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사업계획서(강북구)
본 내용은
"
지역사회 사업계획서(강북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6
문서 내 토픽
  • 1. 높은 남자 현재 흡연율
    강북구의 남자 현재 흡연율은 34.4%로 전년 대비 2.8%p 증가하였으며, 서울시 27.9%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53.4%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19.8%로 가장 낮았습니다. 또한 강북구 흡연자의 금연도시율이 2013년 28.6%, 2015년 30.5%, 2017년 19.0%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현재흡연자의 1개월 내 금연계획률은 2.6%로 서울시 4.6%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강북구 주민들의 높은 흡연율과 낮은 금연 시도율 및 금연 계획률로 인해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2. 높음 음주율
    강북구의 월간 음주율은 53.7%로 전년 대비 3.6%p 증가하였으며, 서울시 50.9%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성별로는 남자 66.0%, 여자 42.2%로 남자에서 더 높았고, 연령별로는 30대에서 69.8%로 가장 높았습니다. 또한 월간 폭음률은 25.8%로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자 36.7%, 여자 15.6%로 남자에서 더 높았습니다. 연간 음주운전 경험률도 1.4%로 전년 대비 0.8%p 증가하였고, 서울시 0.9%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이는 강북구 주민들의 높은 음주율과 폭음률, 음주운전 경험률로 인해 건강 및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3. 낮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률
    강북구의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12.6%로 전년 대비 0.8% 감소하였으며, 서울시 18.3%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성별로는 남자 16.5%, 여자 9.0%로 남자에서 더 높았고, 연령별로는 20대에서 24.7%로 가장 높았습니다. 또한 걷기 실천율은 52.7%로 전년 대비 2.0% 증가하였지만, 서울시 55.8%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건강생활실천율 또한 40.7%로 전년 대비 1.4% 증가하였지만, 서울시 44.4%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강북구 주민들의 낮은 신체활동 실천율로 인해 비만 등의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4. 높은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쁜 인구의 비율
    강북구의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쁜 인구의 비율은 26.6%로 전년 대비 5.1% 증가하였으며, 서울시 21.2%에 비해 높은 수준입니다. 성별로는 남자 29.9%, 여자 23.5%로 남자에서 더 높았고,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에서 51.0%로 가장 높았습니다. 또한 65세 이상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은 31.3%로 전년 대비 6.8% 증가하였고, 서울시 29.0%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어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67.7%로 전년 대비 1.2%p 증가하였지만, 서울시 70.3%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이는 강북구 주민들의 구강건강 수준이 낮고 구강관리 실천이 부족함을 나타냅니다.
  • 5. 낮은 혈당수치 인지율
    강북구의 혈당수치 인지율은 34.3%로 전년 대비 0.1% 감소하였으며, 서울시 35.0%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성별로는 남자 35.5%, 여자 33.3%로 남자에서 더 높았고, 연령별로는 50대에서 51.7%로 가장 높았습니다. 또한 30세 이상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9.6%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였지만, 서울시 10.1%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당뇨병 부분에 있어 관리교육 이수율 또한 전국, 서울시보다 두드러지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강북구 주민들의 낮은 혈당수치 인지율과 당뇨병 관리교육 참여율로 인해 당뇨병 관리가 부족함을 나타냅니다.
  • 6. 높은 고혈압 진단 경험률
    강북구의 30세 이상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27.8%로 서울시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반면 강북구민의 고혈압관리교육 이수율은 5.0%로 서울시 28.8%와 전국 19.4%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강북구 주민들의 높은 고혈압 진단 경험률에 비해 고혈압 관리교육 참여가 부족함을 보여줍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높은 남자 현재 흡연율
    남성의 높은 흡연율은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흡연은 폐암,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질병의 주요 위험 요인이며, 이는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부담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금연 교육, 금연 지원 프로그램, 금연 환경 조성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또한 개인적으로도 금연에 대한 의지와 실천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높음 음주율
    높은 음주율은 개인의 건강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음주는 간 질환, 심혈관 질환, 정신 건강 문제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음주 운전, 가정 폭력, 범죄 등의 사회적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역사회는 음주 예방 교육, 절주 캠페인, 음주 운전 단속 강화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건강한 음주 문화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 3. 낮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률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 실천률이 낮은 것은 건강 관리 측면에서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 등 만성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며, 정신 건강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역사회는 운동 시설 확충, 운동 프로그램 개발, 운동 문화 조성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민의 신체활동 실천을 높여나가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일상생활에서 걷기, 등산, 자전거 타기 등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4. 높은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쁜 인구의 비율
    주관적으로 구강 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하는 인구가 많다는 것은 구강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함을 보여줍니다. 구강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치과 검진,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 구강 건강 교육 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정부와 지역사회는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마련과 함께 국민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5. 낮은 혈당수치 인지율
    혈당 수치에 대한 인지율이 낮다는 것은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부족함을 보여줍니다. 혈당 수치는 당뇨병 및 기타 만성 질환 예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므로, 이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정부와 지역사회는 정기 건강 검진 및 혈당 검사 지원, 당뇨병 예방 및 관리 교육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국민들의 혈당 수치 인지율을 높여나가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자가 건강 관리에 힘써야 할 것 같습니다.
  • 6. 높은 고혈압 진단 경험률
    높은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국민 건강 관리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보입니다.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지역사회는 정기 건강 검진 지원, 고혈압 관리 교육 및 상담 서비스 제공, 생활 습관 개선 캠페인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 생활 습관 관리에 힘써야 할 것 같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