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ration
본 내용은
"
Titra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6
문서 내 토픽
-
1. EDTA 적정본 실험에서는 아연 표준 용액을 사용해 EDTA를 표준화하고, 표준화한 EDTA를 이용해 미지 금속 시료를 역적정하며 킬레이트 효과를 이해하고 pH 미터의 사용법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실험 결과 EDTA의 표준화된 농도는 4.89(±0.06)mM로 계산되었고, 이를 통해 미지 시료의 농도를 25.0(±0.8)mM로 분석했다.
-
2. 완충 용액의 역할EDTA는 4개의 카복실기와 2개의 암모늄기를 가져 총 6개의 양성자를 내놓을 수 있는 육양성자산이다. 따라서 적정 중에 pH가 변하게 되면 원하는 착물 형성 반응이 아닌 산-염기 부반응이 일어나 EDTA의 양성자화 상태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pH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완충 용액은 다른 산이나 염기를 가해도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pH가 잘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므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
3. 자일레놀 오렌지 지시약자일레놀 오렌지 지시약은 유리되어 있는 상태일 때 노란색을 띄다가 금속과 착물을 이루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지시약이다. 적정 실험에서 종말점을 측정하는 방법은 전극을 이용해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를 보는 방법, 흡광도를 관찰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시약이 가장 육안으로 확인하기 쉬운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적정 시약으로 표준 아연 용액을 사용했고, 적정 전에 인산 완충 용액으로 pH를 5.5에 맞추었기 때문에 자일레놀 오렌지가 가장 적합한 지시약이었다.
-
4. EDTA의 조건 형성 상수금속과 리간드의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를 형성 상수라고 하는데, EDTA의 경우에 평형 상수 는 에 한정되어 있다. 이는 EDTA의 여러 양성자화 상태 중 의 농도 만으로 형성 상수를 계산한다는 의미이다. 이때 완충용액으로 pH를 고정하면 의 형태로 존재하는 EDTA의 분율 이 상수가 되기 때문에 평형 상수 식을 다시 적을 수 있다. 이 값은 특정한 pH에서의 금속 착물 형성 상수를 의미하는 조건 형성 상수로 와 같이 나타낸다.
-
5. pH 미터의 작동 원리pH 미터는 Ag|AgCl 기준 전극과 이온 선택성 유리 전극을 가로지르는 전위차를 측정해 이를 Nernst 식으로 pH로 변환하는 측정 기기이다. 유리 전극이 용액과 접촉하면 표면의 수화된 젤 층에 붙어있던 금속 이온이 이온 교환 평형에 의해 용액의 수소 이온과 치환되며 확산이 일어난다. 이 수소 이온에 대한 이온 선택적 확산에 의해 전극 내부의 유리막에서 이온이 막을 천천히 이동하며 전위차를 만들어 내고 이를 측정해 pH를 계산할 수 있다.
-
1. EDTA 적정EDTA 적정은 금속 이온과 EDTA 간의 킬레이트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EDTA는 금속 이온과 1:1 비율로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므로, EDTA 용액의 소비량을 측정하면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정확성, 재현성, 신속성 등의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질 분석, 금속 정제, 의약품 제조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정 과정에서 적절한 지시약 선택, pH 조절, 방해 이온 제거 등의 주의가 필요하지만, 이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2. 완충 용액의 역할완충 용액은 용액의 pH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화학 반응, 생물학적 과정, 분석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pH 조절이 필요한데, 이때 완충 용액을 사용하면 외부 요인에 의한 pH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완충 용액은 약산-염기 쌍을 포함하고 있어, 용액에 소량의 산이나 염기가 첨가되어도 pH가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반응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실험 결과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pH 항상성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완충 용액은 화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자일레놀 오렌지 지시약자일레놀 오렌지는 pH 지시약의 일종으로, pH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시약은 pH 6.0-7.6 범위에서 노란색에서 오렌지색으로 변화하므로, 중성 및 약알칼리성 용액의 pH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자일레놀 오렌지는 EDTA 적정 과정에서 금속 이온과 EDTA의 킬레이트 반응을 지시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적정이 종말점에 도달하면 용액의 색이 오렌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적정 종말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일레놀 오렌지는 생물학적 실험, 수질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pH 측정을 위한 지시약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4. EDTA의 조건 형성 상수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는 금속 이온과 안정한 킬레이트 착물을 형성하는 화합물입니다. EDTA의 조건 형성 상수(Conditional Formation Constant)는 특정 pH 조건에서 EDTA와 금속 이온 간의 결합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상수 값은 EDTA 적정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데,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EDTA와의 반응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조건 형성 상수는 pH, 이온 강도, 온도 등의 요인에 따라 변화하므로, 실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상수 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EDTA 적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DTA의 조건 형성 상수는 화학 분석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pH 미터의 작동 원리pH 미터는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pH)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전위차 측정 원리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pH 전극 내부에는 기준 전극과 측정 전극이 있는데, 이 두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위차가 용액의 pH에 비례합니다. 측정 전극은 수소 이온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유리막을 가지고 있어, 용액 내 수소 이온 농도에 따라 전위차가 변화합니다. 이 전위차를 측정하여 pH 값으로 환산하는 것이 pH 미터의 작동 원리입니다. 정확한 pH 측정을 위해서는 pH 전극의 보정, 온도 보정, 방해 이온 제거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pH 미터는 화학, 생물학, 환경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필수적인 분석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비타민정 적정1. Ascorbic acid 정량 비타민 정제에 포함된 ascorbic acid의 양을 iodometric 적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a2S2O3 표준 용액을 제조하여 ascorbic acid와 과량으로 반응한 I3-를 역적정법으로 정량하였다. 녹말 지시약을 사용하여 종말점을 판단하였으며, 실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정을 3회 반복하였다. 2. ...2025.01.12 · 의학/약학
-
서강대 기기분석실험 < Constant-current coulometry > 레포트1. Coulometric titration Coulometric titration은 전기 분해 시 생성되는 전하량을 이용하여 물질의 양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이다.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constant potential 방법과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constant current 방식이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constant current 방식을 이용...2025.01.09 · 자연과학
-
물리분석실험 titration 결과 레포트1. 강염기-약산 반응과 EDTA 적정 강염기인 NaOH를 이용해 다양성자산을 적정하고 적정곡선을 그린다. Gran plot을 이용하여 당량점을 정확히 구하고 이를 이용해 Ka의 값을 구한다. EDTA를 이용해서 금속이온을 역적정하는 과정을 통해 미지 금속이온용액의 농도를 확인한다. 2. NaOH 표준화 일차표준물질인 KHP 수용액을 이용하여 NaOH 용액...2025.04.29 · 자연과학
-
서울대학교_물리분석실험_EDTA titration(2024)1. EDTA 적정 EDTA 적정은 부피 분석의 한 종류로, 분석물의 농도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적정액은 뷰렛으로부터 옮겨지며, 분석물은 삼각플라스크나 비커 등으로 담습니다. 뷰렛으로부터 옮겨진 적정물의 양과 분석물의 양이 stoichiometric하게 일치하는 지점을 당량점(equivalence point)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 실...2025.01.23 · 자연과학
-
무기화학실험 실험 2 Precipitation and Complex Formation 예비1. 침전 적정(precipitation titration) 침전 적정에서는 분석 물질과 정확히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는 적정 용액이 당량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분석 물질과 적정 시약 사이의 반응 과정을 알고 있어야 한다. 분석 물질에 가해진 적정 시약의 양을 알고 있다면, 존재하는 분석 물질의 양 또한 결정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당량점이 아닌 종말점만을 ...2025.05.09 · 자연과학
-
동국대학교 화학과 물리화학실험 적정실험 레포트1. 적정(Titration) 실험 실험 목적은 진한 용액을 묽혀서 준비한 0.1 N HCl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측정하고, 표준화된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한 산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실험에 사용된 주요 시약은 KHP, NaOH, HCl,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이며, 실험 방법은 KHP를 이용하여 NaOH를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NaOH로 제...2025.01.23 · 자연과학
-
분석화학실험 - Karl Fischer Titration 8페이지
1. 실험목적식품 및 시료의 수분측정을 통해 고형분 함량, 품질지표, 저장안정성의 척도로 이용한다.2. 실험이론1) Karl Fischer Titration(1) 수분측정법① Karl Fischer에 의해 개발된 수분 정량법으로 메탄올 등의 알코올 및 피리딘 등 유기 염기의 존재 하에서 물이 아이오딘 및 이산화황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② 화학반응을 기초로 하여 기체, 액체 및 고체 시료 중의 수분 함량만을 선택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시료 중 휘발 성분에 의해 수분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2021.09.27· 8페이지 -
서울대학교 물리분석실험 - Titration 6페이지
이번 실험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몇 가지 개념들에 대해 알아보자.(1) 정량분석과 정성분석 : 화학에서 말하는 정량분석은 물질의 물리량을 정확한 수치로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량분석으로 물질의 농도, 화학식량 등을 구할 수 있다. Titration을 통해 unknown sample의 농도를 구하는 것은 정량분석에 해당한다. 반면 정성분석은 unknown sample이 어떤 시료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pH 미터를 통해 종말점을 판단하는 것은 용액의 조성을 대략적으로 유추하는 것이므로 정성분...2022.12.10· 6페이지 -
침전적정 (Percipitation Titration) 15페이지
1. TitlePrecipitation Titrations2. Purpose- Titration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precipitation titration에 대해 이해한다.- 은 침전 적정법 중 indicator를 이용하는 Mohr method와 Fajans method를 이해한 후 이를 이용하여 Chloride ion의 농도를 알아낸다.- Chloride ion의 농도를 potentiometry를 이용하여 알아낸다.3. Theory1) 적정(Titration)적정은 부피 분석의 한 종류로, 뷰렛에 적정 시약(titra...2023.10.03· 15페이지 -
iodimetic titration of vitamin c pre 6페이지
2022.03.16· 6페이지 -
exp.5 precipitation titration 9페이지
분석 화학 실험Title: precipitation titrationPurpose:titration의 기본적인 원리를 알고, 그 중 precipitation titration에 대해 이해1.은 침전 적정법 중 indicator를 이용하는 방법인 Fajans method와 Mohr method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Chloride ion 농도를 알아낸다.2. potentiometry로 Chloride ion 농도를 알아낸다Theorytitrationtitration적정은 미지의 시료에 적정 시약을 반응이 끝날 때까지 첨가한 후, ...2022.08.17·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