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성인간호학 과정, 진단 1개_늑골 골절, 혈기흉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본 내용은
"
A+ 성인간호학 과정, 진단 1개_늑골 골절, 혈기흉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4
문서 내 토픽
-
1. 늑골 골절늑골이 골절되면 숨을 쉴 때 심한 통증이 유발되어 얕게 호흡하게 된다. 또한 기관지의 분비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해 기흉, 혈흉, 무기폐, 폐렴 등의 합병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늑골골절의 개수가 많을수록, 양측일수록, 골절편의 전위 정도가 클수록 외상성 혈흉 발생 가능성이 높았으며, 외상성 혈흉은 초기에는 보이지 않지만 방사선 소견상 더 심한 경우가 있어 손상 진행 가능성을 예측하고 주의 깊은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2. 혈기흉폐를 싸는 막과 흉곽의 내벽을 덮는 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하는데 이곳이 혈액으로 차있는 상태를 말한다. 중등도 이상의 혈기흉과 폐좌상과 동반된 잠복 기흉이 크기가 증가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폐쇄성 흉관 삽입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1. 늑골 골절늑골 골절은 흉부 외상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로 교통사고, 추락, 폭력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통증, 호흡곤란, 타박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이루어지며, 심각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늑골 골절 환자는 폐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주의 깊은 관찰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재활 치료를 통해 통증 관리와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늑골 골절은 대부분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합병증 예방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
2. 혈기흉혈기흉은 흉강 내에 공기와 혈액이 동시에 차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외상성 원인으로 발생하며, 교통사고나 폭력 등에 의한 흉부 손상이 대표적입니다.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흉통, 청색증 등이 나타납니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데, 흉부 X선 검사와 흉부 CT 촬영으로 진단하고 흉관 삽입술로 치료합니다.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혈기흉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신속한 처치와 함께 합병증 예방을 위한 집중 관리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들이 양호한 예후를 보입니다.