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통신대학 보건환경학과 작업환경관리 기말시험과제
본 내용은
"
한국방송통신대학 보건환경학과 작업환경관리 기말시험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2
문서 내 토픽
-
1. 외부식 원형 후드의 필요 환기량 계산문제 1에서는 외부식 원형 후드의 필요 환기량(Q, m³/min)을 100 - 150 범위로 계산하는 문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후드의 제어거리, 직경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환기량 공식 Q(m³/min) = 60 × V(제어속도) × (10X² + A)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 123.08 m³/min의 환기량이 도출되었습니다.
-
2. 후드에 부착된 플랜지에 따른 환기량 감소문제 2에서는 문제 1의 후드에 플랜지를 부착했을 때의 환기량 감소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있습니다. 플랜지가 부착된 경우 송풍량이 25% 감소하여 92.31 m³/min의 환기량이 도출되었고, 플랜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면 30.77 m³/min의 감소가 있었습니다. 또한 후드의 한 면이 작업대에 고정된 플랜지를 설치한 경우 송풍량이 50% 감소하여 61.54 m³/min의 환기량이 도출되었고, 이는 문제 1의 후드 환기량 대비 50% 감소한 것입니다.
-
3. 실내 환경에서의 코로나 감염 위험 저감 대책문제 3에서는 일반 다중 이용시설의 실내 환경에서 코로나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공학적 대책으로 다음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실내 공간에 고온의 증기를 분출시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활동을 줄이는 것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활동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둘째, 실내 공간에 국소배기장치(후드)를 다수 설치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실내 공기 정화와 환기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1. 주제2: 후드에 부착된 플랜지에 따른 환기량 감소후드에 부착된 플랜지는 환기량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플랜지의 크기, 형상, 위치 등에 따라 공기 흐름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플랜지 설계 시 이러한 요소들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플랜지가 환기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적의 플랜지 설계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나아가 실제 운영 상황에서의 검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