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M(주사 전자 현미경)의 원리 및 조작 방법
본 내용은
"
SEM(주사 전자 현미경)의 원리 및 조작 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0
문서 내 토픽
-
1. SEM의 동작원리SEM은 가느다란 전자 빔을 시료 표면에 주사하여 시료표면에서 발생하는 2차 전자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표면상을 관찰하는 현미경입니다. SEM은 광학현미경(OM)과 달리 전자빔(파장: 0.6 nm)을 사용하여 더 높은 분해능(3~20 nm)과 배율(10~30만배)을 가지고 있습니다.
-
2. SEM 조작방법SEM 조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료 준비: 전도성 물질은 바로 측정 가능하지만 비전도성 물질은 코팅 과정이 필요합니다. 2) 진공 유지: SEM 내부에 진공을 유지하여 필라멘트 연소, 가스 분자와의 반응, 전자와 가스 분자 간 충돌을 방지합니다. 3) 모드 선택: SE(표면 지형 정보), BSE(구성 성분 차이), X-ray(원소 분포)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초점 조절: 대물렌즈와 주사 코일을 조절하여 시료의 초점을 맞춥니다.
-
3. SEM의 전자 총SEM의 전자 총은 텅스텐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텅스텐은 일함수가 낮고(4.5 eV) 녹는점이 높아(3650 K) 전자 방출이 쉽고 고온에서도 잘 견딥니다. 전자 방출 방식에 따라 열 방사형과 전계 방사형으로 나뉩니다.
-
4. SEM의 렌즈 시스템SEM의 렌즈 시스템은 집광렌즈, 대물렌즈로 구성됩니다. 집광렌즈는 전자빔의 양을 조절하고, 대물렌즈는 시료 표면에 전자빔을 집속시켜 주사합니다. 또한 주사 코일과 비점수차 보정 코일이 전자빔의 위치와 모양을 제어합니다.
-
1. SEM의 동작원리SEM(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주사하여 시료 표면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영상을 얻는 장비입니다. 전자빔은 전자총에서 발생하여 전자 렌즈 시스템을 통해 시료 표면에 집속됩니다. 시료 표면에 도달한 전자빔은 시료와 상호작용하여 2차 전자, 후방산란 전자, 특성 X선 등의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신호를 검출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SEM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입니다. SEM은 높은 배율과 해상도를 제공하여 나노 스케일의 시료 관찰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석 기능을 통해 시료의 화학적, 구조적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2. SEM 조작방법SEM 조작 방법은 시료 준비, 장비 설정, 영상 획득 및 분석 등의 단계로 구성됩니다. 시료 준비 단계에서는 시료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적절한 방법으로 시료를 고정, 건조, 코팅 등의 처리를 거칩니다. 장비 설정 단계에서는 가속 전압, 작동 거리, 전자빔 크기 등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 영상 획득 단계에서는 시료 표면을 주사하며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구현합니다. 분석 단계에서는 획득한 영상을 통해 시료의 형태, 크기, 조성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SEM 조작 방법은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며, 시료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SEM의 전자 총SEM의 전자 총은 전자빔을 생성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전자 총은 주로 열전자 방출 방식, 전계 방출 방식, 또는 이온 방출 방식을 사용합니다. 열전자 방출 방식은 텅스텐 필라멘트를 가열하여 전자를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비교적 저렴하고 안정적이지만 전자빔의 밝기와 집속도가 낮습니다. 전계 방출 방식은 강한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자를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전자빔의 밝기와 집속도가 높지만 진공 유지가 까다롭습니다. 이온 방출 방식은 이온화된 기체를 이용하여 전자를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전자빔의 밝기와 집속도가 높고 진공 유지가 용이하지만 비용이 높습니다. 이러한 전자 총의 특성에 따라 SEM의 성능과 용도가 달라지므로, 연구 목적에 맞는 적절한 전자 총을 선택해야 합니다.
-
4. SEM의 렌즈 시스템SEM의 렌즈 시스템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고 영상을 형성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SEM의 렌즈 시스템은 주로 전자기 렌즈를 사용하며, 이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집속시키는 원리입니다. 렌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콘덴서 렌즈, 대물 렌즈, 투사 렌즈 등으로 구성됩니다. 콘덴서 렌즈는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집속시키고, 대물 렌즈는 시료 표면에서 발생한 신호를 영상화하며, 투사 렌즈는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에 보여줍니다. 이러한 렌즈 시스템의 설계와 최적화는 SEM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연구 목적에 맞는 렌즈 시스템을 선택하고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재료공학기초실험_SEM 주사전자현미경관찰(1)_전자현미경 원리 및 시편준비 5페이지
재료공학기초실험(1)전자현미경 원리 및 시편준비1. 실험목적본 실험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재료의 미세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을 학습한다.세라믹재료의 파단면 형상, 기공의 존재, 분말의 입자 크기, 표면형상 및 평균 결정립 크기를 조사하기위한 시료의 준비방법을 실습하고,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사진 분석을 통하여 세라믹스의 미세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얻는다.2. 이론적 배경? 현미경의 발전1926 Hans Bush 전자선이 자계에 의해 휜다는 것을 발견광학현미경 -> 투과전자현미경 -> 주사전자현미경? 광학현미경 ...2023.05.22· 5페이지 -
Looking at the synthesised polymer beads by SEM,TEM microscopy 4페이지
1. 실험제목Looking at the synthesised polymer beads by SEM,TEM microscopy2. 실험목적전자현미경의 종류인 SEM과 TEM을 이용하여 시료를 관찰하고 구조와 원리를 이해한다.3. 실험원리?전자현미경 (electron microscope)단위가 작은 자로 거리를 잴수록 정확한 값을 알 수 있듯이 파장이 작은 매체를 통해 사물을 볼 때 정밀한 형상을 얻는다. 1931년 독일 과학자 E. 루스카(Ruska)는 전자빔을 사용한 첫 번째 투과현미경(TEM)을 만들었다. 주사형(SEM)은 전자빔...2021.01.18· 4페이지 -
성균관대 SEM최종보고서 26페이지
목차개요실험 목적이론적 배경3-1. Accelerating Voltage3-2. Probe Current3-3. Aperture Size & Working Distance3-4. SE & BSE실험 과정4-1. 실험 방법4-2. 실험 조건결과 및 분석결론참고문헌1. 개요주사 전자 현미경(SEM)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의 약자로, 고체 상태에서 작은 크기의 미세조직과 형상을 관찰할 때 널리 쓰이는 현미경이다. 해상도(Resolution)은 ‘두 점을 구분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는데, ...2021.04.21· 26페이지 -
현미경과 파이펫의 원리 및 사용법 레포트 7페이지
2주차 - 현미경과 파이펫(Pipette)의 원리 및 사용법1. Title : 현미경과 파이펫(Pipette)의 원리 및 사용법2. Date : -3. Name : -4. Purpose : 일반생물학 실험에서 사용되는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기능을 익히고 그 밖에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인 Pipette의 기능과 사용방법을 익혀 보도록 한다.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는 용어들(부피단위, 질량단위, 농도단위 포함)에 대해서 알아본다.5. Materials광학현미경, slide glass, pipette, tip, 1.5ml microtub...2021.12.24· 7페이지 -
[A+]현미경과 파이펫 사용법 및 물탑 쌓기 실험 결과 레포트 7페이지
실험 결과 보고서현미경과 pipette사용법 및물 탑 쌓기학과학번이름과목명담당교수실험일시1. purpose: 대학생물학실험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초자류의 조작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기능을 익히고 그 밖에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장비인 Pipette, Autoclave, Clean bench, Incubator, Centrifuge 등의 기능과 사용방법을 익혀 보도록 한다.2. materials현미경, micropipette, pipette tip, EP tube, conical tube, 80% 설탕물, ...2022.07.15·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