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언어학) Alfonso Caramazza's test, Genie의 언어능력, garden path에 대해
본 내용은
"
심리언어학) Alfonso Caramazza's test, Genie의 언어능력, garden path에 대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10
문서 내 토픽
-
1. Alfonso Caramazza's test연구자들은 'John is taller than Bill; who is taller?'과 'John is taller than Bill, who is shorter?'이란 질문을 통해 사람들이 존과 빌의 이미지를 상상한 다음 그들의 키를 비교해 질문에 대해 답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며 실험을 진행했다. 만약 이미지를 별로 쓰지 않고 언어 자체의 formality만을 보고 답을 낸다면 온전히 좌뇌에서 언어를 처리하므로 우뇌를 다친 사람이나 정상인이나 정확한 답변을 도출할 확률이 비슷하다. 그러나 만약 이미지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면 우뇌를 다친 사람들이 질문에 대한 답을 process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
2. Genie의 언어능력Genie는 약 13년 동안 부모의 학대와 감금 속에서 살았는데 엄마가 밥을 가져다줄 때 빼고는 사람과의 교류가 없었다. 이는 그녀가 최대 12-13세 무렵까지라는 critical period 동안 언어 자극에 노출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구조 후 연구자들은 Genie의 뇌를 촬영했는데 이때 우뇌가 그녀의 언어활동을 중점적으로 처리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그녀가 타고난 정상적 언어습득 능력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critical period 동안 언어에 대한 노출이 없었기 때문에 좌뇌가 언어의 중추로 기능 분화되지 않은 것이다.
-
3. garden path 문장사람들은 minimal attachment 원칙에 따라 더 간단한 동사로써 floated를 선택한다. 즉, 위 문장을 처음 parsing할 때 boat를 주어로, floated를 동사로 두며 문장을 분석한다. 그러나 뒤에 오는 동사 sank를 보며 floated가 main verb가 아님을 깨닫고 문장을 backtracking해 재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floated가 과거분사로 쓰였다는 사실을 알아내 The boat를 주어, floated downstream을 과거분사절, sank를 동사로 하여 문장을 올바르게 parsing한다.
-
1. Alfonso Caramazza's testAlfonso Caramazza's test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cognitive neuropsychology. It aims to understand the cognitive processes underlying language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by studying the language abilities of brain-damaged patients. The test involves presenting patients with various linguistic stimuli, such as words, sentences, and pictures, and observing their responses.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preserved and impaired language abilities, researchers can gain insights into the functional organization of the language system in the brain. Caramazza's work has been instrumental in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neural mechanisms underlying language processing and has had a lasting impact on the field of cognitive neuroscience.
-
2. garden path sentencesGarden path sentences are a fascinating linguistic phenomenon that provide insights into the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language comprehension. These sentences are constructed in a way that initially leads the reader or listener down an incorrect interpretive path, only to be revealed as syntactically or semantically ambiguous later on. The resolution of these ambiguities requires the language processor to revise its initial interpretation and adopt a new, more appropriate one. The study of garden path sentences has been instrumental in understanding the incremental and dynamic nature of language processing, as well as the role of contextual information, working memor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resolving linguistic ambiguities. These sentences have been widely used in psycholinguistic research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sentence parsing and the interplay between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in language comprehension. The insights gained from the study of garden path sentences have contributed to our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architecture and computational principles underlying human language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