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대_뉴미디어이론 과목_평점A_레포트_개혁확산모델(넷플릭스), 미디어방정식(IE), 상호작용성(트위치) 예시 분석
본 내용은
"
명지대_뉴미디어이론 과목_평점A_레포트_개혁확산모델(넷플릭스), 미디어방정식(IE), 상호작용성(트위치) 예시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7
문서 내 토픽
  • 1. 개혁 확산 모델
    개혁 확산 모델은 새로운 것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정 채널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되는 과정이다. 이 모델의 세부 단계는 혁신자, 조기 채택자, 조기 다수자, 후기 다수자, 지체자로 구분된다. 필자는 미국의 OTT 서비스,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이 모델에 대해 설명하였다. 넷플릭스는 혁신자와 조기 채택자를 끌어모으며 조기 다수자와 후기 다수자로 확산되었고, 현재는 지체자들을 공략하며 1위 기업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한국 시장에서는 아직 조기 다수자를 설득하지 못하고 Chasm에 갇혀 있는 상황이다.
  • 2. 미디어 방정식
    미디어 방정식은 사람들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가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반응한다는 것이다. 필자 또한 종종 미디어를 사람처럼 대하는데, 특히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의인화한 만화를 보고 IE에게 감정이 있었다면 참 슬펐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IE에게 기본 브라우저로 설정하겠냐는 메시지를 받고 거절하기 어려워 그렇게 선택한 적이 있다. 이는 미디어 방정식을 스스로 증명한 행동이 되었다.
  • 3. 상호작용성
    상호작용성에는 감각 차원(생동감), 의미 차원(관련성/적절성), 행동 차원(통제/제어)의 3가지 차원이 있다. 트위치는 게임 영상의 생생한 시각적 효과와 스트리머의 반응, 청각적 생동감을 통해 감각 차원의 상호작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스트리머-유저, 유저-유저 간 실시간 소통과 유저가 스트리머에게 후원하며 자신의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의미 차원과 행동 차원의 상호작용성도 높다. 하지만 이러한 상호작용성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유저가 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최근 트위치가 게임 방송 외에 다양한 카테고리를 추가하면서 더 많은 유저들이 긍정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되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개혁 확산 모델
    개혁 확산 모델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이 사회 전반에 걸쳐 어떻게 퍼져나가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혁신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혁신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혁신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확산되어 나가게 됩니다. 이 모델은 혁신의 채택 과정을 잘 설명하고 있지만, 혁신의 확산 속도나 범위 등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화된 설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혁 확산 모델은 혁신의 확산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다양한 맥락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2. 미디어 방정식
    미디어 방정식은 미디어 메시지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미디어 메시지는 수용자의 태도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은 미디어 메시지의 특성과 수용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미디어 방정식은 미디어 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실제 미디어 환경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한 인과관계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미디어 방정식은 미디어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보다 복잡한 미디어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상호작용성
    상호작용성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자와 미디어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상호작용성은 사용자가 미디어 콘텐츠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상호작용성은 사용자와 미디어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사용자의 참여와 몰입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호작용성은 단순히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도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상호작용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행동 패턴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