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공학응용실험] 차동증폭기 심화실험-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전자공학응용실험] 차동증폭기 심화실험-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1
문서 내 토픽
-
1. 차동증폭기차동 모드 입력 가변 저항 값은 811옴이었고, 차동 모드 전압 이득은 주파수에 따라 변화했습니다. 1kHz에서는 11.12V/V, 10kHz에서는 11.47V/V, 100kHz에서는 5.76V/V, 1MHz에서는 1.08V/V였습니다. 공통 모드 입력 가변 저항 값은 803옴이었고, 공통 모드 전압 이득은 주파수에 따라 0.16V/V에서 0.29V/V 사이였습니다. CMRR(공통 모드 제거비)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여 1MHz에서는 11.41dB였습니다. 차동 쌍이 완전히 매칭되지 않아 공통 모드 전압 이득이 발생하며, Channel length modulation을 고려하지 않아 이론값과 실험 결과의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CMRR을 향상시키려면 차동 전압 이득을 높이거나 공통 전압 이득을 낮추어야 합니다.
-
1. 차동증폭기차동증폭기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두 개의 입력 신호를 받아 그 차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차동증폭기는 공통 모드 잡음 제거, 높은 입력 임피던스, 낮은 출력 임피던스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정밀한 신호 처리에 적합합니다. 특히 차동 신호 처리, 차동 센서 신호 증폭, 차동 전압 측정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차동증폭기의 설계와 구현은 전자 회로 설계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며,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및 디지털 신호 처리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