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간호사정,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케이스] 심방세동 간호사정, 간호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9
문서 내 토픽
  • 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여러 개의 이소성 전기충동 발생으로 심방의 전기적 활동이 완전히 무너지는 것이 특징이며 그 결과 심방의 효과적 전도가 상살하는 것이다. CAD, 판막 심장질환, 심근병증, 고혈압성 심장질환, 심부전, 심낭염 같은 기존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보통 발생한다. 갑상선 중독증, 알코올 중독, 카페인 사용, 전해질 불균형, 스트레스, 심장 수술과 같은 요인에서 급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심방세동은 심박출량 감소를 유발하여 혈액정체를 일으켜 심방에서의 혈전 생성 가능성을 높인다. 색전화된 혈전은 뇌를 지나면서 뇌졸중을 발생시킬 수 있다.
  • 2. 심방세동 간호
    심실 속도 조절이 우선적인 간호이다. 이때 사용되는 약물은 CCB(diltiazem), B 아드레날린 차단제, dronedarone, digoxin이 있다. 동성리듬으로의 전환과 유지를 위해 항부정맥제(amiodarone, ibutilide)를 사용하거나 전기적 심장율동 전환을 사용할 수 있다. 환자가 48시간 이상 심방세동이 지속되는 경우는 혈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warfarin을 이용한 항응고요법을 심장율동 전환 시도 이전에 3-4주 동안, 성공적인 심장율동 전환 후 몇 주 동안 할 것을 권장한다. 약물이나 심장율동전환이 효과적이지 못하다면 장기적인 항응고요법이 필요해진다. 이 때 INR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장의 상부 심방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심장 부정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이 효율적으로 펌프질되지 않아 혈전 생성 위험이 높아지며, 심부전, 뇌졸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 환자들은 증상으로 가슴 두근거림, 숨가쁨, 피로감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심방세동의 원인으로는 고혈압, 심장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으며, 위험 요인 관리와 함께 항부정맥 약물, 전기 심장 충격술, 카테터 절제술 등의 치료법이 사용됩니다. 심방세동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 2. 심방세동 간호
    심방세동 환자의 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첫째, 증상 관리를 위해 규칙적인 심장 리듬 모니터링과 함께 항부정맥 약물 투여, 전기 심장 충격술 등의 치료법을 적용합니다. 둘째, 혈전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 투여와 함께 생활 습관 관리, 정기적인 검사 등을 수행합니다. 셋째,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심부전, 뇌졸중 등의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합니다. 넷째, 환자의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교육과 상담을 제공합니다. 다섯째, 환자 개인의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맞춤형 간호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와 같은 포괄적인 간호 접근을 통해 심방세동 환자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