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예술에서 메타버스 공연예술까지-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현대예술에서 메타버스 공연예술까지-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2
문서 내 토픽
  • 1. 재매개와 이중논리
    볼터와 그루신은 20세기말 미디어 테크놀로지가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전통적인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가 상호 공존하는 환경을 통해 재매개의 개념을 제시했다. 재매개란 볼터와 그루신이 오래된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가 동시대에 공존할 수 있다고 주장한 미디어의 논리로 각가의 미디어가 서로를 이용하여 새로운 미디어로 거듭나는 것을 말한다. 즉 새로운 미디어가 앞서 미디어 형식들을 변개하는 논리 또는 한 미디어를 다른 미디어에서 표상하는 것이다. 볼터와 그루신은 이와 같은 재매개개념을 주장할 때 '재매개의 이중논리'를 매개 방식으로 내세웠다. 이들은 '투명성의 비매개'와 '하이퍼매개'를 재매개의 이중논리로 설명하였다.
  • 2. 재매개와 메타버스 공연
    오프라인 공연은 재매개의 과정을 거쳐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자리를 이동하였고, 공연예술계는 다양한 형태의 공연예술을 관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메타버스에서 공연을 관람할 때 기존의 오프라인 공연에서 느낄 수 있는 것과 흡사한 특유성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투명성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공연이라는 점을 인정하고 가시적으로 공연성을 드러내는 하이퍼매개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비매개와 하이퍼매개가 공존하여 상호작용 할 때 발생하는 것이 재매개이며, 이 과정을 통해 관람자들은 독특한 재매개성을 확보한 메타버스 공연이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적 체험이 가능해진다.
  • 3. 메타버스 공연과 현존
    메타버스에서 공연자와 관람자는 파워가 말한 실제가 아닌 것을 실체처럼 꾸미는, 즉 인간이 아닌 아바타들이 가상세계에서 인간처럼 행동하고 공연을 즐기는 허구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관객은 참여자로서 배우와 함께 무대 위에서 같이 춤추고 하늘을 날아가는 등의 참여를 통해 공연에 몰입하게 된다. 이때 메타버스 공연과 아바타들이 하나로 어우러지며, 관람자가 미디어라는 사실을 망각하게 하는 투명성이 드러나게 된다. 또한 관객은 가상세계를 현실이라고 지각하고 다른 아바타들과 신체적으로 공동 현존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재매개와 이중논리
    재매개는 기존 미디어 형식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맞게 변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중논리는 기존 미디어의 특성과 새로운 미디어의 특성이 충돌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TV 프로그램을 온라인 플랫폼에 옮기는 경우, TV의 선형적 특성과 온라인의 비선형적 특성이 충돌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콘텐츠가 등장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중논리는 기존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 간의 긴장관계를 보여주며,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 됩니다. 재매개와 이중논리에 대한 이해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미디어 형식을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재매개와 메타버스 공연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세계입니다. 메타버스 공연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공연을 가상 공간에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존의 공연 형식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맞게 재매개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공연은 관객의 몰입감을 높이고,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존 공연의 생동감과 현장감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메타버스 공연은 기존 공연 형식과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융합을 통해 관객 경험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3. 메타버스 공연과 현존
    메타버스 공연은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공연 형식이므로, 관객의 현존감(sense of presence)이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현존감은 가상 환경 속에서 실재하는 것처럼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며, 메타버스 공연의 몰입감과 생동감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메타버스 공연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품질, 상호작용성 등 다양한 요소가 현존감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메타버스 공연 제작 시에는 관객의 현존감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창작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 공연이 기존 공연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관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