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영양학 - 이당류, 기능성 올리고당, 혈당 조절 호르몬, 지방산, 혈청 지단백질
본 내용은
"
기초영양학(출석) ) 1. 이당류의 종류와 각각의 결합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소화 시 필요한 분해효소들과 이후 어떤 단당류로 분재되는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기능성올리고당의 생리활성효과를 4가지 이상 쓰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8
문서 내 토픽
  • 1. 이당류의 종류와 결합 형태, 소화 시 분해효소, 단당류 생성
    이당류에는 맥아당(maltose), 서당(sucrose), 유당(lactose)이 있다. 맥아당은 포도당과 포도당이 α-1,4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말타아제(maltase)에 의해 포도당 두 분자로 분해된다. 서당은 포도당과 과당이 α-1,2 글리코시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크라아제(sucrase)에 의해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된다. 유당은 포도당과 갈락토오스가 β-결합으로 되어 있어 락타아제(lactase)에 의해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로 분해된다.
  • 2. 기능성 올리고당의 생리활성효과
    기능성 올리고당의 생리활성효과로는 1) 충치 예방, 2)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3) 비피더스 균 증식, 4) 항산화 기능 등이 있다.
  • 3. 혈당 조절 호르몬과 기전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은 인슐린과 글루카곤이다. 인슐린은 혈당 수준이 높아지면 분비되어 세포 내 포도당 유입을 증가시키고 간의 포도당 신생합성을 억제하여 혈당을 낮춘다. 글루카곤은 혈당이 떨어질 때 분비되어 간에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전환하고 지방 분해를 유도하여 혈당을 높인다.
  • 4. w-6계 필수 지방산과 오메가 명명법
    w-6계 필수 지방산에는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아라기돈산(Arachidonic acid)이 있다. 오메가 명명법은 탄소 사슬의 끝에서 시작해서 다른 쌍둥이 결합을 나누는 탄소까지의 거리로 지방산을 명명하는 방식이다.
  • 5. 혈청 지단백질의 종류와 특징
    혈청 지단백질에는 알부민, 글로불린, 피브리노겐, 트랜스페린, 프레알부민, 인산 가수분해효소 등이 있다. 이들은 혈액 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신체의 대사와 항체 생성, 혈액 응고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기능성 올리고당의 생리활성효과
    기능성 올리고당은 단당류 2-10개가 결합한 형태로, 대표적인 종류로는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성 올리고당은 장내 유익균 증식 촉진, 변비 개선, 면역 증진, 혈당 조절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냅니다. 특히 프락토올리고당은 비피더스균 증식 촉진, 변비 개선,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과가 있으며, 갈락토올리고당은 장내 유익균 증식, 면역 증진, 항산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기능성 올리고당은 건강 증진을 위한 유용한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w-6계 필수 지방산과 오메가 명명법
    w-6계 필수 지방산에는 리놀레산(LA)과 아라키돈산(AA)이 있습니다. 리놀레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 지방산으로,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에이코사노이드 전구체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라키돈산은 리놀레산이 대사되어 생성되는 지방산으로, 염증 반응, 혈액 응고, 면역 조절 등에 관여합니다. 오메가 명명법은 이러한 필수 지방산의 이중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데, w-6계 지방산은 마지막 이중결합이 6번째 탄소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달리 w-3계 지방산은 마지막 이중결합이 3번째 탄소에 위치합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두 계열의 지방산은 서로 다른 생리활성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