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간호학] 조현병 시나리오 케이스 스터디 A+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조현병 시나리오 케이스 스터디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4
문서 내 토픽
-
1. 조현병 (Schizophrenia)A씨는 6개월 전 약물과다복용으로 자살 시도를 하여 응급실로 단기 입원한 병력이 있고, 당시 정신 병동 입원을 권고받았으나 경제적 이유로 인한 환자의 완강한 거부로 외래를 통해 치료를 하기로 하였다. A씨는 헛것이 보인다며 공포감에 눈을 감고 뜨지 않는 모습을 보여 보호자인 딸과 함께 외래를 통해 내원하였고, 의료진의 계속되는 입원 권고에 고개를 끄덕여 입원하게 되었다. 병동으로 입원 시 자신이 입원하는 것이냐며 횡설수설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간호사는 A씨의 개인위생이 불량함을 관찰하였다. 간호사와의 면담 중 A씨의 딸은 10년 전 어머니가 아버지의 외도 사실을 안 후 계속해서 외도를 의심해왔으며 그로 인한 다툼이 계속되었고, 가정폭력으로 이어져 결국 6개월 전 이혼하였다고 말하였다. 환청과 환시는 최근 한 달 사이에 나타났으며 작년 A씨가 우울증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받았으나 복약을 임의로 중단한 상태라고 하였다. 또한 A씨는 지난 3개월간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체중이 약 8kg 줄어든 상태였다. 입원 중 A씨는 간호사의 질문에 엉뚱한 답을 하고, 본인의 말만 계속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밤에 복도를 배회하는 A씨를 중재하는 의료진에게 욕설과 발길질을 하는 등 폭력적인 모습을 보였다.
-
2. 망상장애 (부정망상, Delusion of infidelity)A씨는 약 10년간 남편의 외도를 의심해왔으며, TV 속의 여자와 남편이 외도를 한다고 생각한 적이 있고, 최근 한 달 내 환청과 환시 증상이 발생함.
-
1. 조현병 (Schizophrenia)조현병은 매우 복잡하고 심각한 정신 질환입니다. 환자들은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기 어려워하며, 환청, 환시, 망상 등의 증상을 겪습니다.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과 사회적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조현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뇌 구조 및 기능의 변화,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현병 치료에는 약물 치료와 함께 정신사회적 재활 프로그램이 중요합니다. 환자와 가족들의 이해와 지지가 필수적이며, 편견 없는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조현병은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2. 망상장애 (부정망상, Delusion of infidelity)망상장애는 비합리적이고 고정된 믿음을 가지고 있는 정신 질환입니다. 그중 부정망상은 배우자의 배신이나 불충실에 대한 강한 확신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환자의 대인관계와 가족생활에 큰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부정망상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뇌 기능의 변화, 스트레스, 외상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약물 치료와 함께 인지행동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지지도 중요합니다. 부정망상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