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본 내용은
"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5
문서 내 토픽
  • 1.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desaturation 양상을 보였으며, 생후 30초 경 53%에서 O2 0.3 사용 후 생후 1분 70%로 상승하였습니다. 대상자의 ABGA 결과 pH 7.186, PCO2 55.4mmHg, PO2 36.3mmHg, HCO3 20.9mmol/L, O2 content 19.3Vol%로 산소화 및 산염기 불균형이 관찰되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호흡양상 사정, 청색증 관찰, ABGA 모니터링, 복위 적용, 계면활성제 투여, 기계환기 적용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단기목표는 3일 이내 정상 호흡양상 및 95% 이상의 산소포화도 유지를 달성하였습니다.
  • 2. 미성숙한 소화?흡수 능력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대상자는 LGA - Late preterm infant (GA 34+6wks, 3670gm)으로 Trophic feeding 적용 중이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protein 수치가 낮았고(5.4g/dL↓), 위 잔여물(milk 양상) 관찰되어 feeding 1회 중단하였습니다. 간호중재로는 매일 체중 측정, 섭취량/배설량 체크, 위 잔여물 양 측정, protein 수치 확인, 영양 교육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단기목표는 3일 이내 위 잔여물 양 1cc 이하 달성하였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미성숙한 폐기능으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양상은 신생아와 영유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이는 폐의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호흡 근육의 힘이 약하고, 폐포의 표면적이 작아 가스 교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빈호흡, 호흡 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산소 공급, 호흡 보조 장치 사용, 호흡 운동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폐 발달을 돕기 위한 약물 치료와 영양 관리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와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미성숙한 소화?흡수 능력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생아와 영유아의 소화 및 흡수 능력은 성인에 비해 미성숙한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성장 지연, 발달 지연, 면역력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영유아의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요합니다. 모유 수유나 영유아용 분유 섭취, 보조 식품 도입 등을 통해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도모해야 합니다. 또한 소화 및 흡수 능력 향상을 위한 약물 치료와 함께 장 건강 관리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