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계획서(정신간호학)
본 내용은
"
A+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계획서(정신간호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7
문서 내 토픽
  • 1. 자살예방 캠페인
    2022년 9월 10일 오후 5시에 00강 일대에서 생명존중서약서 작성, SNS 인증 샷 해시태그 시 참가자 전원 기념 티셔츠 제공, 완주자 메달 + 배번표 제공 등의 내용으로 자살예방 캠페인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 2. 자살예방 교육
    2022년 중 1회 00구 18개 중학교 강당에서 생명존중 문화를 확산하고 자살 위험에 처한 또래 친구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게이트키퍼(마음지기)로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또한 00구 직장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매월 둘째 주 토요일 14:00에 자살예방교육/직무스트레스교육, 정신건강 스크리닝(상담)을 실시하고, 00구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매월 첫째 주 수요일 10:00에 정신건강 스크리닝(상담), 고위험군 발굴 및 조기개입, 지역복지자원 연계 및 지원을 할 계획입니다.
  • 3. 게이트키퍼양성교육
    2022년 매월 셋째 주 토요일 14:00에 00구 보건소 내 3층에서 00구 지역주민(청소년, 대학생, 노인, 직장인, 실무자 등)을 대상으로 자살예방의 기초지식 및 자살위험성 평가교육, 자살예방 상담기술, 대처방법교육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 4. 자살 고위험군 사례관리
    매월 매주 1회 자살시도자 및 고위험군, 자살유가족을 대상으로 내소 및 전화 상담을 통해 지역사회 자살 예방 연계체계를 마련하고 자살예방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자살예방 캠페인
    자살예방 캠페인은 자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자살 위험군을 발견하여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자살률을 낮추고 자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캠페인은 다양한 매체와 채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자살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자살 위험군 식별 방법, 도움 요청 방법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또한 캠페인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살예방 캠페인은 개인과 사회 전체의 자살 예방 의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2. 자살예방 교육
    자살예방 교육은 자살에 대한 이해와 예방 방법을 개인과 지역사회에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자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살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살예방 교육은 학교, 직장, 지역사회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별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교육 내용에는 자살의 원인과 위험 요인, 자살 징후 인지 방법, 도움 요청 및 제공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교육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살예방 교육은 개인과 지역사회의 자살 예방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3. 게이트키퍼양성교육
    게이트키퍼 양성교육은 자살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게이트키퍼는 자살 위험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개인 또는 전문가로, 자살 징후를 인지하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게이트키퍼 양성교육에는 자살의 원인과 위험 요인, 자살 징후 인지 방법, 도움 요청 및 제공 방법, 위기 개입 기술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교육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게이트키퍼 양성교육은 자살 예방 체계를 강화하고 자살률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4. 자살 고위험군 사례관리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사례관리는 자살 예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살 고위험군은 자살 시도 경험이 있거나 자살 위험 요인이 높은 개인을 의미하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례관리에는 고위험군 선별, 위험 요인 평가, 개인별 맞춤형 개입 계획 수립,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후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전문가와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여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살 고위험군 사례관리는 자살 예방에 효과적이며, 개인과 지역사회의 자살 예방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