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공학-재료공학]용접용어
본 내용은
"
[기계공학-재료공학]용접용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2
문서 내 토픽
-
1. 각장 / leg length필릿용접부의 단면에서 루트부로부터 토우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2. 고온균열 / hot crack, hot cracking, solidification cracking용접시 발생하는 일차결함으로서 응고온도범위 또는 그 직하의 비교적 고온에서 용접부의 자기수축과 외부구속등에 의한 인장스트레인(또는 응력)과 균열에 민감한 조직이 존재하면 발생하는 용접부의 균열을 말한다. 주로 용접금속에서 발생하지만 열영향부의 부분용융역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고온균열은 표에 나타낸바와 같이 발생온도 및 장소, 발생원인, 형태 등에 따라 응고균열(solidfication crack), 액화균열(liquation crack), 연성저하균열(ductility-dip crack)로 세분된다.
-
1. 각장 / leg length각장은 용접부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적절한 각장은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장이 너무 작으면 용접부가 약해질 수 있고, 너무 크면 용접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도와 환경에 맞는 적절한 각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장은 용접 방법, 재료, 두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각장을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각장은 용접부의 미관과 내식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요소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결국 각장은 용접부의 성능과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2. 고온균열 / hot crack, hot cracking, solidification cracking고온균열은 용접 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결함 중 하나입니다. 이는 용접부가 고온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균열로,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고온균열은 주로 용접 금속의 조성, 용접 입열량, 용접 속도, 구속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적절히 관리하여 고온균열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온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접 금속의 조성을 최적화하고, 용접 입열량과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며, 구속 조건을 완화하는 등의 다양한 기술적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예열, 후열처리 등의 열처리 공정을 통해 고온균열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고온균열은 용접부의 품질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용접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온균열 방지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품질의 용접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기계공학 관련 퍼즐] 기계공학 관련 퍼즐입니다. 기계공학 관련 수업에서 어휘력 향상, 기계공학 관련 용어 알아맞히기 퀴즈대회 등에 두루 사용하면 효과가 매우 좋습니다. 또한 가격 대비 가성비가 좋습니다. 참고로 이 퍼즐에 사용된 단어들은 100퍼센트 교과서 및 모의고사를 참고했습니다. 2페이지
공학 관련 퍼즐*************920562829307821223132910232442333411122543443536131445463738151649474839405041구분가로 열쇠구분세로 열쇠1물체에 대한 힘의 작용에 관한 학문을 ○○학2○○전력은 반대 방향으로 생기는 기전력3동력을 써서 움직이거나 일하는 장치4물리량의 크기를 재는 기계 또는 장치이다.5축 사이에서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6전기 회로 일부를 대지에 접속시키는 일7지지하는 힘에 생기는 수평의 힘은 ○○스트8용기 외벽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작은 조각9○○...2023.01.28· 2페이지 -
(A+)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인장 실험 10페이지
기계공학응용실험-실험 4: 인장 실험-1. 실험 목적대부분의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정적 및 동적 하중과 변형이 가해지게 되는데, 구조물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와 같은 하중과 변형을 감당할 수 있도록 재료의 강도가 설계되어야 한다. 본 실험은 재료의 강도 설계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정적 인장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첫째, 인장실험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시험기의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재료의 강도 해석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역학적 파라미터의 측정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둘째, 재료에 가해지는 하중과 ...2020.11.26· 10페이지 -
(응용공학실험) 금속재료 미세변위 측정 (A+자료입니다) 26페이지
REPORT- 금속재료의 미세변위 측정실험 -교 과 목 응용공학실험교 수 님학 과기계공학과조제 출 일목 차Ⅰ. 서론 1.1. 실험 개요1.2. 실험 원리가. 빛의 간섭나. 간섭계Ⅱ. 본론 2.1. 실험 과정가. 실험 장치나. 실험 방법2.2. 실험 데이터Ⅲ. 결론Ⅳ. 참고문헌미세 변위 측정 실험Ⅰ. 서론1.1 실험 개요현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계 및 부품들의 다양성, 복잡성과 더불어 정확한 허용오차의 파악과 감소는 필수적이다. 정밀함을 요하는 기계의 부품일수록 작은 오차는 물론 온도의 상승에 따른 팽창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되는데...2020.02.01· 26페이지 -
피로 실험 9페이지
REPORT피로 실험과목명기계공학실험1학번이름실험 조실험일2017.06.02실험 요약◎실험의 목적피로를 일으키는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이 조건들이 피로파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S-N선도를 그려 알아보고 실험 방법을 숙지하고 이해한다.◎결과의 개요반복하중이 커짐에 따라 피로파괴가 더 빨리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결과를 plotting하고 보간법을 통해 log scale일 때와 normal scale일 때의 curve fitting을 시도하였다.목차? 실험 요약- 실험 목적 - - - - - - - - - - - - - - - -...2017.06.28· 9페이지 -
인장실험 10페이지
기계공학응용실험인장실험담당교수:학번:분반/조:성명:실험일자:제출일자:실험5 인장실험○ 실험목적대부분의 구조물은 사용 중에 힘(하중)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구조물재료의 특성을 이해하여 과도한 변형이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재료의 기계적 거동이란 외부하중에 대한 재료의 반응정도를 나타낸다. 즉, 외부의 힘과 이에 따른 재료의 변형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기계적 변형에 관련되는 성질을 기계적 성질 또는 역학적 성질이라고 한다. 기계적인성질로서 기본적인 것에는 최대강도(Maximum Stren...2010.12.26·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