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리학] 06 면역
본 내용은
"
[병리학] 06 면역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8
문서 내 토픽
-
1. 면역 세포면역을 담당하는 주요 세포로는 B세포, T세포, 자연살해세포(NK세포), 큰포식세포(대식세포) 등이 있다. B세포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이며,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한다. 자연살해세포는 특정 항원에 면역되어 있지 않아도 종양세포나 감염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세포이다. 큰포식세포는 선천면역을 담당하고 항원을 림프구에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
2.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체액성 면역은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여 일어나는 면역반응이다. 항체가 혈액이나 다른 조직액을 통해 운반되기 때문에 체액성 면역이라고 한다. 세포성 면역은 항체가 관여하지 않고 T세포가 중심이 되는 면역반응이다. 세포독성T세포나 큰포식세포, 자연살해세포 등이 직접적으로 항원을 제거한다.
-
3. 이식 장기 거부반응이식 장기 거부반응은 공여자의 장기에 존재하는 동종항원을 이식받은 수여자의 면역계통이 비자기라고 인식하여 이식된 장기를 제거하려고 하는 면역반응이다. 공여자와 수여자의 HLA 항원형이 일치하지 않으면 거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
4. 과민반응과민반응은 체내에 들어온 이물질 자체가 그다지 유해하지 않은 경우에도 인체에 조직손상을 가져오는 면역반응이다. 과민반응은 발병기전에 따라 Ⅰ형(아나필락시스형), Ⅱ형(세포손상형), Ⅲ형(면역복합체형), Ⅳ형(지연형)으로 분류된다. 대표적인 과민반응 질환으로는 기관지천식, 알레르기비염, 자가면역용혈빈혈 등이 있다.
-
5. 자가면역질환자가면역질환은 면역허용이 파괴되어 자신의 조직이나 세포 등의 자가항원에 대한 강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는 하시모토병, 자가면역용혈빈혈, 전신홍반루푸스, 류마티스관절염 등이 있다.
-
6. 면역결핍증면역결핍증은 선천성 또는 후천성 원인에 의해 면역계통이 제대로 작용하지 않는 것이다. 원발성 면역결핍증,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만성 질환이나 약물요법에 동반하는 면역결핍 등으로 분류된다. 면역결핍증 환자는 감염에 취약하다.
-
1. 면역 세포면역 세포는 우리 몸을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 림프구, 대식세포 등 다양한 면역 세포들이 서로 협력하여 병원체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지만 정교하게 조절됩니다. 면역 세포의 기능 이해와 활용은 질병 예방 및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면역 세포의 작용 메커니즘을 더 깊이 연구하여 면역 체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2.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은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합니다. 체액성 면역은 항체를 생산하여 병원체를 직접 중화하거나 제거하는 반면, 세포성 면역은 감염된 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제거합니다. 이 두 가지 면역 반응은 상호작용하며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위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면역 체계의 이해를 높이고 이를 활용한 질병 예방 및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특히 면역 체계의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면역 반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 이식 장기 거부반응이식 장기 거부반응은 이식 수술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입니다. 이식 받은 장기에 대해 환자의 면역 체계가 공격하는 것이 거부반응의 주된 원인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면역억제제 투여, 조직 적합성 검사, 장기 보존 기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한계가 있습니다. 향후 이식 장기 거부반응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유전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이식 장기의 면역 회피 능력을 높이거나, 환자 개인의 면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면역억제 치료법 개발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4. 과민반응과민반응은 면역 체계가 정상적인 반응 이상으로 과도하게 반응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이식 거부반응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과민반응은 매우 복잡한 기전으로 발생합니다.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과민반응의 발생 메커니즘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면역 체계의 조절 기전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과민반응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
5. 자가면역질환자가면역질환은 면역 체계가 자신의 정상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이 있으며, 이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자가면역질환의 정확한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면역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법 적용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향후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6. 면역결핍증면역결핍증은 면역 체계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선천성 면역결핍증과 후천성 면역결핍증이 있으며, 이는 감염에 취약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면역결핍증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면역 체계의 작용 메커니즘을 더 깊이 이해하여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면역결핍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예방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
[병리학] 병리학적 용어와 개념정리 4페이지
병리학적 용어와 개념정리[01. 병리학의 영역]1. 질병의 발병이나 예후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①내적요인 ②병원체나 유해물질 등의 외적요인 ③ 식습관, 운동, 흡연, 음주 등 생활습관요인의 3가지가 중요하다.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써 질병의 발병이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으로 알려져있다.[02. 세포ㆍ조직과 손상]2. 괴사와 세포자멸사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괴사(necrosis)는 손상이 심해져 회복 불능 상태가 되면 살아 있는 개체 내의 세포나 조직이 죽는 것으로 세포내 국소적인 조직의 죽음을 말한다...2021.10.28· 4페이지 -
A+ 병리학 내용 정리 보고서 11페이지
병리학 개별Report- 1~14주차 내용정리 -과목명교수명학 과학 번이 름제출일[ 목차 ]chapter. 01 병리학의 개요chapter. 02 세포·조직과 손상chapter. 03 재생과 회복chapter. 04 순환장애chapter. 05 염증chapter. 06 면역chapter. 07 감염병chapter. 09 선천적 장애chapter. 10 순환계통 질환chapter. 11 호흡계통 질환chapter. 12 소화계통 질환chapter. 13 내분비계통 질환chapter. 14 조혈계통 질환chapter. 01 병리학의 개...2025.02.25· 11페이지 -
[병리학] 15 조혈계통 4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BinData/image1.jpg..FILE:BinData/image2.jpg..FILE:BinData/image3.jpg..FILE:BinData/image4.jpg..FILE:BinData/image5.png..FILE:BinData/image6.jpg..FILE:BinData/image7.jpg..FILE:BinData/image8.j...2024.10.07· 4페이지 -
병리학 정리노트 (1) 19페이지
Chapter01 병리학이란?▌병리학▘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병의 원인, 병이 발생하는 기전, 형태 변화, 기능 장애 등▌병리학 분류▶인체병리학 / 실험병리학⑴인체병리학질병으로 사망한 경우나 질병에 걸린 인체를 대상병리학, 진단검사의학(임상병리학)으로 구분⒈병리학병의 원인, 병의 상태, 치료 효과, 사망의 원인등을 규명하기 위해 부검재료, 인체 조직의 생검재료 및 수술적 출물, 탈락세포 등을 병리 형태학적으로 밝히는 분야⒉진단검사의학(임상병리학)인체에서 채취한...2023.08.18· 19페이지 -
에이즈(병리학)A+받음 17페이지
AIDS? 에이즈! 202141017 백규광01 02 03 04 05 06 07 정 의 원 인 감 염 경 로 증 상 합 병 증 진 단 및 치 료 퀴 즈 !01 정의 후 천 성 면 역 결 핍 증 후 군 ( A I D S ) 을 일 으 키 는 원 인 바이러스 ! 우 리 몸 의 면 역 세 포 인 C D 4 양 성 T - 림 프 구 가 이 바 이 러 스 에 감 염 되 어 파 괴 A I D S ? 정의 01 02 원인 03. 감염경로 04. 증상 H I 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바이러...2022.11.14·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