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생물화학1 A+ 정리본
본 내용은
"
이화여대 생물화학1 A+ 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7
문서 내 토픽
  • 1. Km 값
    Km값의 정의: 반응속도가 최대반응속도의 반값일 때의 기질농도이다. 최대 반응 속도의 절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기질의 농도입니다. 효소에 대한 기질의 친화도를 보여주는 값이다. Km 값이 낮으면 효소가 기질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가지며, Km 값이 높으면 기질 친화도가 낮습니다.
  • 2. Kcat 값
    Kcat 값: 촉매 전환수 (turnover number)**로, 단위 시간당 하나의 효소 분자가 얼마나 많은 기질 분자를 product로 전환하는지 나타낸다. Kcat 값이 높으면 효소가 매우 빠르게 작동하고, Kcat 값이 낮으면 효소의 반응 속도가 느립니다.
  • 3. 스피시픽 컨스턴트
    스피시픽 컨스턴트, 그 효소의 퀄리티가 얼마나 좋은지 알려주는 값ㅇ좋은 효소는 km이 낮고 kcat 값은 높은 애들이 좋은 애들 값즉 이 값은 높을수록 퀄리티가 좋은 값
  • 4. Regulatory enzyme
    조절 효소(regulatory enzyme)는 여러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 과정(metabolic process)에서 과정 전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소이다. 조절 효소는 세포 내에서 다른 분자들이나 신호들에 반응해서 효소 반응(enzymatic reaction)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 5. Allosteric modulator
    입체다른자리 조절자(allosteric modulator)은 입체다른자리 효소(allosteric enzyme)의 조절자리에 가역적 및 비공유적 결합을 하여 효소의 입체형태를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효소의 활성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 6. Covalent modification
    코발란트 모디피케이션은 어떤 효소의 단백질의 특별한 아미노산 잔기나 이런 곳에 가서 공유결합을 하는 것공유결합을 할떄는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므로 공유결합을 할 떄는 보통 효소가 작동( 어떤 효소가 어떤 단백질에 인산기를 붙여주는 효소> 카이네이스), 그걸 떼어주는 효소 >포스파테이즈
  • 7. Enanomeric carbon
    탄소 1번에 붙어있는 H와 OH의 위치에 따라서 시스폼인지 트랜스폼인지 알파폼인지 베타폼인지에노머릭 카본을 기준으로 할 때 두가지 형태의 에노머가 있는데 그때의 알파폼과 베타폼의 분자구조식을 그리시오
  • 8. Lectin
    형질막 바깥쪽에 당단백질 혹은 당지질인 소당은 세포밖 환경의 렉틴과 상호작용한다.인플루엔자처럼 동물세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감염의 첫단계로 세포의 당단백질과 결합한다.콜레라 독소와 백일해 독소는 세포로 침입하기전에 표면의 당지질과 결합한다
  • 9. Deamination
    뉴클레딕 애시드 중에 돌연변이 중에서는 디아미네이션이라는 현상히포잔틴하고 잔틴 같은 경우에는 보통 구아닌과 베이스페어링을 하니까 만약에 잔틴이 저기 있다면 복제할 때 G로 바꿔준다
  • 10. Arachidonic acid
    아이코사노이드는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유래된 파라크라인 호르몬이다.아라키돈산은 막인지질에서 포스포리파아제 A2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방출되며 5,8,11,14번 위치에 4개의 이중결합이 있는 20개의 탄소사슬을 가지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Km 값
    Km 값은 효소와 기질 사이의 결합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Km 값이 낮을수록 효소와 기질의 결합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효소 반응의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Km 값은 효소 반응의 속도와 효율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효소 반응의 속도와 효율성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Km 값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2. Kcat 값
    Kcat 값은 효소 반응의 최대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Kcat 값이 높을수록 효소가 기질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Kcat 값은 효소의 촉매 활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효소의 촉매 활성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Kcat 값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특히 효소 공학 분야에서는 Kcat 값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목표가 됩니다.
  • 3. 스피시픽 컨스턴트
    스피시픽 컨스턴트는 효소 반응의 속도 상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은 효소와 기질의 결합 강도(Km)와 효소의 촉매 활성(Kcat)을 모두 고려한 것으로, 효소 반응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스피시픽 컨스턴트는 효소 반응의 속도와 효율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생물학적 과정에서 효소 반응의 속도와 효율성은 매우 중요하므로, 스피시픽 컨스턴트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4. Regulatory enzyme
    Regulatory enzyme은 다른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효소입니다. 이러한 효소는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대사 경로에서 Regulatory enzyme은 특정 반응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체 대사 과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포 신호 전달 경로에서 Regulatory enzyme은 특정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여 세포의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egulatory enzyme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5. Allosteric modulator
    Allosteric modulator는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입니다. 이러한 물질은 효소의 활성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효소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킵니다. Allosteric modulator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llosteric modulator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약물 개발 분야에서는 Allosteric modulator를 활용하여 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 되고 있습니다.
  • 6. Covalent modification
    Covalent modification은 단백질의 화학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백질의 기능, 활성, 안정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Covalent modification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세포 신호 전달 경로에서 단백질의 Covalent modification은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여 세포의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사 경로에서 Covalent modification은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여 대사 과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valent modification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및 생화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7. Enanomeric carbon
    Enanomeric carbon은 키랄 분자에서 중심 탄소 원자를 의미합니다. 이 탄소 원자에 결합된 4개의 기능기가 서로 다른 배열을 가지면 키랄 분자가 됩니다. 키랄 분자는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생체 내 효소는 특정 키랄 형태의 기질만을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키랄 약물은 서로 다른 키랄 형태에 따라 다른 약리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Enanomeric carbon과 키랄 분자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생화학, 약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8. Lectin
    Lectin은 특정 탄수화물에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입니다. Lectin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세포 간 인식과 부착, 세포 신호 전달, 면역 반응 등에 관여합니다. 또한 Lectin은 병원체 감염 방어, 암 진단 및 치료, 줄기 세포 분화 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Lectin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의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9. Deamination
    Deamination은 아미노산이나 핵산에서 아미노기(-NH2)가 제거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생물학적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핵산의 Deamination은 유전 정보의 변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아미노산의 Deamination은 질소 대사 과정에 관여합니다. 또한 Deamination은 약물 대사, 암 발생, 면역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Deamination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10. Arachidonic acid
    Arachidonic acid는 중요한 지방산의 하나로, 생물학적 과정에서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지방산은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며, 염증 반응, 혈액 응고, 신경 전달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합니다. 또한 Arachidonic acid는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등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의 전구체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Arachidonic acid에 대한 이해는 생물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염증성 질환, 심혈관 질환, 신경 질환 등의 병리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Arachidonic acid의 역할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