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생아 신경근육 성숙도, 신체성숙도 보고서
본 내용은
"
신생아 신경근육 성숙도, 신체성숙도 보고서/ 아동간호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8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신경근육 성숙도Ballard, Khoury, Wedig 등에 의해 개발된 New Ballard Scale을 통해 신생아 신경근육 성숙도를 측정한다. 이 도구는 Dubowitz scale을 간략화한 것으로, 6항목의 신체검사와 6항목의 신경학적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증상은 점수화되어 합산된 점수로 20~44주의 재태기간 성숙도를 평가한다.
-
2. 신생아 신체성숙도NRS는 융합된 눈꺼풀, 감지할 수 없는 유방조직, 끈적거리고 투명한 약한 피부, 솜털이 없고, 90° 이상의 손목 굴곡 각도와 같이 극히 미숙한 상태의 징후에 대한 –1과 –2점을 포함하고 있다.
-
1. 신생아 신경근육 성숙도신생아의 신경근육 성숙도는 매우 중요한 발달 지표입니다. 신생아기에는 신경계와 근육계가 급격히 발달하는데, 이는 향후 운동 능력 및 전반적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신생아의 신경근육 성숙도를 정확히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관리와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생아의 근긴장도, 반사 반응, 자세 조절 능력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발달 지연이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신생아의 신경근육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적절한 자극과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신생아 신체성숙도신생아의 신체성숙도는 출생 시 신체 계측 지표와 발달 상태를 통해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체중, 신장, 두위 등의 계측 결과는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반적인 성장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의 근육 긴장도, 반사 반응, 자세 조절 능력 등을 관찰하여 신경계와 근육계의 발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체성숙도 평가는 신생아의 건강 상태와 향후 발달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신생아의 신체성숙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발달 지연이 있는 경우, 적절한 의학적 관리와 조기 개입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A+, 고빌리루빈혈증 케이스 13페이지
사례 보고서부제 : 신생아 간호과정학과명간호학과교과목명/학점아동간호학임상실습1/1학점학 반학 번실습조이름지도교수제출일자1) 분만직후 신생아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처치(1) 기도유지와 활력징후 안정신생아의 기도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신생아를 똑바로 해야하나 다량의 분비물이 있다면 옆으로 눕힌다. 흡인이 필요하다면 둥근 모양의 고무(벌브) 흡인기(bulb syringe)를 사용한다. 양수나 점액의 흡인을 막기 위해 구강과 인두를 먼저 흡인한 후 비강을 흡인한다. 고무 흡인기를 사용할 때는 기관지 내로 분비물이 흡인되는 것을 예방하...2024.03.24· 13페이지 -
모성간호학 실습, 신생아실 case study - A+ 22페이지
모성간호학산부인과신생아실1. PBL2. 문헌고찰1) 정상 신생아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간호3. 간호과정1) 기초 자료2) 고위험 신생아 간호3) 신생아 검사4. 간호진단 및 중재5. 출처6. self study신생아 사례 보고서PBL2019/4/29 분만 당일2016년에 결혼한 산모 박??님은 갑상선 항진증 과거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안티로이드 약을 복용했다가 12wks에 stop한 경험이 있었다. 박??님은 36주에 OPD를 통해 adm하였고 Breech C/S하여 13:45분 2480gm로 조산하였다. 신생아 신체 측정한 결과...2024.06.01· 22페이지 -
아동간호실습 미숙아에 관련된 질병고찰보고서입니다. 8페이지
질병고찰보고서미숙아[Preterm infant]과 목 명:아동간호실습1실습학생:간호학과실습장소:신생아실실습기간:지도교수:1. 정의?미숙아(未熟兒, preterm infant)- 未熟兒: 신체 각 부분이 충분히 성숙되지 않은 채 출생된 아이, 이른둥이-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른 미숙아의 정의는 츨생시 체중과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전에 출생하거나 또는 최종 월경일에서 259일 전에 태어난 신생아를 의미한다.(cf. 만삭아: 37~42주 사이, 과숙아: 42주 이후)2. 원인?미숙아 출생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지만 ...2024.07.04· 8페이지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2개 문헌고찰 포함 10페이지
고위험신생아 사례보고서1. 신생아 성숙도 사정2. 질환 문헌고찰3. 간호과정1)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2) 간호과정 적용4. 참고문헌1. 신생아 성숙도 사정 (New Ballard scale)?신경근육 성숙도 사정자세2점둔부와 무릎, 팔을 약간 굴곡 시킴손목 각도2점45도 각도로 굴곡팔 되돌아오기 반응3점굴곡 정도가 90~110도슬와각도2점120도스카프 징후2점팔꿈치가 신체 중앙선에 닿음발 뒤꿈치 귀닿기2점대퇴부가 몸과 평행하고 슬와각도 약 120도?신체성숙도피부2점표피가 약간 벗겨지거나 발진이 있고 혈관이 드물게 보임솜털3점없는...2022.02.05· 10페이지 -
아동간호학) 신생아 사정보고서 7페이지
아동간호학 실습보고서- 신생아 사정 보고서 -◆ 신생아의 초기 사정1. Apgar 점수- 신생아 상태 평가위해 개발- 출생 후 1분,5분에 심박동, 호흡능력, 반사능력, 근육긴장, 피부색 소견 관찰 점수냄- 생후 1분 :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는 신생아의 능력 결정 → 소생술 필요여부 결정- 생후 5분 : 신생아의 상태 재평가- 5가지 소견 ? 심박동 ? 제일 먼저 측정 시행- 심장부위 청진 or 제대맥박 촉진 → 정확히 1분간 측정- 호흡능력 ? 보조기 도움 없이 호흡수 측정- 흡기능력 지연 여부 사정 → 1분간 흡기 수 세기- ...2021.06.16·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