgical removal of the affected thyroid gland, followed by radioactive iodine therapy and/or thyroi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Regular monitoring and follow-up care are essential to ensure the best possible outcomes for patients with PTC.
-
2. 갑상선암의 증상갑상선암의 주요 증상은 갑상선 결절, 목 부위의 종괴, 연하 곤란, 목 부위 통증 등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며, 크기가 커지면서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게 되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음성 변화, 호흡 곤란, 림프절 종대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의 증상은 다양하고 비특이적이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함께 증상 발현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특히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세침흡인검사를 통해 악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3. 갑상선암의 치료갑상선암의 치료는 암의 병기, 종류, 크기, 침범 범위 등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적 치료가 1차 치료법이며, 전절제술 또는 부분절제술이 시행됩니다. 수술 후에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 갑상선 호르몬 보충 요법 등의 보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와 항암 화학 요법은 진행성 또는 재발성 갑상선암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최근에는 표적 치료제와 면역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법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갑상선암 치료에는 다학제 팀 접근이 중요하며, 환자 개인의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
4. 갑상선암 수술 후 간호갑상선암 수술 후 간호는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간호 활동으로는 수술 부위 관리, 출혈 및 감염 예방, 저칼슘혈증 관리, 갑상선 호르몬 보충 요법 관리, 영양 관리, 통증 관리, 활동 증진 등이 있습니다. 수술 후 환자는 갑상선 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환자와 가족에게 수술 후 관리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상담과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갑상선암 환자의 간호과정갑상선암 환자의 간호과정은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와 상황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 사정을 통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 진단을 내립니다. 그 다음 단계로 환자 중심의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며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갑상선암 환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등 다양한 치료를 받게 되므로, 이에 따른 부작용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가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의 교육, 상담, 지지 등 포괄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가 질병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