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mon Bile Duct Cancer
본 내용은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OR Common Bile Duct Cance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7
문서 내 토픽
-
1. Common Bile Duct Cancer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 내 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에서 십이지장 내로 연결이 되는 곳입니다. 총담관 결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환자의 7~15% 정도가 담낭 결석과 함께 진단됩니다.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빠져나와 총담관에 결석을 형성하거나(이차성 담관결석), 담관의 감염 혹은 담즙정체로 인하여 처음부터 총담관 안에서 결석이 만들어지는 경우(일차성 담관결석)가 있습니다. 총담관 내에서 만들어지는 결석은 세균 및 기생충 감염과 관련이 되어 있으므로, 담관결석에 대한 치료 후 재발방지를 위해 원인제거를 해야합니다.
-
1. Common Bile Duct CancerCommon bile duct cancer, also known as cholangiocarcinoma, is a rare and aggressive type of cancer that originates in the bile ducts. The bile ducts are a network of tubes that carry bile, a digestive fluid, from the liver and gallbladder to the small intestine. This type of cancer is relatively uncommon, accounting for only about 3% of all gastrointestinal cancers. The exact cause of common bile duct cancer is not fully understood, but several risk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These include chronic inflammation of the bile ducts,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a rare autoimmune disease that causes scarring of the bile ducts), and certain liver infections, such as hepatitis B or C. Older age, obesity, and a history of gallstones or bile duct stones are also considered risk factors. Symptoms of common bile duct cancer can be vague and non-specific, often including jaundice (yellowing of the skin and eyes), abdominal pain, weight loss, and nausea. These symptoms can also be caused by other conditions, making early diagnosis challenging. As the cancer progresses, it can obstruct the bile ducts, leading to additional complications such as bile duct infections and liver dysfunction. Treatment for common bile duct cancer typically involves a combination of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he goal of treatment is to remove the tumor, if possible, and to manage any associated complications. However, due to the aggressive nature of this cancer and the difficulty in detecting it early, the prognosis for patients with common bile duct cancer is generally poor, with a 5-year survival rate of around 10-15%. Despite the challenges, ongoing research is exploring new treatment approaches, including targeted therapies and immunotherapies, which may help improve outcomes for patients with this rare and devastating form of cancer. Early detection and prompt treatment remain crucial for improving the chances of successful treatment and long-term survival.
-
간담췌 전반과 치료 46페이지
췌담도계의 악성종양췌담도계의 악성종양성별 10대암 조발생률 '2010출처 : 국립암센터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40000002.5%2.4%2.4%2.2%사망분율6.1% 5.2%성별 사망분율 -남성5.4% 4.1%성별 사망분율 -여성7.4% 7.0%5년 생존율 추이췌장암 환자 발생 건수췌담도계 해부생리- 담관 :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 - 담도 : 간내담관 + 간외담관 + 담낭 간내 담관 : 간 속을 지나는 담관 -간외 담관...2022.09.08· 46페이지 -
Cholecystectomy & CBD exploration 21페이지
Cholecystectomy CBD exploration Common Bile Duct1. Anatomy -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했다가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분비하면서 소화를 도와줌1. Anatomy Hepatobiliary triangle CHD (common hepatic duct) Cystic duct Inferior liver edge Calot”s triangle Cystic duct CHD (Common hepatic duct) Cystic artery2. 적응증 GB stone (담낭결석) Acute/Chronic ...2022.03.03· 21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총담관암 A+ 20페이지
총담관암(CBD cancer) 환자사례 보고서Ⅰ. 서론 -------------------------------------------------------------- 30. 연구의 필요성1. 문헌 고찰Ⅱ. 본론 -------------------------------------------------------------- 60. 간호사정1) 개인력2) 건강력3) 간호력4) 신체검진1.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1) 검사 결과2) 수술3) 약물2. 간호과정Ⅲ. 결론 --------------------------------------...2023.01.24· 20페이지 -
췌담도계 정의 및 질환 문헌고찰/ A+ 케이스 (간장계질환) 11페이지
0000년 0학년 0학기(췌담도계질환)- 췌담도계 정의 및 기능 및 질환 -[췌장암, 담관암, 담낭암 + PTBD&PTGBD]학 번이 름실습병동실습지도교수실습기간제출날짜OO대학교 간호학부Ⅰ.본론1. 췌장&담도계의 구조 및 기능1) 췌장의 정의정의췌장은 위장의 뒤쪽에 위치한 후복막 장기로 소화기관 중 하나이다.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해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기능과 우리 몸의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췌장의 앞으로는 횡행결장과 위가, 아래쪽으로는 소장과 인접해있습니다. 췌장의 머리부위에는 하대...2021.09.09· 11페이지 -
A++ 칭찬받은 담관암 케이스 // 출혈 위험성, 급성통증, 변비 케이스 (CBD CANCER 케이스, CBD CANCER CASESTUDY)) 27페이지
담관암 케이스스터디변비 케이스출혈 위험성 케이스급성통증 케이스(간호과정 3개)(간호진단 9개)20XX학년도 X학기실습 케이스 스터디표지입니다여기에는 학교로고를넣으시면 됩니다.실습병원실습기간학번이름목차1. 문헌고찰1) 정의2) 병태생리(증상 및 예후 포함)3) 검사4) 치료5) 간호2. 환자사정1) 초기사정(전반적인 사정)2) 문제중심사정3) 진단검사(1) lab(2) 기능검사(3) 영상검사4) 약물 (계열별정리)5) 시술 및 수술3. 간호과정1) 문제목록2) 내릴 수 있는 모든 간호진단3) 선택한 간호진단(3개)4) 간호과정(3개)...2020.12.22· 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