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본 내용은
"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5
문서 내 토픽
-
1.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대상자는 desaturation 양상을 보였으며, 생후 30초 경 53%에서 O2 0.3 사용 후 생후 1분 70%로 상승하였습니다. 대상자의 ABGA 결과 pH 7.186, PCO2 55.4mmHg, PO2 36.3mmHg, HCO3 20.9mmol/L, O2 content 19.3Vol%로 산소화 및 산염기 불균형이 관찰되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호흡양상 사정, 청색증 관찰, ABGA 모니터링, 복위 적용, 계면활성제 투여, 기계환기 적용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단기목표는 3일 이내 정상 호흡양상 및 95% 이상의 산소포화도 유지를 달성하였습니다.
-
2. 미성숙한 소화?흡수 능력과 관련된 영양불균형대상자는 LGA - Late preterm infant (GA 34+6wks, 3670gm)으로 Trophic feeding 적용 중이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protein 수치가 낮았고(5.4g/dL↓), 위 잔여물(milk 양상) 관찰되어 feeding 1회 중단하였습니다. 간호중재로는 매일 체중 측정, 섭취량/배설량 체크, 위 잔여물 양 측정, protein 수치 확인, 영양 교육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단기목표는 3일 이내 위 잔여물 양 1cc 이하 달성하였습니다.
-
1.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미성숙한 폐기능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은 신생아와 영유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이는 폐의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호흡 근육의 힘이 약하고, 폐포의 표면적이 작아 가스 교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빈호흡, 호흡 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산소 공급, 호흡 보조 장치 사용, 호흡 운동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폐 발달을 돕기 위한 약물 치료와 영양 관리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와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미성숙한 소화?흡수 능력과 관련된 영양불균형신생아와 영유아의 소화 및 흡수 능력은 성인에 비해 미성숙한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성장 지연, 발달 지연,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요합니다. 모유 수유나 영유아용 분유 섭취, 보조 식품 도입 등을 통해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도모해야 합니다. 또한 소화 및 흡수 능력 향상을 위한 약물 치료와 함께 장 건강 관리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A+ NICU 실습 RDS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간호과정(진단 2개, 과정 2개) / 문헌고찰 / case study 10페이지
NICU 실습CASE STUDY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Infantil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교과목지도교수실습기간제출일학번/이름Ⅰ.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Infantil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정의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distresssyndrome,이하 RDS)은 폐표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의 부족에 의해 가스 교환의 역할을 담당하는 폐포가 펴지지 않아 진행성 호흡부전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2022.02.18· 10페이지 -
A+ 아동간호학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간호진단, 과정 20페이지
아동간호학 CASE STUDY-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espiratoty distress syndrome, RDS) -과목명아동간호학교수명제출일학 과학 번이 름목차1. 자료수집2. 대상자의 약물요법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4. 대상자의 질병 case study (문헌고찰)4-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4-2) 정상 신생아5. 간호과정 기록5-1) 간호문제 확인5-2)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별)5-3) 간호과정 기록6. 참고문헌1. 자료수집신생아 (1개월)평가일: 4월 7일이름: 성별 : 남 / 여---------------...2023.10.14· 20페이지 -
아동간호(신생아) 케이스 - RDS 호흡장애증후군 12페이지
신생아실case study과 목 : 아동간호학실습Ⅱ담당교수 : 교수님학 과 : 간호학과학 번 :이 름 :1.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영아기~학령기)가. 간호사정(1) 출생력연 령: 3m 성별: F제태기간: 31 주 0일 분만형태: 자연분만출생체중: 1640 gm ( 10~90 percentile ). 출생신장: 40.2 cm( 10~90 percentile).출생시 두위: 29.1 cm( 10~90 percentile ).어머니 연령 : ( 31 )세, 아버지 연령 : ( 알 수 없음 )APGAR 점수 : 1분 ( 5 )점, 5분 ...2022.09.06· 12페이지 -
아동간호학 신생아 MAS 케이스 17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사례연구(case study): 신생아 대상자아동간호학실습담당교수님현장 실습지도자실습장소실습기간2021반/조/학번/이름제출일자2021목차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2. 사례연구(case study)51) 간호 정보52) 신생아 신체 사정53) 영양104) 배설105) 활동 및 수면 양상106) 간호진단113. 참고문헌151.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질환명, 병태 생리 및 원인, 증상, 진단방법, 감별진단을 요하는 질환, 합병증 및예후, 치료 및 간호 포함) 참고문헌 제시MAS (meconium aspiration syn...2021.11.16· 17페이지 -
아동간호학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간호과정 9페이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case study1) 질병고찰2) 투약기록지3) 간호과정1) 질병고찰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정의출생 직후 폐가 지속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출생 후 진행성 호흡부전이 생기는 병이다. 미숙아는 폐가 작고, 폐를 팽창하게 하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의 생산과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만삭아보다 신생아 호흡곤한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가 ...2022.05.27·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