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폰지 시티라는 개념이 퍼지고 있다. 스폰지 시티가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스폰지 시티의 사례
본 내용은
"
(세계의도시와건축) 스폰지 시티라는 개념이 퍼지고 있다. 스폰지 시티가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스폰지 시티의 사례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1
문서 내 토픽
-
1. 스폰지 시티의 개념중국의 도시화로 인해 발생한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스폰지 시티 개념. 스폰지 시티는 도시가 스폰지와 같이 빗물을 저장, 배수, 함수, 정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자연재해와 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시를 의미한다. 스폰지 시티는 투수성 포장, 인공습지, 레인가든, 옥상녹화, 식생수로 등의 우수처리시설을 사용한다.
-
2. 스폰지 시티의 사례중국은 스폰지 시티 개념을 도입하여 전국적으로 스폰지 시티를 조성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후난성 지역의 양밍 마을과 선전시를 들 수 있다. 양밍 마을은 생태 토로로 연결된 8개의 구역을 조성하여 빗물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스폰지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선전시는 맹그로브 숲을 조성하여 홍수로부터 보호하고, 2,300m가 넘는 고밀도 그린웨이 시스템을 구축하여 회복력 있는 도시 모델을 만들었다.
-
1. 스폰지 시티의 개념스폰지 시티는 도시 내 물 순환 체계를 개선하여 홍수와 가뭄 등 물 관련 재해를 예방하고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는 도시 계획 개념입니다. 이를 위해 투수성 포장재 사용, 빗물 저류 시설 설치, 녹지 공간 확대 등의 방법을 활용합니다. 스폰지 시티는 기존 도시의 경성 포장 위주 설계에서 벗어나 물 순환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도시 계획을 지향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기후 회복력을 높이고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생태계 보호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스폰지 시티의 사례스폰지 시티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선전시는 대표적인 스폰지 시티 사례로, 빗물 저류 시설 설치, 투수성 포장재 사용, 녹지 공간 확대 등의 노력을 통해 홍수 예방과 물 순환 체계 개선을 이루어냈습니다. 싱가포르의 경우 도시 내 녹지 공간 확대와 빗물 활용 시스템 구축으로 스폰지 시티 모델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서울시가 '물순환 회복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투수성 포장재 사용, 빗물 저류 시설 설치 등의 정책을 추진하며 스폰지 시티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스폰지 시티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도시 물 관리 및 기후 회복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