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행역학 Required Power Curve(필요 동력 커브) 산출
본 내용은
"
비행역학 Required Power Curve(필요 동력 커브) 산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9
문서 내 토픽
-
1. 필요추력(Thrust Required)항공기가 주어진 고도에서 비행을 하는데 필요한 추력을 필요추력(Thrust Required)이라 하고, 항공기에 장착한 추진기관으로부터 비행에 이용할 수 있는 추력을 이용추력(Thrust Available)이라 한다. 등속수평비행에서 필요추력은 항력과 같다. 필요추력은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유도항력(Induced Drag)을 감당하는 추력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2. 필요동력(Power Required)항공기의 동력은 비행속도(V)와 추력(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등속수평비행에서 필요동력은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하는 항과 속도에 반비례하는 항으로 표현된다. 필요동력을 최소로 하는 공력조건은 양항관계인 (CL^(3/2)/CD)값이 최대가 되어야 한다.
-
3. C.G. 위치에 따른 Power Required CurveC.G.가 MAC 20%, 25%, 30%일 때의 Power Required Curve를 구하였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동일한 추력으로 낼 수 있는 속도는 증가하지만 최대추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일정 고도 이상에서 항공기를 비행할 시 더 효율적으로 운항할 수 있다.
-
1. 필요추력(Thrust Required)필요추력(Thrust Required)은 항공기가 비행하기 위해 필요한 추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중량, 속도, 고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필요추력은 항공기 설계 및 운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적절한 추력 확보는 항공기의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필요추력을 정확히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엔진 및 기체 설계를 최적화하는 것은 항공기 개발의 핵심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필요동력(Power Required)필요동력(Power Required)은 항공기가 비행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속도, 고도, 중량, 공기역학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필요동력은 항공기의 성능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항공기 설계의 주요 목표 중 하나입니다. 필요동력을 정확히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엔진 및 기체 설계를 최적화하는 것은 항공기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C.G. 위치에 따른 Power Required Curve항공기의 무게중심(C.G.) 위치는 필요동력(Power Required) 곡선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C.G.가 앞쪽으로 이동할수록 꼬리면의 하중이 증가하여 필요동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C.G.가 뒤쪽으로 이동할수록 꼬리면의 하중이 감소하여 필요동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C.G. 위치 최적화는 항공기 설계 시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됩니다. 적절한 C.G. 위치를 선정하여 필요동력을 최소화하는 것은 항공기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