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사회복지개론 과제(선별적 복지vs보편적 복지)
본 내용은
"
[A++]사회복지개론 과제(선별적 복지vs보편적 복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7
문서 내 토픽
-
1. 선별적 복지선별적 복지는 소극성, 형평성인 성격으로 희소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복지의 혜택을 꼭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만 집중해서 제공하여 비용을 절감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은 주로 노인, 장애인, 아동 등의 사회적 취약 계층입니다. 단점은 대상자에게 사회적 낙인효과가 있다는 것이고, 사례로는 정부가 기초생활수급대상자(저소득층, 고령자 등)에게 생계비 일부를 지원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
2. 제도적 복지제도적 복지는 적극성을 띄고 개인이나 집단이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만들어진 사회서비스와 사회제도를 말합니다. 사회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고, 선별적 복지와는 달리 낙인효과가 없다는 것이 장점이며, 사회복지혜택을 꼭 필요로 하지 않는 대상자들에게도 혜택을 제공하여 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사례로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험을 들 수 있습니다.
-
3. 무상급식무상급식의 문제점 중 하나가 영국에서 학교급식을 저소득층 자녀들에게만 선별적으로 제공하면서 사회적 낙인 문제가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모든 학생에게 무료급식을 시행했다고 합니다. 낙인효과로 인해 아동, 청소년들이 한창 성장하는 시기에 불편함을 겪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상급식을 실시한다면 예산 확보가 문제로 대두될 것입니다. 실제로 00도에서 무상급식 실시 중단을 한 것도 예산확보가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미래를 이끌어나갈 주인공인 아이들에게 예산문제 때문에 배고픔으로 고통을 겪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
1. 선별적 복지선별적 복지는 정부가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가장 도움이 필요한 계층을 선별하여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이는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선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부정수급 문제, 그리고 수혜 대상자들의 낙인감 등의 단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선별적 복지 정책을 시행할 때는 대상자 선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수혜자들의 자존감을 보호하는 등의 보완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제도적 복지제도적 복지는 국가가 법과 제도를 통해 모든 국민에게 일정 수준의 기본적인 복지를 보장하는 정책입니다. 이는 보편적 복지 실현을 목표로 하며,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정 투입이 필요하므로 재정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복지 혜택의 수준과 범위를 어디까지로 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제도적 복지 정책을 시행할 때는 재정 부담을 고려하면서도 국민의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의 복지 혜택을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
3. 무상급식무상급식은 모든 학생들에게 무료로 급식을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이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영양 섭취를 보장하고 교육 기회의 균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교육 기회의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정 투입이 필요하므로 재정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무상급식 정책이 실제로 저소득층 학생들의 영양 섭취 개선에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란도 있습니다. 따라서 무상급식 정책을 시행할 때는 재정 부담을 고려하면서도 실제 수혜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